오르가논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오르가논 (Organon)은 아리스토텔레스 의 論理學 著作 全體를 가리키는 名稱이다. 6世紀부터 이 이름으로 불렀다. 學問의 實質的인 部分이 아니라 그 道具라는 뜻이다. 아리스토텔레스에게는 論理學(老妓케)의 名稱이 없었으며, 分析論(아나類티카)李 主로 그것에 該當한다. '분석론'은 推論(推論)을 三段論法 으로 分析, 여러 가지 形式과 整合性(整合性)과 眞理와의 關係를 論한다. 이 밖에 通念에 依한 辨證的 推論(디아렉티케)을 다루었던 '토피카', 判斷과 命題를 論하는 '命題論', 主語와 述語의 槪念에 關한 種類를 論하는 '範疇論'이 包含되어 있다.

構成 [ 編輯 ]

  • 《範疇論》( 라틴語 : Categoriae )
  • 《命題論》 또는 《解釋論》( 라틴語 : De Interpretatione , 古代 그리스어 : Περ? ?ρμηνε?α? )
  • 《분석론戰서》( 라틴語 : Analytica Priora )
  • 《分析論後序》( 라틴語 : Analytica Posteriora )
  • 《토피카》 또는 《辨證論》( 라틴語 : Topica )
  • 《소피스트的 論駁》 또는 《詭辯論》( 라틴語 : De Sophisticis Elenchis )

範疇論 [ 編輯 ]

아리스토텔레스는 그의 著述 오르가논中 範疇論에서 올바른 ' 正義 '方法에 對해 敍述한바있다. 이러한 傳統은 現代에 이르기까지 有效하고 機能的인 論理學의 一般的인 正義方法으로 正義되고있다. [1] [2] 따라서 이에 따르면 定義한다는것은 '槪念이 屬하는 가장 가까운 有(類)를 들어 그것이 體系 가운데 차지하는 位置를 밝히고 다시 種差(種差)를 들어 그 槪念과 等位(等位)의 槪念에서 區別하는 것이다.' 例를 들면 ‘사람은 理性的(理性的)인 動物이다.’와 같이, 判明하려는 槪念을 主語로 하고 種差와 最近類(最近類)를 客語로 하는 判斷으로써 成立하게 된다. [3]

各州 [ 編輯 ]

  1. (위키文獻 英文版- 오르가논 ,아리스토텔레스) https://en.wikisource.org/wiki/Organon
  2. (우리말샘) 定義하다
  3. (위키文獻 英文版- Categories(範疇論)-오르가논 ,아리스토텔레스,英文 Octavius Freire Owen) https://en.wikisource.org/wiki/Categories_(Owen)-'Of species themselves, however, as many as are not genera, are not more substance, one than another, for he will not give a more appropriate definition of "a certain man," who introduces "man," than he who introduces "horse," into the definition of "a certain horse:" in like manner of primary substances, one is not more substance than another, for "a certain man" is not more substance than a "certain ox." With reason therefore, after the first substances, of the rest, species and genera alone are termed secondary substances, since they alone declare the primary substances of the predicates; thus, if any one were to define what "a certain man" is, he would, by giving the species or the genus, define it appropriately, and will do so more clearly by introducing "man" than "animal;" but whatever else he may introduce, he will be introducing, in a manner, foreign to the purpose, as if he were to introduce "white," or "runs," or any thing else of the kind, so that with propriety of the others, these alone are termed substances. Moreover, the primary substances, because they are subject to all the rest, and all the others are predicated of, or exist in, these, are most properly termed substances, but the same relation which the primary substances bear to all other things, do the species and genera of the first substances bear to all the rest, since of these, are all the rest predicated, for you will say that "a certain man" is "a grammarian," and therefore you will call both "man" and "animal" "a grammarian," and in like manner of the rest.'

같이 보기 [ 編輯 ]


參考 資料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