嶺東 盆地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嶺東層群
層서 範圍 : 中生代 白堊紀
永同郡 영동읍 매천리 梅泉回轉交叉路 南端에 있는 嶺東層群의 大規模 露頭
類型 堆積巖
上位 單位 輕傷 累層軍
下位 單位 만계리層, 산이리層, 동정리層, 白馬山層, 원촌리層, 명륜동層 等
下層 沃川 累層軍 ?
上層 火山巖類
地域 永同郡
巖質
礫巖 , 沙巖 , 셰일
나머지 凝灰巖
位置
이름 由來 忠淸北道 永同郡
座標 北緯 36° 09′ 46.9″ 東京 127° 47′ 09.2″  /  北緯 36.163028° 東經 127.785889°  / 36.163028; 127.785889
나라 대한민국의 기 大韓民國

嶺東 盆地 (永同 盆地, Yeongdong Basin)는 忠淸南道 永同郡 一帶, 沃川 褶曲帶 嶺南 地塊 의 境界에 位置한 北東-南西 方向의 堆積 盆地 로, 영동읍 부터 모동면 , 尙州市 화서면 一帶에 分布하는 中生代 白堊紀 의 育成(陸成) 堆積層 嶺東層群 (永同層群, Yeongdong Group)으로 構成되어 있다. 嶺東 斷層을 따라 이 盆地가 形成되었다. [1]

槪要 [ 編輯 ]

嶺東 盆地는 白堊紀의 育成 起源 盆地로, 南東쪽은 嶺東 單層으로 嶺南 肉塊 와 接하고, 北西쪽은 外見上 不整合 으로 沃川 褶曲帶와 接하고 있다. 이 盆地는 沃川 褶曲帶 嶺南 地塊 사이에 發達한 走向 移動 單層 에 依해 形成되었으며 [2] 南東쪽은 走向 移動 單層 으로 境界를 이루나 沃川 累層軍 等과 接하는 北西쪽은 單層 認知 不整合 인지는 明確하지 않다. [3] 길이 45 km, 幅 12 km로서 面積은 540 km 2 이다. [4] 황재하와 최범영(2013)은 嶺東 盆地의 堆積層에 發達하는 小單層 君집들을 利用해 高應力場을 解釋하였고, 모두 4番의 引張應力기와 3個의 壓縮應力機가 確認되었다. 이러한 地球照運動史는 鎭安 盆地 그리고 輕傷 盆地 에서 復元되는 構造運動社와도 잘 一致되는 結果를 나타낸다. [5]

地質 [ 編輯 ]

嶺東 盆地는 堆積巖 地層 嶺東層群과 火山巖類, 이를 貫入한 石英斑巖 및 장석반癌으로 構成된다. 嶺東 盆地의 堆積巖類인 嶺東層群 日帝 强占期 時節 下部로부터 시금리層, 회동리層( 旌善郡 회동리層 이 아님), 선유동層으로 區分되었고 雪天 地質圖幅(1968) [6] , 尙州 地質圖幅(1969) [7] 및 沃川 地質圖幅(1978) [8] 에서도 이 名稱을 그대로 使用했으나 以後의 硏究에 依하면 '시금리層'의 表式地人 永同郡 용산면 시금리에는 中生代 以前의 地層(아마도, 沃川 累層軍 이나 平安 累層軍 일 것이다)이 있음이 發見되어 茂朱 地質圖幅(1980)에서는 시금리層이라는 名稱이 不適切하다고 하여 시금리層에 該當하는 層準을 '가동리層'이라고 명명하고 層序上 시금리層보다 밑에 있는 礫巖 地層을 發見하여 이를 만계리 礫巖層이라 명명하였다. [9] 淸算 地質圖幅(1986)에서는 嶺東層群을 下部로부터 동정리層, 先流動層, 명륜동層으로 區分하였으며 [10] 嶺東 地質圖幅(1986)에서는 嶺東層群을 下部로부터 만계리層, 산이리層, 동정리層, 白馬山層, 원촌리層, 명륜동層으로 區分하였다. 嶺東層群은 大體로 北東 走向에 南東 方向으로 警査한다. [11] 嶺東層群은 두 番의 堆積段階를 거쳐서 이루어졌는데, 첫番째 段階에서는 盆地 延邊部에 扇狀地 堆積物이, 中央部에 호성 堆積物이 堆積되었으며 두番째 段階에서는 堆積中心이 北東쪽으로 移動하여 主로 扇狀地 堆積物이 堆積되었고 마지막에 河川 堆積物이 堆積되었으며 호성 堆積物은 없었다. [12] 嶺東層群은 白堊紀 말~ 第3期 初 嶺東 盆地를 貫入한 火成巖에 依해 熱水 移動이 活性化되고 이로 인한 變質 作用을 통해 새로운 磁性鑛物이 生成되어 再磁化된 것으로 推定된다. [13]

만계리層 [ 編輯 ]

만계리層 (?溪里層) 또는 만계리 礫巖은 永同郡 양강면 만계리에서 由來되었으며 嶺東層群의 最下部 基底層이다. 茂朱 地質圖幅(1980)에 依하면 永同郡 양강면 만계리에서 鶴山面 아암리까지 分布하며 양강면 괴목리와 쌍암리에도 小規模 分布한다. 嶺東層群의 基底層으로 主로 姿色(?色) 礫巖 으로 構成되고 上部로 가면서 疫疾沙巖으로 漸移한다. 가동리層에 依해 整合으로 덮히고 石英斑巖에 依해 管入黨했다. [9] [1] 嶺東 地質圖幅(1986)에 依하면 主로 沙巖 礫巖 으로 構成되며 役의 種類는 花崗巖質片麻巖과 硅巖 等이고 바탕은 紫色沙巖 或은 셰일이다. [11]

가동리層 [ 編輯 ]

가동리層 (佳洞里層)은 茂朱 地質圖幅(1980)에서 定義된 地層으로 過去의 '시금리層'李 不適切하다고 하여 시금리層에 該當하는 地層을 가동리層이라 명명하였다. 永同郡 양강면 묘동리와 가동리 一帶에 分布하며 양산면 죽산리 地域에 石英斑巖에 依해 孤立되어 分布한다. 主로 暗灰色 乃至 黑色 셰일 로 構成되고 一部 炭質과 沙質 部分을 包含한다. [9] [1]

시금리層 [ 編輯 ]

시금리層 (詩今里層)은 過去 緦麻무라 新베이( 島村新兵衛 ( しまむらしんへい ) , 1927)에 依해 永同郡 용산면 시금리를 表式地로 하여 設定된 地層이다. 雪天 地質圖幅(1968)에 依하면 雲母質片巖類와 嶺東 單層으로 接하고 있어 그 下限은 不分明하며 永同郡 양강면 괴동리, 양정리, 梅川里에 分布한다. 礫巖 , 沙巖 , 黑色 셰일, 泥灰巖 粘板巖 等이 交好하며 泥灰巖과 셰일에서는 漣痕 과 乾裂이 흔히 觀察되고 셰일 中에서는 Frenelopsis sp., Brachphyllum sp. 等의 植物化石이 産出된다. 地層의 一般的인 走向은 北東이나 南쪽으로 가면서 北西로 回轉하는 傾向을 보이며 警査는 北東 15~20°이다. [6] 沃川 地質圖幅(1978)에 依하면 永同郡 深川面 東部 각계리, 약목리, 명천리와 西部 마곡리와 월이산(550.9 m) 地域에 分布하며 礫巖 , 알코스質沙巖, 紫色 및 黑色 셰일 로 構成된다. 셰일에서는 斜層理 와 乾裂이 發見된다. 地層의 走向은 南-北 乃至 北東 10~20°이다. [8]

산이리層 [ 編輯 ]

산이리層 (酸梨里層)은 永同郡 용산면 산저리에서 영동읍 설계리와 산이리에 이르기까지 分布한다. 嶺東 地質圖幅(1986)에 依하면 沃川 累層軍 千枚巖 平安 累層軍 不整合 으로 덮으며 主로 灰色~黑色 및 灰綠色~紫色 셰일 , 灰綠色~紫色 沙巖 으로 構成되고 部分的으로 姿色 礫巖 이 협재된다. 礫巖은 側方變化가 甚하여 姿色 沙巖 및 셰일이 협재된다. 地層의 走向은 南-北 또는 北東이며 東쪽으로 10° 또는 南東쪽으로 10~45° 警査한다. 산이리層의 黑色 셰일에서는 植物化石 Pseudofrenelopsis sp.科 絶足(節足)動物化石 Ostracods , Estherites sp. 等이 算出되었다. [11] [1]

永同郡 용산면 율리의 國道 제19호선 道路擴張工事 現場, 영동읍 계산리 한아름建築(氣骨로 52) 一帶 氣骨로 道路邊, 영동읍 行政福祉센터(永同郡 영동읍 嶺東황간로 15) 北西쪽에 있는 이수정 亭子 周邊에는 아래 寫眞과 같이 산이리層의 黑色셰일 노두가 드러나 있다.

동정리層 [ 編輯 ]

동정리層 (桐井里層)은 永同郡 영동읍 동정리에서 由來되었으며 嶺東層群 中 分布 範圍가 가장 넓다. 永同郡 황간면 금계리- 尙州市 모서면 화현리 地域에서 中生代 쥐라紀 의 班常 花崗巖과 福運모 花崗巖을 不整合 으로 덮으며 장석반癌에 依해 管入黨했다. 嶺東 地質圖幅(1986)에 依하면 동정리層은 主로 礫巖 으로 構成되고 部分的으로 沙巖과 淡紫色, 灰綠色 그리고 化石이 産出되는 黑色 셰일 이 협재된다. 地層의 走向은 大體로 南-北 또는 北東 10~30°, 警査는 南洞 30~60°이나 表式地人 동정리 附近에서는 走向 北西 10~20°, 警査 北東 25°로 東쪽으로 若干 굽어진다. [11] [1] 淸算 地質圖幅(1986)에 依하면 尙州市 화서면 상곡리, 화동면 판곡리, 선교리, 이소리, 신촌리, 반곡리, 모서면 석산리, 가막리, 지산리 一帶에 分布하며 화남면 평온리와 報恩郡 장안면 장재리에 小規模로 分布한다. 礫巖 , 沙巖 셰일 의 互層으로 構成되며 垂直的으로는 下部에는 셰일이, 上部에는 礫巖이 優勢하다. [10]

永同郡 영동읍 설계리의 國道 제19호선 道路邊과, 유원대學校 正門 앞 및 유원대 內部에는 아래 寫眞과 같이 동정리層의 노두가 드러나 있다. 遊園大學校에는 嶺東層群 동정리層의 노두와 동정리層을 떼서 만든 조경석이 있다.

白馬山層 [ 編輯 ]

白馬山層 (白馬山層)은 영동읍 가리, 봉현리, 심원리의 境界에 位置한 白馬山(535.7 m)을 表式地로 하여 황간면 우매리까지 發達하는 地層이며 斷層에 依해 一部 切斷된다. 白馬山層은 主로 綠灰色의 組立 沙巖 으로 構成되며 部分的으로 黑色 셰일을 협재한다. 白馬山層 下部에 협재되는 黑色 셰일은 主로 白馬山 頂上에 分布하며 두께 5~6 m로서 保存狀態가 不良한 植物化石을 包含한다. [11] [1]

회동리層 [ 編輯 ]

회동리層 (會同里層)은 영동읍 회동리에 分布하는 地層이며 旌善郡 정선읍 회동리에 分布하는 同名의 회동리層 과는 關係 없다. 雪天 地質圖幅(1968)에 依하면 礫巖 , 綠色 沙巖 및 赤色 셰일의 互層으로 構成된다. [6] 尙州 地質圖幅(1969)에 依하면 尙州市 화동면 어산리, 내서면 평지리, 모서면 대포리 地域에서 北東 20° 및 北西 60° 走向의 單層 에 依해 片麻巖 流 地層과 接하고 있으며 石英斑巖에 依해 管入黨했다. 地層은 礫巖, 沙巖, 셰일이 交好하며 垂直的으로 下部에 礫巖이 上部에 셰일이 優勢하다. 大體로 地層의 走向은 北東 20°, 警査는 北서 15°이다. [7]

永同郡 영동읍 매천리 國道 제4호선 梅泉回轉交叉路(늘머니交叉路, 嶺東와인터널 入口) 南側, 大邱方向 進入路 四面에는 아래 寫眞과 같이 회동리層의 노두가 大規模로 드러나 있다. 이 노두는 2010年 國道 제4호선 道路를 建設할 때 드러난 노두로 2024年 現在까지도 原形을 維持하고 있으며 노두에 가까이 接近할 수 있다.

先流動層 [ 編輯 ]

先流動層 (仙遊洞層)은 尙州市 모서면 에 分布하는 地層으로 모서면 석산리의 선유동 마을에서 이름이 由來되었다.이다. 嶺東 地質圖幅(1986)에 依하면 尙州市 모서면 도안리 臺加山에 小規模 分布하며 主로 中/組立談會綠色沙巖으로 構成되고 部分的으로 役을 含有한다. 走向은 北西 30° 乃至 北東 10°이며 警査는 北東 20° 또는 南洞 10°이다. [11] 淸算 地質圖幅(1986)에 依하면 모서면 석산리와 대포리 一帶에 分布하며 凝灰巖 , 泥灰巖 , 暗灰色 셰일 및 灰色 沙巖의 互層으로 構成되고 석산리 아랫갈밭과 지記載 마을에서 炭質셰일 乃至 石炭 層이 협재된다. 선유동 地域에서 安山巖 이 分布하는데 貫入인지 噴出인지는 不明確하다. [10] [1]

원촌리層 [ 編輯 ]

永同郡 황간면 원촌리 월류봉 앞 中生代 白堊紀 嶺東層群 원촌리層
北緯 36° 14′ 03.3″ 東京 127° 53′ 28.1″  /  北緯 36.234250° 東經 127.891139°  / 36.234250; 127.891139

원촌리層 (院村里層)은 永同郡 황간면 원촌리에서 이름이 由來되었으며 황간면 원촌리에서 우매리까지 分布한다. 이 地層은 主로 凝灰巖 內地 凝灰質沙巖으로 構成된다. 地層의 走向은 北東 60~70°, 警査는 南洞 35~45°이다. [11] [1]

명륜동層 [ 編輯 ]

명륜동層 永同郡 영동읍 주곡리에서 尙州市 모서면 小定理까지 分布하며 地層의 이름은 永同郡 황간면 서송原理의 명륜동 마을에서 由來되었다. 嶺東 地質圖幅(1986)에 依하면 명륜동層은 主로 礫巖 으로 構成되며 紫色 乃至 灰色의 니質沙巖과 셰일이 협재된다. [11] 淸算 地質圖幅(1986)에 依하면 모서면 小定理에 分布하며 礫巖 , 逆質沙巖 및 셰일로 構成된다. [1]

火山巖類 [ 編輯 ]

火山巖類는 白馬山 西쪽과 황간면 一部 地域에 南-北 乃至 北東 方向으로 發達하며 嶺東層群 동정리層, 白馬山層, 원촌리層 等을 貫入한 粗面巖질 安山巖 이다. 巖石의 色은 暗灰色, 暗赤色, 暗綠色이다. [11] [1]

石英斑巖 [ 編輯 ]

石英斑巖은 永同郡 황간면 노근리에서 난곡리까지 嶺東 斷層을 따라 北東 方向으로 發達하며 영동읍 부용리와 양강면 쌍암리 一帶에도 貫入하고 있다. [1] 雪天 地質圖幅(1968)에 依하면 조립질 石英斑巖으로 構成되나 部分的으로 花崗斑巖질 또는 硅長巖질이며 회동리層과의 境界面 附近에서는 角礫질로 되어 있어 會同離層 礫巖 과 混同되기 쉬운 部分도 있다. [6] 嶺東 地質圖幅(1986)에 依하면 淡紅色, 淡褐色, 淡黃色을 띠며 石英과 장석반情(斑晶)을 含有하는 緻密한 암상이다. [11]

장석반癌 [ 編輯 ]

장석반癌은 主로 尙州市 모서면 , 모동면 永同郡 황간면 의 境界에 位置한 백화산 一帶에 分布하며 風化에 剛해 이를 中心으로 白化山脈을 形成하고 있다. 淡黃綠色의 緻密한 바탕에 淡赤色의 長石反正을 含有하고 있다. [11] [1]

單層 [ 編輯 ]

嶺東 單層

嶺東 單層 [ 編輯 ]

嶺東 單層 (永同 斷層, Yeongdong Fault)은 地質圖 [1] 上으로 永同郡 鶴山面 서산리에서 나타나기 始作하여 영동읍 주곡리를 지나 尙州市 모서면 대포리까지 이어지는 北東 走向의 單層이며, 嶺東 盆地의 南東쪽에 位置한 座首鄕 走向 移動性 單層으로 嶺南 地塊 와 境界를 이루고 있다. [3] 嶺東 地質圖幅(1986)에 依하면 영동읍 주곡리, 황간면 서송원리, 마산리, 난곡리, 尙州市 모동면 이동리까지 北東 45°走向으로 發達하며 嶺東 盆地를 形成한 印章單層(Extention Fault)의 하나로서 北西쪽으로 高脚 警査한다. 垂直 變位量이 큰 嶺東 斷層은 一種의 破碎帶로서 指標에 나타나는데 이는 走向 移動性 單層系의 運動에 起因한 것이다. 嶺東 盆地 內 扇狀地 不整合 이 認知되었는데 이는 嶺東 單層의 運動에 起因한 것이다. [14]

日라이트( Illite )는 美國 一理노이州 에서 이름이 由來된 운모류 粘土鑛物로 永同郡 양강면 가동리와 영동읍 주곡리의 雲母片巖 內에는 일라이트 鑛山이 發達한다. 가동리의 鑛體는 地質圖 上으로 嶺東 單層 위에, 주곡리의 鑛體는 嶺東 單層 에서 約 700 m 떨어져 있으며 斷層線이 熱水의 通路로 作用하여 石英과 長石의 變質로 나타나 嶺東 地域의 일라이트 鑛化作用이 進行되었을 것으로 推定된다. 嶺東 地域 일라이트 鑛體는 일라이트/白雲母 含量이 最大 75 wt.%에 이르는 高品位 鑛體이다. [15]

盆地 警戒 單層 [ 編輯 ]

이동우와 백광호는 嶺東 盆地가 隣里型 盆地(pull-apart basin)에 該當한다고 보았다. 南東部의 嶺東 斷層은 北西部의 單層보다 더 强하게 運動하였으며 盆地의 成長이 終了된 後에도 繼續해서 運動하였음을 보여주는 野外 證據가 나타났다. 盆地의 成長 過程은 盆地의 열個, 充電, 再열個, 再充電, 盆地의 닫힘 5段階로 區分된다. [12]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MGEO 脂質情報시스템 1:5萬 地質圖” . 韓國地質資源硏究院 .  
  2. 김지수; 한수형; 李喆雨; 김복철; 養牛헌; 손호웅; 손영관 (2000年 1月). “嶺東盆地(白堊紀) 南東部의 電氣比抵抗 및 彈性波探査資料 解釋 (Electrical resistivity and seismic reflection mapping for the southeastern part of the Yongdong basin (Cretaceous), Korea)” . 《韓國地球物理.物理探査學會》 3 (2): 77-90.  
  3. 김지수; 한수형; 김복철; 養牛헌 (2001年 10月). “嶺東盆地(白堊紀) 北部 地域의 單層 및 不整合 境界에 對한 地球物理探査” . 《 大寒地質學會 2001年度 大寒地質學會 秋季共同學術發表會 초록집》: 137.  
  4. 황재하 (1998年). “韓半島 地殼變形 硏究 [1], 第 6 節 嶺東盆地” . 韓國地質資源硏究院 .  
  5. 황재하; 최범영 (2013年 6月). “單層移動資料를 利用한 白堊紀 嶺東盆地의 高應力場 復元과 地球照運動史 (Tectonic deformation and paleostress reconstruction based on fault slip data in the Yongdong Basin)” . 《 大寒地質學會 49 (3): 363-371. doi : 10.14770/jgsk.2013.49.3.363 .  
  6. “雪川 地質圖幅說明書 (雪天 地質圖幅說明서)” . 韓國地質資源硏究院 . 1968年.  
  7. “尙州 地質圖幅說明書 (尙州 地質圖幅報告書)” . 韓國地質資源硏究院 . 1969年.  
  8. “沃川 地質圖幅說明書 (沃川 地質圖幅說明서)” . 韓國地質資源硏究院 . 1978年.  
  9. 홍승호 (1980年). “茂朱 地質圖幅說明書 (茂朱 地質圖幅說明서)” . 韓國地質資源硏究院 .  
  10. 김동학 (1986年). “靑山圖幅 地質報告書 (靑山島幅 脂質報告書)” . 韓國地質資源硏究院 .  
  11. 김규봉. “永同圖幅 地質報告書 (嶺東道幅 脂質報告書)” . 韓國地質資源硏究院 .  
  12. 이동우; 백광호 (1990年 6月). “Evolution of Strike-Slip Fault-Controlled Cretaceous Yongdong Basin, South Korea : Signs of Strike-Slip Tectonics During Infilling (走向移動性 斷層 起源인 永同 盆地의 進化 - 走向移動形 造構運動에 髓半된 堆積 作用을 中心으로)” . 《 大寒地質學會 26 (3): 257-276.  
  13. 도성재; 조윤영; 석동우 (1996年). “嶺東盆地에 分布하는 白堊紀 堆積巖類의 再磁化 (Remagnetization of the Cretaceous Sedimentary Rocks in the Yeongdong Basin)” . 《 大寒資源環境地質學會 29 (2): 193-209.  
  14. 이동우; 백광호 (1989年 9月). “Sedimentological Characteristics along Yongdong Fault Zone in Cretaceous Yongdong Basin, Korea 嶺東盆地(白堊紀)內의 嶺東斷層帶 周邊의 堆積學的 特性)” . 《 大寒地質學會 25 (3): 259-272.  
  15. 백은지; 이유나; 유병용; 冬服; 김영석; 朴善英; 김현나 (2023年). “嶺東 日라이트 鑛體의 構成鑛物 및 日라이트火 特性 硏究 (Study on Constituent Minerals and Illitization Characteristics of Yeongdong Illite Ore)” . 《Korean journal of mineralogy and petrology》 36 (1): 41-54. doi : 10.22807/KJMP.2023.36.1.4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