英國 革命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얀 와이크 의 윌리엄 3歲, 1688年 11月 5日 토베이, 브릭샴 上陸 記念

英國 革命 (英國革命, 英語 : English Revolution )은 英國 歷史 에서 두 가지 別個의 事件을 說明하는 用語이다. 20世紀 以前에는 제임스 2歲 가 廢位되고 윌리엄 3歲 메리 2歲 立憲君主制 를 樹立한 1688年의 名譽 革命 을 指稱하는 用語로 一般的으로 使用되었다. [1]

그러나 마르크스주의 歷史學者 들은 1639年~1651年의 三王國 戰爭 과 1649年 찰스 1歲 의 處刑 以後 1660年 스튜어트 王政復古 찰스 2歲 가 王座에 復歸하기 前까지의 공危機 에 이 用語를 使用하기 始作했다. [2] 프리드리히 엥겔스 는 1892年의 著書에서 이 時期를 "大叛亂(Great Rebellion)"으로 1688年의 名譽 革命을 "比較的 보잘 것 없는" 것으로 敍述했지만, 둘 다 같은 革命 運動의 一部라고 主張했다. [3]

비록 찰스 2歲가 1649年 그의 아버지인 찰스 1世의 處刑 以後 王政復古로 많은 地域에서 現狀 維持의 結果를 가져온 合法的인 君主로 宣言되었지만, [4] [5] 잉글랜드 聯邦 을 거치면서 獲得한 遺産들은 法으로 남게되었다. [6] [7]

휘그 士官 [ 編輯 ]

英國의 君主制에 對한 緊張은 名譽 革命 훨씬 以前부터 始作되었다. 1649年 찰스 1歲 잉글랜드 議會 에 依해 處刑되었을 때 잉글랜드는 共和國 , 卽 잉글랜드 聯邦 이 되었으며, 잉글랜드 聯邦은 1660年에 찰스 2歲 가 王政復古로 잉글랜드의 王으로 다시 登極할 때까지 持續되었다. 1649年에서 1688年까지 間歇的으로 持續된 內戰은 " 宗敎改革 이 조장한 解決되지 않은 矛盾에서 비롯된 立憲 鬪爭"이었다. [8] 英國의 改革 以後 國家와 敎會 및 政府 問題에 市民 參與에 對한 憲法的 根據 사이의 論爭은 持續的으로 함께 收斂되었다. [8] 1688年 名譽 革命 동안 제임스 2歲 윌리엄 3歲 메리 2歲 로 交替되었고, 立憲君主制 가 樹立되었으며 휘그 歷史가 들은 이를 "英國 革命"이라고 說明했다. [1] [9] 이러한 解釋은 "英國 革命"李 英國에서 均衡 잡힌 立憲君主制를 達成하기 위해 議會가 自由를 志向하는 法을 制定한 기나긴 改革 및 統合 過程의 마지막 段階임을 示唆한다. [10]

마르크스주의 史觀 [ 編輯 ]

英國 革命에 對한 마르크스주의的 見解는 英國에서 1640年에서 1660年 사이의 事件들이 英國 封建制 의 마지막 部分(國家)李 市民 階級 (및 그 支持者들)에 依해 破壞되고 國家(및 社會)로 代替된 市民 革命 이었다고 提案한다. [11] 이는 農業 資本主義(나중에는 産業 資本主義)의 廣範圍한 確立을 反映한다. 그러한 分析은 英國에서 英國 革命이 封建制 에서 資本主義 로 封建 國家에서 資本主義 國家로 履行하는 데 中樞的인 役割을 했다고 본다. [12] [13]

"英國 革命"이라는 文句는 마르크스 프랑수아 基調 의 1688年 名譽 革命에 對한 小冊子에 對한 答辯인 "英國의 17世紀 革命(England's 17th Century Revolution)"이라는 짧은 텍스트에서 처음 使用되었다. [14] 올리버 크롬웰 잉글랜드 內戰 은 마르크스의 小論文人 〈 루이 나폴레옹의 브뤼메르 18日 〉에서도 여러 番 言及되지만, 그 事件이 이름으로 直接的으로 言及되지는 않는다. [15] 1892年까지 엥겔스는 紛爭에 對해 "大叛亂(Great Rebellion)"이라는 用語를 使用했고, 如前히 그것을 同一한 革命的 事件들의 一部로 認識하면서도 1688年의 名譽 革命을 "比較的으로 보잘 것 없다"라고 一蹴했다. [3]

마르크스주의 歷史家인 크리스토퍼 힐 은 다음과 같이 言及했다.

잉글랜드 內戰은 찰스 1歲의 專制政治 國敎會 와 保守的인 地主들의 勢力에 依해 擁護되고, 反對便에는 都市와 시골의 商工人 階級이 對立하는 階級 戰爭이었다 ... 요먼과 進步的인 젠트리 그리고 ... 鬪爭이 實際로 무엇에 關한 것이었는지 理解하기 위해 자유로운 討論을 통해 可能할 때마다 더 많은 大衆이 參與했다. [16]
 
— 크리스토퍼 힐

마르크스주의의 後記 發展은 부르주아 革命 理論에서 英國 革命이 大衆的인 行政 및 經濟的 利益 分野에서 프랑스 革命 과 以後의 革命 을 豫見했다고 提案했다. 議會 權力의 擴張과 함께 英國 革命은 英國 社會의 農村과 都市에서 오래된 權力 關係의 많은 部分들을 무너뜨렸다. 그 時代의 길드 民主主義 運動은 런던의 運送 勞動者들, 特히 1641年~1643年에 그들의 會社를 民主化韓 템즈 워터맨 들 사이에서 가장 큰 成功을 거두었다. 1642年 內戰이 勃發하면서 農村 共同體는 王黨派, 가톨릭, 王族, 敎會 階層의 領地에서 木材와 伽陀 資源을 押收하기 始作했다. 一部 共同體는 그러한 不動産에 對한 所有權의 條件을 改善했다.

오래된 現象 維持는 1646年에 主要 內戰이 끝난 後에 特히 1660年 王政復古 以後에 縮小되기 始作했지만 一部 利得은 長期的으로 持續되었다. 例를 들어 1642年에 워터맨 會社에 導入된 民主的 要素는 1827年까지 迂餘曲折을 겪으며 살아남았다. [6] [7]

윌리엄 에버라드 의 1649年 《잉글랜드 水平派의 宣言과 基準》(The Declaration and Standard of the Levellers of England)의 題目 페이지의 揷畵

마르크스주의的 見解는 또한 "革命 속의 革命"(힐, 브라이언 매닝 等이 追求한)이라는 槪念을 발전시켰는데, 이 槪念은 잉글랜드 內戰의 소용돌이 속에서 議會보다 더 進步的으로 나아가려고 試圖했던 그 時代의 急進的인 運動(예: 애枝테이터 水平派 , 新模範軍 에서의 叛亂者 및 鎭靜水平派 )에 더 큰 强調點을 두었다.

17世紀 中盤에 英國에서는 두 次例의 革命이 있었다. 그 結果로 財産權의 神聖한 權利를 確立하고(봉건적 任期의 廢止, 獨斷的인 課稅 禁止), 遺産 階級에게 政治的 權力을 附與했으며(의회와 慣習法의 主權, 特權 法院의 廢止), 遺産 階級의 이데올로기 卽 프로테스탄트 倫理의 勝利를 가로막는 모든 障礙物들을 除去했다. 그러나 때때로 威脅的이기는 했지만 일어나지 않은 또 다른 革命이 있었다. 이것은 共同 財産, 政治 및 法的 制度에서 훨씬 더 廣範圍한 民主主義를 確立했을 수 있으며, 國敎會를 解體하고 프로테스탄트 倫理를 拒否했을 수 있다. [17]

브라이언 매닝은 다음과 같이 主張했다.

舊 支配 階級은 經濟 成長과 擴張에 符合하고 長期的으로 完全한 資本主義 經濟의 發展을 促進하는 새로운 아이디어와 새로운 展望을 가지고 돌아왔다. 찰스 1歲가 1640年 11月 3日에 웨스터민스터에서 議會를 召集하지 않았더라면 狀況은 매우 달라졌을 것이다. [18]
 
— 브라이언 매닝

批判 [ 編輯 ]

이러한 槪念은 마르크스주의 歷史學者들 사이에서 人氣가 있었지만, 自由主義 學派 [19] 와 修正主義 學派 [20] 의 많은 歷史學者들에 依해 批判을 받아 왔다.

1640年에서 1660年 사이의 事件들이 英國 革命을 構成한다는 槪念은 다음과 같이 指摘한 오스틴 울리치 와 같은 歷史學者들에 依해 批判을 받았다.

여러 카운티, 地域 記錄 保管所 및 家族 記錄 保管所에서 熱心히 調査한 結果 不動産 所有權의 變化, 따라서 支配 階級의 構成이 생각만큼 크지 않다는 것이 밝혀졌다. [21]
 
— 오스틴 울리치

울리치는 그 期間이 "英國 革命"을 構成한다는 槪念은 그 期間에 包含된 重要한 社會的 變化의 不足함을 無視할 뿐만 아니라 이 좁은 期間을 넘어서 擴張되는 初期 近代의 長期的인 傾向을 無視한다고 主張한다.

그러나 카를 마르크스 프리드리히 엥겔스 모두 産業 革命 에 對한 著述에서 分明히 밝힌 것처럼, 그 時點을 넘어서는 市民 國家의 追加的인 發展을 決코 無視하지는 않았다. [22]

다른 用法 [ 編輯 ]

"英國 革命"이라는 用語는 批評家이자 作家인 매슈 아널드 의 《現在의 批判 機能》(The Function of Criticism at the Present Time)에서 다음과 같이 1642年을 言及하기 爲해 빅토리아 時代 의 非마르크스주의者들에 依해서도 使用되었다.

이것이 프랑스 革命을 찰스 1世 時代의 英國 革命과 區別하는 것이다." [23]
 
— 매슈 아널드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Trevelyan 1938 , ?쪽.
  2. Trotsky, Leon (1920). 〈4: Terrorism〉 . 《Terrorism and Communism》 – Marxists Internet Archive 經由. In the seventeenth century England carried out two revolutions. The first, which brought forth great social upheavals and wars, brought amongst other things the execution of King Charles I, while the second ended happily with the accession of a new dynasty. [...] The reason for this difference in estimates was explained by the French historian, Augustin Thierry. In the first English revolution, in the “Great Rebellion,” the active force was the people; while in the second it was almost “silent.” [...] But the great event in modern “bourgeois” history is, nonetheless, not the “Glorious Revolution,” but the “Great Rebellion.”  
  3. Engels, Friedrich (1892). 〈1892 English Edition Introduction〉 . 《Socialism: Utopian and Scientific》 – Marxists Internet Archive 經由.  
  4. House of Commons 1802a .
  5. Harris, Tim (2005). 《Restoration: Charles II and His Kingdoms, 1660?1685》. London: Allen Lane. 47쪽. ISBN   0-7139-9191-7 .  
  6. O'Riordan, Christopher (1992). “Self-determination and the London Transport Workers in the Century of Revolution” . 2009年 10月 26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7. Neufeld, Matthew (2015). “From Peacemaking to Peacebuilding: The Multiple Endings of England's Long Civil Wars” . 《The American Historical Review》 120 (5): 1709?1723 – JSTOR 經由.  
  8. Yerby, George (2020). 〈Introduction: Recovering the Economic Context of History〉. 《The Economic Causes of the English Civil War: Freedom of Trade and the English Revolution》. Routledge. 2?3쪽. ISBN   978-0-429-32555-7 .  
  9. Richardson, R. C. (1988). 〈3. The Eighteenth Century: The Political Uses of History〉. 《The Debate on the English Revolution》. Issues in Historiography 2板. Routledge. 36?55쪽. ISBN   0-415-01167-1 .  
  10. Eisenstein (2010) , 64쪽, quoted in Davidson, Neil (2012). 〈From Society to Politics; From Event to Process〉. 《How Revolutionary Were the Bourgeois Revolutions?》. Chicago, Illinois: Haymarket Books. 381?382쪽. ISBN   978-1-60846-067-0 .  
  11. Callinicos, Alex (Summer 1989). “Bourgeois Revolutions and Historical Materialism” . 《International Socialism》 2 (43): 113?171 – Marxists Internet Archive 經由.  
  12. Davidson, Neil (May 2012). “Bourgeois Revolution and the US Civil War” . 《International Socialist Review》. 83號 (Center For Economic Research and Social Change).  
  13. Marx, Karl; Engels, Friedrich (1850). “England's 17th Century Revolution: A Review of Francois Guizot's 1850 pamphlet Pourquoi la revolution d'Angleterre a-t-elle reussi? . 《Neue Rheinische Zeitung Politisch-okonomische Revue》 – Marxists Internet Archive 經由.  
  14. Marx, Karl. 〈Index〉 . 《The Eighteenth Brumaire of Louis Bonaparte》 – Marxists Internet Archive 經由.  
  15. Hill, Christopher (2002) [1940]. 《The English Revolution 1640》 – Marxists Internet Archive 經由.  
  16. Hill, Christopher (1991). 《The World Turned Upside Down: Radical Ideas in the English Revolution》 New版. Penguin Books.   다음 글字 無視됨: ‘Penguin ’ ( 도움말 )
  17. Manning, Brian (1984). “What Was the English Revolution”. 《History Today》 34 .  
  18. “Great rebellion, English Revolution or War of Religion?” . 《UK Parliament》. 2021年 6月 13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19. Stone, Lawrence (2017). 〈Foreword (by Clare Jackson)〉. 《The Causes of the English Revolution 1529?1642》 Routlge Classics版. Routledge. xiv?xv쪽. ISBN   978-1-315-18492-0 .  
  20. Woolrych, Austin (2002). 《Britain in Revolution, 1625?1660》.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794쪽.  
  21. Marx, Karl; Engels, Friedrich. “Marx and Engels: On the Industrial Revolution: Primitive Accumulation and The Condition of the Working Class” . 《Marxists Internet Archive》.  
  22. Arnold, Matthew. 《The Function of Criticism at the Present Time》 (PDF) . Blackmask.  

參考 文獻 [ 編輯 ]

  • Eisenstein, Hester (2010年 5月 13日). 《Feminism Seduced: How Global Elites Use Women's Labor and Ideas to Exploit the World》. Routledge. ISBN   9781594516603 .  
  • “House of Commons Journal Volume 8: 8 May 1660”. 《Journal of the House of Commons: Volume 8, 1660?1667》 (London: His Majesty's Stationery Office): 16?18 . 1802a.  
  • Trevelyan, George M. (1938). 《The English Revolution, 1688-1689》 1965板.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724001048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