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연동敎會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연동敎會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연동敎會 (蓮洞敎會)는 서울市 종로구 연지동에 位置한 大韓예수敎長老會(統合) 서울老獪 所屬 敎會이다.

서울 연동敎會

槪要 [ 編輯 ]

朝鮮 末期인 1894年 에 設立된 오래된 敎會이다. 美國 北長老會 所屬의 某삼열 (本名 S. F. Moore)李 1894年 傳道하여 몇 名의 信者를 얻었고, 그래함 리(韓國名 이吉함) 宣敎師와 서상륜 이 蓮池東 136-17番地의 草家를 禮拜堂으로 삼아 禮拜를 始作한 것이 始初이다. 연동교회의 初期 信者들은 賤民에 屬한 갖바치들 卽, 신을 삼는 勞動者들이었다고 한다. 漸次 信徒가 增加하면서 이듬해에는 敎育 機關인 聯動小學校를 세워 女學生도 募集해 運營했다. 이 學校는 精神女子高等學校 의 前身이 되었다.

1900年 에는 제임스 게일 이 招待 擔任牧師로 赴任해 왔고, 韓屋집을 改造해 敎會堂으로 使用하는 等 本格的으로 敎會가 發展하기 始作했다. 이때 長老를 選出하였는데 兩班들은 落選하고 갖바치 出身의 고찬익이 長老로 選出되었다. 그러나 이 일로 兩班들은 宗廟 옆 봉익동에 禮拜處所를 마련하고 1910年 묘동敎會 를 設立하였다. 1904年 의 記錄에 따르면, 연동교회의 主日禮拜 參席 人員은 163名이고 이 가운데 洗禮敎人이 35名이었다. 박승봉 , 유성준 , 이상재 等 兩班 出身의 開化派 靑年들도 여럿 있었다. 헤이그 密使 事件 李儁 亦是 敎人이었다.

1907年 에는 每週 1千 2百名의 敎人이 出席할 만큼 敎會가 擴張되었다. 같은 해 어린이 敎育을 위해 小兒回(小兒會)라는 이름으로 主日學校를 처음 始作하여 近代 韓國 基督敎의 敎育 分野에서 先驅的인 役割을 했다. [1] 小兒回로 인해 어린이 神도 數가 크게 늘어났고, 다른 敎會에서도 차츰 어린이 傳道와 敎育에 關心을 갖게 되었다. 聯動女學校의 影響으로 新敎育을 받은 女性 信者도 늘어나 김마리아 , 신의경 , 유각경 , 김필례 等 有名한 人物들을 排出하기도 했다.

연동교회의 유성준 等 一部 兩班들은 김창재 의 집에서 始作한 安東敎會 로 分立하였다.

中日戰爭 以後 朝鮮總督府는 '一線(日鮮) 基督敎 一體化' 라는 宗敎政策을 세우고 1942年 9月7日 '朝鮮에서 基督敎의 日本畫 急務'를 始作으로 韓國 基督敎의 抹殺을 劃策했다. 1943年 1月26日 새문안교회에서 開催된 第1次 合同準備委員會를 첫 모임으로 敎派 合同案이 討議 됐으나 서로 다른 歷史的, 敎理的, 敎會法 問題로 合意하지 못했다. 結局 注視하고 있던 總督府는 監理敎가 主動이 된 朝鮮革新敎團을 結成하고 연동敎會 第3代 擔任牧師人 전필순 牧師를 議長에 앉혔다. 하지만 以後 長老敎, 監理敎의 反撥로 朝鮮革新敎團은 實效를 거두지 못하고 전필순 牧師도 反對하여 離脫했다. 1959年 大韓예수敎長老會 가 分裂될 때는 예장통합 側에 屬했다.

歷代 擔任牧師 [ 編輯 ]

  • 第1代 : 제임스 게일 (1900 ~ 1927)
  • 第2代 : 함태영 (1929 ~ 1941)
  • 第3代 : 전필순 (1941 ~ 1961)
  • 第4代 : 백리언 (1962 ~ 1966)
  • 第5代 : 김형태 (1967 ~ 1989)
  • 第6代 : 이성희 (1990 ~ 2018)
  • 第7代 : 김주용 (2019 ~ 現在 )

같이 보기 [ 編輯 ]

外部 링크 [ 編輯 ]

參考資料 [ 編輯 ]

  • 고춘섭 (編著者) (2004年 12月 5日). 〈仔細히 쓴 敎會 沿革〉 (PDF) . 《寫眞으로 보는 연동敎會 110年史》. 서울: 大韓예수敎長老會 연동敎會. 2016年 3月 4日에 原本 文書 (PDF) 에서 保存된 文書 . 2008年 5月 17日에 確認함 .  

各州 [ 編輯 ]

  1. 윤중식 (2008年 5月 5日). ““100年 前 主日學校에선 이랬습니다”… 서울 연동敎會 寫眞 첫 公開” . 國民日報 . 2008年 5月 17日에 確認함 .   [ 깨진 링크 ( 過去 內容 찾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