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餘서문자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餘서문자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𛆁𛈬
餘서문자. 右에서 左로 쓴다.

漢字
發達過程
甲骨文字
金門
戰서 ( 大戰 , 素筌 )
繁體
簡體
書體
예서   · 해서   · 行書   · 草書
글꼴
宋朝體   · 明朝體   · 淸朝體   · 고딕체   · 굴림體   · 교과서체
分類法
筆劃   · 筆順   · 육서   · 附隨
漢字의 標準化
標準
常用漢字 康熙字典
文字 改革
본자 正體字
簡體字
弱者 神自體
漢字의 主音및 表音火
半切 · 注音符號 · 倉頡輸入法 · 漢語병음
나라別 使用
中國 大陸·타이완
홍콩·마카오
韓國 ( 韓國 漢字音 )
日本 ( 日本 漢字音   · 류큐 漢字音 )
베트남 ( 한월어   · 고한월어 )
派生文字1
韓國製 漢字 ( 吏讀 , 鄕札 , 口訣 ) · 日本 국자 · 쯔놈 · 方言子 · 測天 文字 · 房怪長子 · 房怪童子
派生文字2
히라가나   · 가타카나   · 萬요가나   · 餘서문자   · 西夏 文字   · 거란 文字   · 女眞 文字

v   ?   d   ?   e   ?   h

餘서문자 (女書文字, 中國語 簡體字 : 女? , 正體字 : 女書 , 병음 : N?sh? 뉘수 [ * ] ) [1] [2] 中華人民共和國 湖南省 융藷芋視 장융현 에서 쓰이는 音節 文字 이다. 女性들만 使用하고 어머니가 딸에게만 傳授하기 때문에 여서(女書)라는 이름이 붙었다.

特徵 [ 編輯 ]

漢字 와 달리 表音文字 , 音節文字 이다. 글字 數는 約 600~700餘個에 이르며, 야오족 의 청관 方言의 表記에 쓰인다. 글字 數는 청관 方言의 約 ½에 該當하는 數字이며, 나머지 音節(聲調 包含)은 符號를 덧붙여 나타낸다. 청관 方言이 따이까다이어족 에 屬하는지, 中國語 의 方言인 샹어 의 一種인지는 明確하지 않다.

여서 文字의 글꼴 은 漢字의 影響을 받았으나 明確한 對應 關係를 이룰 程度는 아니며 위아래로 긴 點과 線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自首 文樣과도 많이 닮았는데, 實際로 刺繡의 形態로 文字를 記錄하는 일이 많다. 여서 文字는 우종서 로 主로 쓰인다.

歷史 [ 編輯 ]

오래前부터 現代에 이르기까지 장융현의 女性들은 文字 卽 男性들의 專有物로 여겨진 漢字를 使用하는 것이 금기시되었다. 이 때문에 女性들의 意思 表示의 道具로서 創製되어 男性들의 눈을 避해 祕密裏에 代代로 傳授 되어 온 것이 여서 文字다. 文字의 傳授는 어머니나 義姊妹가 맡았다. 때때로 裝飾 무늬 等으로 僞裝하기도 했다. 大部分의 글씨는 5字나 7者로 構成된 詩의 形態로 記錄되었다. 이 詩는 主로 女性들만의 哀歡이나 所望, 希望 等의 內容을 이루고 있다.

1930年 日本의 中國 侵略 當時에 日本軍 은 여서 文字가 暗號로 使用되는 것을 憂慮하여 이 文字의 使用을 禁止했다. 實際로 이 文字는 抗日 가요 等을 짓는 데 쓰이기도 했다. 여서 文字는 世界에 거의 알려지는 일 없이 存在하다가, 學者들이 1983年에 그 存在를 알리게 되었다. 中華人民共和國 建國 以後 文字 普及이 全 國民을 對象으로 實施되면서, 여서 文字의 利用 價値가 喪失되었고 배우려는 사람이 없게 되었다. 現在는 中華人民共和國 政府가 學術 硏究 및 保存 對策 等을 實施하고 있는 程度이다.

여서 文學 [ 編輯 ]

여서 文字는 大部分 《三曹서》(三朝書)라는 冊의 形態로 가장 많이 記錄되어 있다. 이 文書는 媤집 간 딸에게 結婚 後 3日(세 番의 아침) 後에 건넨다고 해서 이 이름이 붙었다. 主로 딸을 보낸 슬픔과 幸福을 祈願하는 內容이 적혀 있다.

近來 現況 [ 編輯 ]

2004年 여서 文字 最後의 能熟自認 양환이 (陽煥宜)가 98歲를 一期로 死亡했다. 現 政府는 主로 홍콩의 資金 等을 投資 받아, 여서 博物館 設立을 推進하고 있으나, 正式的인 여서 文字 繼承者가 없는 狀態여서 苦心하고 있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趙麗明 (1995年 12月). “中國의 女性文字와 그 文化” . 《亞細亞女性硏究》 (第34輯): 215-262.  
  2. 金殷嬉 (2012年 4月). “比較文字學의 觀點에서 본 中國 女書의 文字的 特徵” . 《中國語文學論集》 (第73號): 7-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