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에드워드 6歲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에드워드 6歲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에드워드 6歲
에드워드 6세 초상화
에드워드 6歲 肖像畫
잉글랜드 아일랜드의 王
在位 1547年 1月 28日 - 1553年 7月 6日
戴冠式 1547年 2月 20日
前任 헨리 8歲
後任 제인 (肺痿) 또는 메리 1歲
身上情報
出生日 1537年 10月 12日 ( 1537-10-12 )
出生地 잉글랜드 미들섹스
햄프턴코트宮
死亡日 1553年 7月 6日 ( 1553-07-06 ) (15歲)
死亡地 잉글랜드 그린위齒弓
家門 튜더
父親 헨리 8歲
母親 제인 시모어
宗敎 改新敎
墓所 1553年 8月 8日
웨스트민스터 寺院
署名

에드워드 6歲 ( Edward VI , 1537年 10月 12日 - 1553年 7月 6日 )는 튜더家 잉글랜드 國王 이다. 當時 잉글랜드의 君主는 아일랜드의 國王을 겸했기 때문에 에드워드 6歲 亦是 두 王國의 君主로 在位하였다.

1537年 10月 12日 헨리 8歲 제인 시모어 사이에서 헨리 8世가 그토록 苦待하던 아들로 태어났다. 에드워드 6世가 태어난 時期 잉글랜드 敎會 는 이미 首長令 으로 로마 가톨릭교회 에서 分離되어 있었기 때문에, 에드워드 6世는 태어나면서 부터 改新敎 로서 자란 잉글랜드의 첫 君主였다. [1] 1547年 2月 20日 아홉살의 나이로 卽位하여 在位 期間 동안 實際 統治는 攝政 에 依해 이루어졌다. 初期 攝政은 外三寸이었던 서머싯 공作家의 에드워드 시모어 이었고 그가 동생 토머스 시모어 과 權力 暗鬪 끝에 沒落한 뒤로는 老섬벌랜드 工作 존 더들리 가 攝政이 되었다.

에드워드 6歲 時期의 잉글랜드는 밖으로는 오랜 宿敵인 스코틀랜드와 如前히 戰爭이 있었고 안으로는 叛亂의 危機를 겪었다. 이러한 일들은 大部分 아버지 헨리 8歲 時期부터 있었던 것들의 연장이었다. 잉글랜드의 宗敎 改革 亦是 繼續되어 잉글랜드 敎會는 神學과 敎理, 組織의 側面에서 漸次 가톨릭과 다른 方向으로 變化하였다. 에드워드 6歲 時期 잉글랜드 敎會 의 가장 큰 變化는 미사 를 廢止하고 聖公會 祈禱書 를 出刊하여 가톨릭과는 다른 前例 를 施行한 것과 聖職者의 獨身 義務를 廢止하여 結婚을 許容한 點이었다.

1553年 에드워드 6世가 深刻한 病에 걸려 漸次 죽음을 避할 수 없게 되자 後繼 問題가 發生하였다. 열다섯에 不過하였던 에드워드 6世는 後嗣가 없었고 헨리 8歲 當時 만들어진 王位繼承法에 따른 後繼者는 篤實한 가톨릭 信者였던 메리 1歲 였기 때문이다. 攝政과 臣僚들은 메리 1世가 卽位할 境遇 그間 進行되었던 宗敎 改革이 無效化 되고 가톨릭으로 復歸할 것이란 點을 두려워하였다. 에드워드 6世는 遺言狀을 통해 王位繼承 序列을 바꾸어 諸人 그레이 를 自身의 後繼者로 指名하였다.

그러나 直系의 王位 繼承을 否定하고 傍系를 내세운 이 措置는 成功하지 못하였다. 메리 1世가 異腹 동생이자 直系로서 함께 王位繼承 序列에서 除外된 엘리자베스 와 함께 이스트앵글리아 에서 擧兵瑕疵 樞密院은 內戰에 對한 두려움으로 메리 1歲의 王位 繼承을 認定하였고, 諸人 그레이는 卽位 9日 만에 廢位되었다.

出生 [ 編輯 ]

에드워드는 1537年 10月 12日 미들섹스 햄프턴코트宮 에서 태어났다. [2] 아버지 헨리 8世는 後繼를 이을 아들을 얻기 위해 이미 두 番이나 破婚하고 세 番째 夫人으로 제인 시모어 를 맞았으며, 마침내 그토록 苦待하던 아들을 얻었다. 國王뿐만 아니라 잉글랜드의 大衆들도 "우리가 그토록 渴望하던" 王子의 誕生을 祝賀하며 安堵하였다. [3] 헨리 8世는 첫 夫人 아라곤 王女 카탈리나 메리 1歲 를 나은 後 流産을 거듭하다 肺經을 맞자 가톨릭 과의 訣別을 무릅쓰며 破婚하였고, 앤 불린 亦是 엘리자베스 1歲 를 나은 後 不和 끝에 破婚하고 處刑하였기 때문에, 사람들은 세番째 王妃의 出産에 神經을 곤두세울 수 밖에 없었다. 敎會는 밤 늦게까지 화톳불을 밝히고 테 데움 을 부르며 祝賀하였고, 런던탑 에서는 2千 발이 넘는 禮砲를 쏘았다. [4]

제인 시모어는 "國王 陛下와 저 사이의 合法的인 結婚으로 孕胎된 王子"의 出産을 알리는 便紙를 썼고 10月 15日 洗禮式을 치렀다. 當時 21歲였던 메리 1世가 異腹 동생인 에드워드의 代母가 되었고, 엘리자베스 1世는 洗禮에 쓰일 聖油를 들었다. [5] 헨리 8世는 에드워드에게 가터 勳章 과 함께 콘월 工作 체스터 伯爵 의 爵位를 내려 自身의 嫡長子임을 宣布하였다. [6] 그러나 제인 시모어는 出産 後 産褥熱 에 시달리다 12日 만인 10月 24日 死亡하였다. 헨리 8世는 프랑스의 프랑수아 1歲 에게 보낸 便紙에서 아들을 얻은 기쁨과 아내를 얻은 슬픔이 함께하는 複雜한 心情을 밝혔다. [7]

幼年期 [ 編輯 ]

에드워드는 健康한 아기였고 헨리 8世는 늦둥이 아들을 너무나도 아꼈다. 그는 에드워드를 품에 안고 뛰어다녔고 발코니에서 사람들이 볼 수 있도록 아들을 들어 올리며 자랑하였다. [8] 1538年 9月 무렵 總理인 토머스 誤들리 는 王子가 健康히 자라고 있다고 記錄하였고 [9] 다른 記錄에서도 이 時期 에드워드는 健康하고 豁達하였다고 적고 있다. 卽位 以後의 內省的 性格과 이른 나이의 死亡 때문에 에드워드는 一般的으로 病弱하였다고 알려져 있으나 첫 돐까지의 記錄은 꼭 그렇지만은 않았다는 見解에 힘을 싣고 있다. [10] 네 살 무렵 말라리아 의 一種인 나흘 熱病을 앓았고 [11] 以後로도 間或 熱病에 걸렸으나 視力이 나빴다는 點을 빼면 死亡 前 半 年 동안의 病勢 外에는 크게 健康을 잃지는 않았다. [12]

Painting of Prince Edward as a baby, depicted with regal splendour and a kingly gesture. He is dressed in red and gold, and a hat with ostrich plume. His face has delicate features, chubby cheeks and a fringe of red-gold hair.
1538年 한스 홀바인 이 그린 1歲 무렵 에드워드 6歲의 肖像 [13]

親母가 死亡하였기 때문에 어린 에드워드 6世는 여시종長들이 보살폈다. 에드워드 6世는 後날 自敍傳的인 年代記에서 스스로 "女人들 품에서 자랐다"고 表現하였다. [14] 王子를 위한 宮殿은 側近들의 責任 아래 保安課 淸潔이 强調되었다. 헨리 8世는 "이 나라의 가장 貴重한 寶石"인 王子의 保護에 各別히 注意할 것을 命令하였다. [15] 에드워드는 吟遊詩人들을 包含한 여러 사람들의 訪問을 받으며 各種 장난감에 둘러쌓인 幸福한 아이로 자랐다. [16]

正式 敎育은 6歲부터 始作하였으며 캐임브리지의 主敎였던 리처드 콕스와 캐임브리지 大學校의 그리스어 敎授였던 존 체크와 같은 人物들로 부터 當時 유럽 王室 敎育의 一般的 境遇와 같이 言語, 哲學, 聖經, 自由 學科 等을 배웠다. [17] 이 外에도 算術, 各國의 言語, 류트 버니널 과 같은 樂器의 演奏 等 多樣한 分野의 學習이 이루어졌고 [18] 토머스 크랜머 等으로부터 反가톨릭과 宗敎 改革의 正當性을 學習하였다. 1549年 무렵이 되자 에드워드 6世는 敎皇 적그리스도 로 稱하는 作文을 하게 되었다. [19] 헨리 8歲의 首長令 以後 잉글랜드 敎會 는 가톨릭과 分離되어 改新敎 를 標榜하였으나, 當時까지도 駐交際 아래의 聖職者가 미사 를 擧行하는 等 敎理와 組織 面에서 가톨릭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20]

에드워드의 異腹 누나인 메리와 엘리자베스 모두 동생에게 각별한 關心을 보였다. 엘리자베스는 直接 뜬 셔츠를 주기도 하였고 [21] 메리는 外國의 춤을 선보이기도 하였다. 에드워드는 메리에게 外國 춤은 맘에 들지 않는다고 하였지만, 1546年 보낸 便紙에서 "누나를 가장 사랑한다"고 썼다. [22] 헨리 8世는 앞 선 두 番의 破婚 過程에서 自身의 딸들에 對한 王位繼承權을 剝奪하였다. 16世紀 무렵 基督敎는 가톨릭과 改新敎를 莫論하고 結婚을 죽음을 맞을 때까지 維持하여야 할 神聖한 것으로 보았기 때문에 헨리 8歲의 破婚은 公式的으로는 離婚이 아니라 結婚 無效 宣言이었다. 첫 夫人 카탈리나의 境遇 兄인 아서와 이미 結婚한 狀態였기 때문에 自身의 結婚은 無效라 主張하였고, 앤 불린의 境遇 結婚 無效를 主張하기 위해 姦通罪와 反逆罪를 씌웠다. 그 結果 長女인 메리와 次女인 엘리자베스 모두 正常的인 結婚에 依한 子女로서 認定되지 않았고 結局 王位繼承權度 剝奪된 狀態였다.

1543年 헨리 8世는 自身의 뒤를 이을 에드워드가 無事히 잘 자라자 마음이 누그러졌다. 새로 맞이한 王妃인 캐서린 파 가 딸들과의 和解를 勸하자 [23] 헨리 8世는 그間 自身의 處事가 正當했음을 認定하는 條件 아래 두 딸의 王位繼承權을 復權시켰다. [24] 이미 長子인 에드워드가 後繼를 이을 것이 분명하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에드워드는 새어머니人 캐서린 파를 잘 따랐다. 1546年 9月 캐서린 派에게 보낸 便紙에서 에드워드는 自身이 "말로 다 할 수 없는 恩惠"를 받았다며 "가장 사랑하는 어머니"라 불렀다. [25]

헨리 8世는 有數한 貴族 家門의 資材들을 불러모아 에드워드와 함께 敎育받고 놀 수 있도록 하였다. 外四寸 윌리엄 시드니는 後날 當時의 에드워드가 "溫和하고 寬大한 아이"였다고 回想하였다. [26] 헨리 8世는 王子의 房을 플랑드르의 값비싼 태피스트리 로 꾸미고 온갖 寶石으로 治粧된 食器를 들였으며 [27] 自身의 趣向에 따라 王子 亦是 軍隊의 指揮官처럼 外樣을 꾸미게 하였다. 헨리 8世는 에드워드에게 各種 寶石과 金으로 裝飾된 短劍을 차도록 하였다. [28] 에드워드 亦是 이러한 아버지의 熱望을 물려받아 1547年 스스로 作成한 年代記에서 特히 戰爭과 關聯한 冒險 이야기를 熱誠的으로 記錄하였다. [29]

거친 求愛 [ 編輯 ]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는 오랜 宿敵이었고 늘 武力 衝突이 끊이지 않았다. 헨리 7歲 는 自身의 딸 마거릿 튜더 를 스코틀랜드의 제임스 4歲 와 婚姻시켰으나 以後로도 두 나라의 戰爭은 繼續되었다. 1542年 11月 솔웨이 모스 戰鬪에서 잉글랜드가 勝利하자 이 敗北로 神經衰弱에 빠진 제임스 5歲 가 結局 死亡하고 태어난 지 1週日에 不過하였던 스코틀랜드의 메리 가 王位를 繼承하였다. 헨리 8世는 아버지인 헨리 7새의 前例를 따라 에드워드와 스코틀랜드의 메리를 結婚시켜 잉글랜드가 霸權을 쥔 가운데 두 王國의 葛藤을 終結시키고자 하였다. 스코틀랜드는 헨리 8歲의 結婚 提案을 받아들였고 1543年 7月 1日 約婚이 宣布되었지만, 헨리 8世가 갖난아기였던 女王을 볼모로 삼기 위해 잉글랜드로 보내라 要求하자 스코틀랜드는 이를 拒否하고 프랑스와 同盟을 맺었다. 1544年 4月 헨리 8世는 激忿하여 自身의 側近이자 에드워드의 外三寸인 하트퍼드 伯爵 에드워드 시모어에게 "에든버러를 불태우라"고 命令하였다. [30] 이로서 잉글랜드의 侵攻이 다시 始作되었고 두 國家는 피비린내 나는 戰鬪를 치렀다. 結婚을 要求하는 軍事 作戰이었다는 意味에서 "거친 求愛"라 불리는 이 事件은 두 國家 사이의 敵對的 感情을 더욱 키웠다. 잉글랜드는 結局 에든버러를 불태우며 軍事的 勝利를 거두었지만, 이 事件으로 스코틀랜드는 더욱 잉글랜드를 警戒하고 프랑스와 同盟을 强化하였기 때문에 헨리 8歲의 意圖는 實現되지 못하였다. [31] :297

卽位 [ 編輯 ]

Profile of the prince against a blue background
1543-46年 무렵의 에드워드 6歲 肖像. 作者 未詳.

1547年 1月 10日 에드워드 6世는 아버지 헨리 8世와 繼母 캐서린 派에게 새로운 肖像畫 製作에 感謝하는 便紙를 썼다. [32] 1月 28日 헨리 8世가 死亡하였으나 側近인 에드워드 시모어와 윌리엄 페짓은 後繼 問題가 圓滑히 整理될 때까지 國王의 崩御를 公表하지 않기로 하였다. 當時 에드워드 6世는 누나 엘리자베스와 함께 하트퍼드에 있었고 에드워드 시모어는 騎兵頃 앤서니 브라운과 함께 하트퍼드에 가 遺言狀을 朗讀하고 에드워드 6歲를 엔필드로 옮기게 하였다. [33]

1月 31日 議會에서 헨리 8歲의 死亡과 에드워드 6歲의 承繼가 發表되었다. [34] 에드워드 6世는 傳統的 管레에 따라 戴冠式 準備를 위해 런던탑 으로 옮겨졌고 템스江에 碇泊해 있던 船舶들과 런던탑에서는 數 많은 禮砲를 쏘며 새 國王을 맞이하였다. [35] 이틑날 主要 貴族들이 에드워드 6歲를 謁見한 가운데 當時 아홉살이었던 새 國王을 代身하여 政治를 擔當할 攝政인 호국경 으로 에드워드 시모어가 指名되었다. [36] 헨리 8世는 自身의 遺言에 따라 2月 16日 윈저성 에 安葬된 제인 시모어 의 무덤 옆에 묻혔다. [37]

2月 19日 에드워드는 헨리 6歲 의 前例에 따라 런던탑에서 웨스트민스터 寺院까지 行進하였다. 헨리 6世도 여덟 살의 나이에 戴冠式을 치렀기 때문이다. [38] 이튿날 2月 20日 에드워드 6世는 웨스트민스터 寺院 에서 戴冠式 擧行하였고 [39] 새 國王이 어렸기 때문에 너무 기나긴 意識에 지쳐 注意가 흩으러지면 國王의 威嚴에 누가 될 것이라는 理由로 一部 意識이 省略되고 短縮되어 進行되었다. [40] 戴冠式을 마친 에드워드 6世는 세인트폴 大聖堂 밖에 마련된 서커스 公演을 觀覽하였다. 에드워드는 自身의 年代記에서 "數 많은 장난감과 공들을 들고 줄을 타는 스페인 광대"를 보았다고 記錄하였다. [41]

캔터배리 大主敎 토머스 크랜머는 에드워드 6歲를 聖經 속 요시아 에 빗대었다. [42] 요시아는 여덟 살에 王位에 올라 當時 宗敎를 改革한 人物이다. 크랜머는 어린 나이에 卽位하는 새 國王 亦是 宗敎 改革을 이루기를 祈願하며 "當身의 主管 아래 로마 主敎의 暴政이 물러나고 偶像들이 치워질 것"이라 祝願하였다. [43] 戴冠式 以後 이어진 宴會에서 에드워드 6世는 王冠을 머리에 쓴 채 食事하였다고 한다. [44]

서머싯 工作 攝政機 [ 編輯 ]

서머싯 工作 에드워드 시모어

헨리 8世는 16 名의 臣僚를 自身의 遺言을 執行할 顧命大臣 으로 삼아 에드워드 6歲가 18歲에 이를 때까지 攝政이 統治하도록 하였다. 顧命大臣들 가운데 열둘은 헨리 8歲의 樞密院에 所屬된 側近들이었다. [45] 當時 헨리 8歲의 宮廷은 두 個의 派閥 로 나뉘어 있었고 [46] 그 中 하나였던 노퍽 工作 토머스 하워드는 反逆罪로 런던탑에 갖히고 財産이 沒收된 狀態였다. [47] 이에 따라 에드워드 시모어가 權力의 核心에 接近할 수 있었는데 當時부터 헨리 8歲의 遺言狀은 이들이 加筆한 것이라는 所聞이 돌았다. [48] 實際 헨리 8歲의 遺言狀에는 호국경에 對한 地名이 없고 顧命大臣들의 協議에 따라 國政을 運營할 것을 當付하고 있다. [49] 事實이 어떻든 에드워드 시모어는 서머싯 公爵의 爵位를 받고 호국경 으로서 攝政이 되었다. [50]

나이 어린 國王을 代身할 攝政으로 호국경을 임명하는 것은 이미 前例가 있었기 때문에 [51] 서머싯 公爵의 攝政에 對한 큰 反撥은 없었고, 새로 호국경이 된 서머싯 工作 에드워드 시모어는 스코틀랜드와 프랑스에 對한 軍事的 對立에서 自身의 能力을 보일 수 있었다. 1547年 3月 서머싯 公爵은 事實上 君主의 權限을 모두 行使하는 免許를 承認받았다. [52] 그는 그저 樞密院의 決定에 署名만 하는 位置에 머무를 생각이 없었고 自身의 政策을 公表하고 推進하였다. [53]

서머싯의 攝政 統治는 큰 難關 없이 이루어졌지만 當時 神聖 로마 帝國 의 런던 駐在 大使였던 프랑수아 半데르 델프트는 로버트 더들리의 負傷을 이미 에上하고 있었다. [54] 그러나 表面的으로 서머싯 工作에 對한 反對者는 總理였던 토머스 라이어서슬리 뿐이었는데 宗敎的으로 保守的이었던 그는 攝政이 宗敎 政策까지 關與하는 것은 越權이라고 批判하였고, 結局 解任되었다. [55] 서머싯 工作 에드워드 시모어는 自身이 決定한 事項을 어떻게든 밀어부쳐야 直星이 풀리는 强迫的 性格으로 情緖가 不安하였고 이는 結局 沒落의 原因으로 作用하였다. [31] :297

토머스 시모어 [ 編輯 ]

에드워드 시모어의 攝政 統治에 가장 큰 골칫거리는 동생인 토머스 시모어였다. 그는 露骨的으로 兄 에드워드 시모어의 權力을 嫉視하여 "싹 속의 벌레"로 描寫되었다. [56] 토머스 시모어는 에드워드 시모어를 代身하여 自身이 攝政의 자리를 차지하려는 欲望을 숨기지 않았다. [57] 에드워드 시모어는 동생에게 男爵 의 爵位를 내리고 樞密院의 議員으로 임명하는 等 懷柔하고자 하였으나 이러한 措置들은 토머스 시모어의 野望만 부추길 뿐이었다. 토머스 시모어는 어린 國王에게 따로 用돈을 주며 兄이 너무 인색하여 國王을 "거지 王"으로 만들고 있다고 非難하였고 [58] 에드워드 6世에게 2年 內에 親庭에 나서길 促求하였다. [59] 1547年 봄 헨리 8歲의 繼妃였던 캐서린 波와 結婚한 토머스 시모어는 當時 열세살이었던 엘리자베스 와 갖 열한살이 된 제인 시모어 를 自身의 집으로 불러들여 後見人을 自處하였다. [60]

1548年 여름 캐서린 派가 妊娠한 사이 토머스 시모어는 엘리자베스에게 性的으로 接近하였다. 캐서린 파는 처음에 男便의 行動이 어린 아이에 對한 장난인 것으로 여겼으나 어느날 토머스 시모어가 엘리자베스를 끌어안고 있는 모습을 發見하자 [61] 엘리자베스를 앤서니 데니의 집으로 옮기도록 하여 이 事態를 마무리지었다. 그해 9月 캐서린 파는 딸 메리를 낳고 産褥熱을 앓다 死亡하였다. 토머스 시모어는 캐서린 派의 葬禮가 치러지기 무섭게 엘리자베스에게 便紙를 보내 自身과 結婚할 것을 慫慂하였으나 엘리자베스는 王位繼承權者로서 自身의 婚姻은 議會의 承認이 必要하다는 口實로 이를 拒否하였다. [62] 그러자 토머스 시모어는 어린 諸人 그레이에게 接近하기 始作하였고 攝政인 에드워드 시모어는 더 以上 동생을 傍觀할 수 없게 되었다. 1549年 1月 토머스 시모어는 王族과 結婚을 통한 權力 簒奪 試圖 嫌疑와 함께 造幣局 業務를 하며 橫領을 저질렀다는 嫌疑로 起訴되었고 1549年 3月 20日에 斬首刑을 當했다. [63]

戰爭 [ 編輯 ]

에드워드 시모어는 自他가 公認하는 有能한 指揮官이었고 스코틀랜드와의 戰爭에서 眞價를 유감없이 發揮하였다. [64] 1546年 프랑스가 當時 잉글랜드의 領土였던 칼레 周邊의 불로뉴 를 攻擊하자 이를 훌륭하게 防禦해 내었으며 1547年 9月 스코틀랜드軍에 壓倒的 勝利를 거둔 뒤 아예 스코틀랜드를 征服하여 合倂하려는 計劃을 세웠다. 그러나 에드워드 시모어의 이러한 計劃은 오히려 스코틀랜드가 프랑스와 同盟을 맺으며 反撥하는 結果를 불러왔다. [65] 스코틀랜드는 女王 메리가 프랑스의 皇太子인 프랑수아 와 約婚하여 同盟을 굳건히 하면서 잉글랜드에 抵抗하였고 [66] 잉글랜드는 언제라도 反擊이 있을 수 있는 스코틀랜드의 征服地에 常時的으로 軍隊를 駐屯시켜야 하였기에 莫大한 財政을 消耗하였다. [67] 1549年 8月 프랑스가 再次 블로뉴를 攻擊하자 에드워드 시모어는 撤軍할 수 밖에 없었다. [68]

叛亂 [ 編輯 ]

羊은 溫順한 動物이지만 잉글랜드에서는 人間을 잡아 먹는다.
?  토머스 모어 의 《 유토피아 》에서

16世紀 무렵 잉글랜드의 社會 問題는 잉글랜드의 宗敎 改革 에 따른 葛藤과 大地主들이 그間 共用으로 使用하던 土地에 울타리를 두르는 인클로저 로 인한 地域 農民들의 貧困 惡化였다. 둘은 모두 잉글랜드에 强力한 反撥을 誘發하였으며 結局 叛亂으로 이어졌다. 1549年 콘월 데번 에서는 宗敎 改革에 反對하는 祈禱書 叛亂 이 일어났고, 노퍽 에서는 인클로저에 反撥한 케트의 난 이 일어났다. [69] 大地主들은 自身이 所有한 土地는 自身의 意思에 따라 利用하고 處分할 수 있다고 생각한 反面, 小作農들은 中世부터 이어져 온 慣例에 따라 公有地로 利用되던 땅마저 울타리를 두르는 것은 不法이라 여겼고, 當時 잉글랜드는 이에 對한 法律이 模糊하였기 때문에 인클로저를 둘러싼 葛藤은 種種 流血 事態로 飛火하였다. [70]

서머싯 工作 에드워드 시모어는 인클로저에 反撥하는 農民에 對해 矛盾的인 態度를 보여 事態를 키웠다. [71] 그는 한便에서는 公有地 侵害 等의 民願에 對해 調査官을 派遣하여 農民들의 主張을 받아들이는 듯한 모습을 보이면서도 다른 便으로는 地主의 權利 主張 亦是 認定하여 事實上 事態를 傍觀하였다. [72] 인클로저 問題에 對한 調査 責任者 존 헤일스는 이를 宗敎와 聯關지어 福音主義的 價値觀을 헤치며 共同體를 破壞하는 行爲라 報告하였는데 [73] 그의 이러한 判斷은 一部 地域에서 國王이 울타리 破壞를 支持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졌고 [74] 에드워드 亦是 自身의 年代記에서 케트의 亂이 "울타리 破壞에 對한 許可"로 始作되었다고 적었다. [75]

인클로저에 對한 反撥이 蜂起로 이어지자 서머싯 公爵은 結局 叛亂을 武力으로 鎭壓하였고 케트는 런던탑에 가두어졌다가 絞首刑에 處해졌다. 그러나 中央政府의 不分明한 態度는 잉글랜드 各地에서 비슷한 事態를 불러왔고 地方政府는 所要를 鎭壓할 餘力이 不足하여 인클로저로 因한 各地의 騷擾 事態는 이듬해까지도 繼續되었다. [31] :297

서머싯 公爵의 沒落 [ 編輯 ]

인클로저를 둘러싼 騷擾 事態 鎭壓 過程에서 보인 서머싯 公爵의 無能은 結局 沒落의 端初가 되었다. 顧命大臣 가운데 하나였던 패짓은 에드워드 시모어에게 "우리 모두 當身의 執行 方式이 마음에 들지 않았지만 그에 따랐으나 이제는 다른 이들이 두려움을 느낄 수 있도록 보다 嚴正한 執行이 있어야 한다"는 便紙를 보냈다. [76] 이로서 서머싯의 地位는 매우 不安한 狀態가 되었고 結局 존 더들리가 쿠데타 에 準하는 行動을 할 餘地를 주었다. [77]

1549年 10月 1日 自身의 地位가 深刻한 威脅을 받고 있다고 느낀 에드워드 시모어는 國王을 윈저성 으로 옮기고 權力을 維持하고자 하였다. 當時 에드워드 6世는 "내가 監獄에 갖혀 있는듯 하다"고 記錄하였다. [78] 한便 樞密院과 議會는 에드워드 시모어의 攝政 地位가 헨리 8歲의 地名이 아닌 自身들의 推戴에 依한 것임을 分明히 밝히면서 攝政의 地位를 剝奪하였다. 10月 11日 에드워드 시모어가 逮捕되고 윈저城에서 事實上 軟禁 狀態에 있던 에드워드 6世는 리치먼드宮으로 돌아왔다. [79] 에드워드 6世는 그間 서머싯 工作이 보인 獨斷的인 統治에 對한 不滿이 컸다. [80]

1550年 2月 워릭 伯爵 존 더들리가 새로운 權力者로 떠올라 攝政의 자리를 이었다. 서머싯 公爵은 런던탑에서 釋放된 뒤 再起를 꿈꾸며 더들리를 失脚시키고자 하였으나 失敗하였고 結局 1552年 1月 國事犯으로 處刑되었다. [81] 一部에서는 에드워드 시모어의 失脚이 內心 엔클로저에 對해 스스로도 反感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農民을 代辯하고자 하였으나 旣得權層인 다른 貴族들에게 逐出되었다는 評價가 있지만 [82] 그저 自身의 獨斷的 決定을 固執할 뿐 內亂 大處에 無能하였던 冷淡한 統治者였다는 評價도 있다. [83]

老섬벌랜드 工作 攝政機 [ 編輯 ]

老섬벌랜드 工作 존 더들리

1550年 존 더들리는 老섬벌랜드 公爵의 爵位를 받고 새 攝政이 되어 實權을 잡았다. 그는 탐욕스럽고 國王을 쥐고 흔든 人物로 描寫되지만 [84] 서머싯 工作과 달리 現實的인 國政 掌握 能力을 지니고 있었다. [85] 에드워드 시모어가 失脚하자 神聖 로마 帝國의 카를 5歲 는 이 機會를 틈타 잉글랜드의 宗敎 改革을 無效化하고 自身들의 影響力을 强化하기 위해 樞密院의 滿場一致制 運營을 支持하였지만 [86] 새롭게 執權한 존 더들리는 國王이 이미 充分히 判斷할 나이에 이르렀다며 이를 拒否하고 自身이 攝政으로서 實權을 쥐는 樞密院 運營을 固守하고 宗敎 改革을 繼續하여 推進하였다. [87] 宗敎 面에서 保守的이었던 패짓은 神聖 로마 帝國과 協助하여 왔으나 불로뉴를 고 繼續되는 프랑스와의 葛藤에서 神聖 로마 帝國이 잉글랜드의 利益을 擁護하지 않을 것이 분명해지자 더들리의 便으로 돌아섰다. [88] 1552年 1月 14日 失脚한 에드워드 시모어를 國事犯으로 處刑한 뒤 존 더들리는 名實 相扶한 잉글랜드의 實權者가 되었다. [89] 존 더들리는 비록 호국경의 稱號를 받지는 않았으나 明白한 政府의 首長이었다. [89]

에드워드 6世가 얼마나 政務에 關與했는 지는 確實하지 않지만 最小限 더들리의 報告에 對해 自身의 判斷을 이야기 할 수 있는 程度는 되었다고 여겨진다. [90] 에드워드 6世가 열네살이 되었을 때 세워진 王室資産 管理委員會의 委員은 에드워드 6世가 直接 임명하였다. [91] 에드워드 6世는 樞密院의 윌리엄 細實果 윌리엄 피터 等의 人物로 부터 政府의 運營 狀況을 定期的으로 報告받았다. [92] 에드워드 6歲의 意志가 直接的으로 反映된 것은 宗敎 政策으로 그는 强力한 改新敎 政策의 推進을 願했다. [93]

서머싯 工作 에드워드 시모어가 自身의 決定을 먼저 公表하고 政府가 이를 推進하도록 하였던 데 反해 老섬벌랜드 工作 존 더들리는 보다 隱密하고 緻密한 方法을 選好하였다. 그는 먼저 實務 擔當者에게 自身의 意中을 傳하고 公式的으로는 實務 擔當者의 建議를 採擇하는 方法을 取함으로서 政府를 보다 效率的으로 統制할 수 있었다. [94] 樞密院의 議員들에게도 같은 方法을 使用하여 미리 意見을 統制하였기 때문에 더들리의 權力은 시모어에 비해 더욱 堅固하게 維持될 수 있었다. [95] 歷史가 존 가이는 "시모어와 마찬가지로 더들리 亦是 王과 다를 바 없는 權力을 쥐었으나 시모어가 王의 權威를 無視하는 態度를 보인데 反해 더들리는 外見上 徹底히 國王을 받드는 모습을 보였다"고 評價한다. [96]

對外 關係에서 더들리는 財政 消耗를 줄이기 위한 實用的 路線을 取했는데 스코틀랜드에 駐屯한 軍隊를 撤收 하고 프랑스와도 和親을 맺어 블로뉴 防禦를 위한 費用을 아낄 수 있었다. 1551年 에드워드 6世는 프랑스 앙리 2歲 의 딸인 발루아의 엘리자베트 와 約婚하여 兩國 和親의 證票로 삼았다. [97] 프랑스는 이에 對한 答禮로 에드워드 6世에게 生 미셸 勳章 을 授與하였다. [98] 더들리는 地域의 叛亂에 對한 鎭壓과 統制의 責任을 地方政府에 맡겨 中央軍 維持 費用을 줄였다. [99] 이로서 잉글랜드는 財政 支出 壓迫을 줄일 수 있게 되었지만, 後날 地方 領主들이 國王에 對抗하여 蜂起할 때 이를 鎭壓할 中央軍이 마땅치 않은 結果를 가져오게 된다.

惡化가 良貨를 構築한다.
?  토머스 그레셤

더들리의 政策은 이렇듯 深刻한 赤字 狀態였던 財政의 回復에 集中되었으나 [100] 國庫의 빠른 回復을 위해 貨幣의 價値를 떨어트리는 質的低下 의 誘惑을 避할 수는 없었다. [101] 當時 잉글랜드의 貨幣는 에 主로 九里 等의 다른 金屬을 一定量 섞은 合金인 스털링 실버 로 鑄造되었는데, 더들리는 銀의 含量을 낮추어 額面價 보다 實質價値가 낮은 "惡化"를 發行하였다. 貨幣 價値의 質的 低下는 結局 經濟 危機를 불렀고 더들리는 토머스 그레셤 에게 經濟 問題의 主導權을 넘겨줄 수 밖에 없었다. 그레셤은 惡化가 流通되면 正常的 實質 價値를 지니는 "洋畫"는 無斷으로 녹여져 은이 抽出될 것이 때문에 "惡化가 良貨를 構築한다"고 警告하였다. 1552年 무렵이 되자 다시 주화의 信賴가 回復되면서 經濟 危機 狀況은 改善되기 始作하였지만, 이 때 일어난 經濟 問題는 以後 엘리자베스 1世의 治世에 이르기까지 잉글랜드의 痼疾的 問題로 남게 되었다. [102] 더들리는 財政 問題 克服을 위해 大大的인 財務 調査에 着手하여 橫領을 團束하고 稅務 業務를 改革하였다. 헛점이 많던 近代 以前의 國家라는 點을 勘案할 때 이는 매우 뛰어난 成果를 보였고 "튜더 王朝 政府의 가장 뛰어난 業績 가운데 하나"로 불린다. [103]

宗敎 改革 [ 編輯 ]

Portrait of Archbishop Cranmer as an elderly man. He has a long face with a large nose, dark eyes and rosy cheeks. He wears clerical robes with a black mantle and brown vestments over full white sleeves and has a doctoral cap on his head. He holds a liturgical book in his hands.
캔터베리 大主敎 토머스 크랜머 . 에드워드 6歲 時期 宗敎 個驛에 큰 影響力을 行使하였다.

老섬벌랜드 工作 존 더들리의 政府는 宗敎 改革에 對해서는 以前 서머싯 公爵의 政策들 繼承하여 改新敎火 政策을 强行하였다. [104] 나이 어린 君主였던 에드워드 6世는 政府에 對해서는 별다른 影響力이 없었으나 잉글랜드 敎會의 改新敎化에 對해서는 熱情的인 意志를 드러냈다. 에드워드 6世는 아버지 헨리 8歲 時期부터 로마 敎皇情에 對한 格下와 잉글랜드 敎會 分離의 正當性에 對해 徹底히 敎育받고 자랐기 때문에 그저 "로마의 主敎"에 不過한 敎皇이 잉글랜드 敎會에 對한 管轄權을 主張하는 것에 決코 同意할 수 없었다. 그는 헨리 8歲 時期 이미 한 次例 進行된 바 있는 修道院 解體와 敎會 財産 沒收 및 拂下를 再開하여 王室과 側近의 資産을 불렸다. [105] 當時 유럽에서 가톨릭 敎會는 어느 나라를 莫論하고 가장 큰 土地를 所有한 地主이기도 하였기 때문에 에드워드 6世의 이러한 政策은 宗敎的일뿐만 아니라 매우 政治的 事案일 수 밖에 없었다. [106] 에드워드 6歲 時期 말이 되면 잉글랜드 敎會가 所有하고 있던 土地의 大部分은 이미 拂下가 完了되어 새로운 主人이 생겼다. [107]

헨리 8歲의 首長令 은 自身의 破婚을 許諾하지 않는 敎皇廳에 對한 反旗에서 出發하였기 때문에 잉글랜드 敎會의 組織이나 神學은 가톨릭과 그다지 다를 바가 없었다. 그러나 一旦 敎會의 分離 獨立이 宣言되자 잉글랜드 敎會 亦是 루터敎會 칼뱅주의 와 같은 改新敎 의 一員으로 여겨졌다. 서머싯 孔雀이나 老섬벌랜드 公爵의 個人的 信仰이 어떠하였는 지는 意見이 紛紛하지만, 태어날 當時 이미 잉글랜드 敎會의 分離 獨立이 이루어져 있었고 자라면서 徹底히 改新敎的 宗敎 敎育을 받은 에드워드 6世는 宗敎 改革에 매우 剛한 意志를 지니고 있었다. 後날 존 폭스 는 에드워드 6歲를 "敬虔한 임프 "라 부르며 그의 宗敎改革에 對한 熱情을 기렸다. [108]

에드워드 6世는 在位 期間 동안 種種 요시아 로 描寫되었다. 舊約聖經 에 登場하는 요시아는 여덟살의 나이에 卽位하여 바알 의 偶像을 破壞한 人物이다. [109] 아주 어릴 때부터 基督敎的 敬虔함을 重要한 德目으로 배운 에드워드 6世는 異腹 누나인 메리 가 基督敎人 답지 않은 外國의 춤과 노래를 즐기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고 캐서린 派에게 要請할 程度였다. [110] 그러나 現在 남아있는 記錄들은 에드워드 6歲의 뒤를 이은 메리 1歲의 가톨릭 復歸 時도 때 抑壓받은 改新敎徒들의 것이 主를 이루고 있어 實際 보다 誇張되게 에드워드 6歲의 敬虔함을 부풀린 側面이 있다. [111]

잉글랜드의 宗敎 改革 은 헨리 8歲 時期부터 傳統的 價値는 保存되어야 한다는 傳統主義者와 聖像 破壞 運動 과 함께 急進的 改革을 主張한 熱性主義者들의 兩 갈래가 함께 進行되었다. 헨리 8歲의 個人的 理由로 觸發되었다고 하더라도 잉글랜드에서 宗敎 改革이 擴散될 수 있었던 要因에는 가톨릭에 對한 批判과 함께 유럽 全域에서 進行中이던 宗敎 改革 이 잉글랜드에서도 이미 뜨거운 影響을 미치고 있었기 때문이다. 1549年 캔터베리 大主敎 토머스 크랜머 는 그 동안 라틴語 로 進行되던 前例 英語 를 使用하도록 한 統一前禮法의 財政을 主導하였다. [112] 그러나 이를 통해 만들어진 聖公會 祈禱書 는 宗敎 改革의 兩 갈래 모두에게 不滿이었는데, 盛饌 을 兩 손으로 높이 드는 儀式을 削除한 것은 傳統主義者들에게 큰 不滿 事項이었고 [113] , 前例에 如前히 가톨릭的 意識이 많이 남아 있다는 것은 熱誠主義者들의 攻擊을 받았다. [114] 한便 잉글랜드 敎會의 主敎들 相當數는 如前히 가톨릭을 固守하고자 하였고 새 공동기圖書에 反撥하다 投獄되었다. [115] 이는 大衆들도 마찬가지여서 1549年 祈禱書 叛亂으로 5千5百 名 以上의 사람들이 목숨을 잃었다. [116]

잉글랜드 敎會는 前例뿐만 아니라 神學에 있어서도 가톨릭과 다른 길을 걷기 始作하였다. 聖職者의 特權的 地位를 否定하고 平信徒 가 直接 神과 疏通할 수 있다는 오직 믿음 과 같은 改新敎 神學이 採擇되었고 [117] 1550年 布告는 聖職者가 이끄는 前例를 가톨릭의 "산 者와 죽은 者를 爲한 미사 "가 아니라 福音을 傳播하고 盛饌을 나누는 禮拜 라고 規定하였다. [118] 잉글랜드 敎會의 改革은 해를 거듭하며 繼續되어 前例에서 무릎을 꿇는 意識이 削除되었고 [119] 1551~52年 사이 더 明示的인 文句로 敎會法을 改正하여 共同祈禱書를 다시 編纂하였다. [120] 特히 聖餐禮에서 實際 그리스도의 몸과 피가 임재한다는 가톨릭의 化體說 을 否定하여 事實上 미사를 廢止하였다. [121] 잉글랜드 國敎會의 化體說 不正은 後날 刑罰法 審査律 과 같은 非國敎徒 抑壓 制度의 基準으로 作用하였다.

잉글랜드 敎會는 組織面에서 駐交際 를 維持하여 如前히 主敎 가 敎區를 管轄하였으나 聖職者의 獨身 義務는 廢止하여 結婚을 許容하였다. 이로서 잉글랜드 敎會는 單純하게 로마 敎皇廳의 管轄을 받지 않는 獨自的 敎會를 뛰어 넘어 神學 面에서도 差異를 分明히 하는 獨自的 基督敎 敎派 로 자리잡기 始作하였다. 그러나 크랜머의 改革은 에드워드 6歲 死亡 以後 메리 1世가 卽位하면서 中止되었다. [122]

約婚 [ 編輯 ]

1550年 열세살이 된 에드워드 6世는 프랑스의 발루아의 엘리자베트 와 約婚하였다. [123] 當時까지 잉글랜드의 對外 關係는 스코틀랜드와 프랑스를 對敵하며 神聖 로마 帝國과 同盟하는 것이었는데, 神聖 로마 帝國은 低地帶 를 놓고 프랑스와 對立하고 있었고 잉글랜드는 칼레를 놓고 프랑스와 對立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더즐理는 이 結婚 同盟으로 그 동안의 同盟關係를 바꾸고자 하였고 프랑스로서도 後方에 對한 걱정없이 低地帶에 集中할 수 있었기 때문에 祕密裏에 推進되었다. 그러나 兩國의 協商은 敎皇廳에서 알게되었고 敎皇 율리우스 3歲 는 波紋 狀態인 잉글랜드와 結婚을 推進하면 프랑스의 앙리 2世와 엘리자베트 亦是 波紋될 것이라 威脅하였다. [123] 프랑스는 敎皇의 威脅에도 아랑곳 않고 結婚을 推進하며 持參金의 規模를 20萬 에키 로 合意하였으나 에드워드 6世가 死亡하여 成事되지 못하였다.

死亡 [ 編輯 ]

에드워드 6世는 1553年 2月 病에 걸렸고 몇 次例의 好戰果 惡化를 거듭하다 6月 무렵 可望없는 狀態에 이르렀다. [124] 에드워드 6世는 오른쪽 肺에 甚한 苦痛을 느꼈고 [125] 發熱과 咯血을 보였다. [126] 當時 醫師들은 肺에 腫瘍이 생긴 것으로 判斷했지만 [127] 베네치아 大使는 肺結核 에 걸린 것으로 本國에 報告하였다. [128] 에드워드 6世는 지난 해인 1552年에도 紅疫 을 앓았기 때문에 免疫力이 매우 弱해진 狀態였다. [129] 오늘날의 觀點에서 볼 때 에드워드 6歲의 疾病은 感染에 依한 肺炎 이 適切한 治療가 없어 肺膿瘍 敗血症 으로 惡化된 것으로 보인다. [130] 오랜 期間 極甚한 苦痛을 겪자 에드워드 6世는 自身의 個人 敎師였던 존 케이크에게 "차라리 죽게 되어 기쁘다"고 속삭였다고 한다. [131]

當時 王位繼承序列은 1543年 헨리 8歲가 規定한 繼承法에 따라 에드워드 6歲의 子女들에게 優先 順位가 주어졌지만 열여섯 살의 어린 君主가 子女 없이 死亡하게 됨에 따라 男妹인 메리와 엘리자베스가 次例로 繼承 順位를 지니고 있었다. 더즐理와 樞密院은 篤實한 가톨릭 敎徒인 메리가 卽位할 境遇 그間의 宗敎 改革을 無爲로 돌릴 것이 分明하였으므로 이를 回避하기 위해 王位繼承法을 變更하였다. [132] 에드워드 6世는 自筆로 作成한 遺言狀에서 直系인 메리와 엘리자베스 모두를 배재하고 傍系인 諸人 그레이 를 指名하였는데 에드워드 6歲 亦是 가톨릭에 對한 反感이 크기는 하였으나 自身의 穩全한 醫師라기 보다는 더들리의 意見을 따른 것으로 보인다. 한便 더들리는 에드워드 6歲의 死亡以後 自身의 地位를 維持하기 위해 諸人 그레이를 自身의 아들과 서둘러 婚姻시켰다. [133]

에드워드 6歲의 遺言狀은 헨리 8歲가 아라곤 王女 카탈리나와 앤 불린과의 結婚을 無效로 宣言하였으므로 그 子女인 메리와 엘리자베스 亦是 赤字가 아닌 庶子일 뿐이기 때문에 繼承權이 없다는 論理를 폈지만 [134] , 이미 十餘 年 前 復權된 繼承 序列을 無爲로 돌리기엔 無理가 있었다. [135] 에드워드 6歲의 死亡이 旣定 事實로 굳어지자 各國의 大使들은 잉글랜드 王位의 向方을 점치며 本國에 報告하였다. 이들은 잉글랜드의 壓倒的 多數가 直系 繼承을 支持하는 雰圍氣를 傳하면서도 死亡前 公表된 遺言狀이 確固하게 諸人 그레이를 指名하고 있기 때문에 별다른 異變 없이 王位가 繼承될 것이라 豫測하고 있었다. [136] 現代에 이르기까지 諸人 그레이를 後繼로 指名한 것은 더들리가 主導한 陰謀라는 것이 一般的 見解이지만 [137] 20世紀 後半 以後 에드워드 6歲의 能動性을 再評價하며 國王의 强力한 意志도 한 몫하였다는 評價가 있다. [138] 實際 遺言의 作成과 推進에서 더들리의 影響은 매우 컸지만 에드워드 6歲 亦是 最小限 메리를 後繼에서 除外하는 것에 同調하였기 때문에 傍系의 繼承 地名이 可能했다는 것이다. [139]

1553年 7月 6日, 에드워드 6世는 在位한 지 6年 만에 16살의 나이로 病死하였다. 後날 존 폭스는 에드워드 6歲가 "疲困합니다. 主님 제게 慈悲를 배푸시어 제 靈魂을 거두어 주십시오"라고 마지막 말을 남겼다고 記錄하였다. [140] 에드워드 6世는 1553年 8月 8日 웨스트민스터 寺院에 安葬되었다. [141] 어린 나이의 國王이 死亡하자 當時에는 毒殺을 비롯한 다양한 陰謀論이 뒤숭숭하게 돌았다. [142] 攝政인 더들리가 權力에 對한 野慾으로 國王을 毒殺하였다는 말들이 돌았다. [143] 한便에서는 가톨릭 復歸를 念願하던 메리 1世가 自身의 王位를 위해 毒殺하였다는 所聞도 있었다. [144] 이런 所聞들은 모두 事實에 根據하였다기 보다는 反對 勢力에 對한 反感에 따른 陰謀論이었지만, 에드워드 6世가 諸人 그레이를 後繼로 定하자 모두의 耳目은 直系인 메리 1世가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 지로 向했다.

事後 [ 編輯 ]

에드워드 6歲가 病席에 눕게 되자 더들리는 메리 1世에게 定期的으로 國王의 狀態를 알렸다. 메리 1世는 잉글랜드 政府의 通知 外에도 神聖 로마 帝國의 臺詞를 통해 別途로 狀況을 把握하고 있었다. [145] 에드워드 6歲의 死亡이 臨迫하자 더들리는 메리 1世에게 國王의 臨終을 지켜달라는 便紙를 보냈다. 이에 따라 메리 1世는 런던으로 出發하였으나 只今 런던에 가면 拘禁될 것이라는 警告를 받는다. 메리 1世는 事態가 尋常치 않음을 알고 이스트앵글리아로 발길을 옮겼다. 그 사이 더들리는 에드워드 6歲의 死亡 發表를 미루고 諸人 그레이를 慣例에 따라 런던탑으로 옮겨 卽位式을 準備하게 하였다. [146]

7月 10日 發表된 諸人 그레이의 王位 繼承 宣言은 그다지 좋은 評判을 얻지 못하였다. 누가 보아도 合當한 直系를 놔두고 傍系를 王位로 올린 것은 常識的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한便 메리 1世는 이스트잉글랜드에서 軍隊를 모으며 自身의 權利를 되찾겠다 宣言하였다. 더들리로서는 메리 1歲의 身柄을 確保하지 못한 것이 뼈아픈 失策이었다. [147] 메리 1歲를 위해 軍隊에 加擔한 사람들의 相當數는 그 동안 宗敎 改革에서 抑壓받던 가톨릭 信徒들이었지만 直系의 王位 承繼를 支持하고자 加擔한 사람들도 많았다. [148] 메리 1世는 이 事態가 宗敎에 따른 問題가 아닌 直系와 傍系의 問題라는 點을 浮刻시키고자 그 동안 自身의 競爭者였던 엘리자베스를 自身의 陣營에 加擔시켰다. 이제 잉글랜드는 王位繼承을 두고 內戰이 벌어질 狀況에 處했고 7月 19日 더들리가 決戰을 위해 런던을 떠난 사이 樞密院은 諸人 그레이를 廢位시키고 메리 1歲를 合當한 繼承者로 宣布하였다. [149]

이로서 메리 1世는 戰鬪 없이 런던에 無血 入城할 수 있었다. 엘리자베스와 나란히 들어서는 메리 1歲의 一行을 런던 市民들은 歡呼하였다. 8月 22日 더들리는 反逆罪로 斬首되었고 [150] 廢位 된 諸人 그레이 亦是 여러 가지 處分 方案이 論議되는 가운데 아버지인 헨리 그레이가 와이어트의 난 에 加擔하자 結局 處刑되었다. [151]

기타 [ 編輯 ]

마크 트웨인 의 小說 < 王子와 거지 >는 그를 모델로 하였다. [152]

各州 [ 編輯 ]

  1. “5 Fascinating Facts about King Henry VIII's son, King Edward VI” . 2018年 3月 11日. 2021年 12月 17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9年 11月 19日에 確認함 .  
  2. Loach 1999 , 4쪽.
  3. Hugh Latimer , bishop of Worcester, quoted by Erickson 1978 , 181쪽 .
  4. Loach 1999 , 5?6쪽 .
  5. Loach 1999 , 5?6쪽 .
  6. Erickson 1978 , 182쪽.
  7. Skidmore 2007 , 20쪽.
  8. Loach 1999 , 8쪽 .
  9. Loach 1999 , 8쪽 .
  10. e.g.: Elton 1977 , 372쪽 ; Loach 1999 , 161쪽 ; MacCulloch 2002 , 21쪽 .
  11. Skidmore 2007 , 27쪽.
  12. Skidmore 2007 , 33, 177, 223?234, 260쪽.
  13. Foister 2006 , 100쪽.
  14. Skidmore 2007 , 22쪽 ; Jordan 1968 , 37?38쪽 .
  15. Skidmore 2007 , 23쪽 ; Jordan 1968 , 38?39쪽 .
  16. Loach 1999 , 9?11쪽.
  17. Loach 1999 , 11?12쪽 ; Jordan 1968 , 42쪽 .
  18. Jordan 1968 , 40쪽 ; MacCulloch 2002 , 8쪽 .
  19. Loach 1999 , 13?16쪽 ; MacCulloch 2002 , 26?30쪽 .
  20. Skidmore 2007 , 38쪽 .
  21. Skidmore 2007 , 26쪽.
  22. Skidmore 2007 , 38?37쪽 ; Loach 1999 , 16쪽 .
  23. Starkey 2004 .
  24. Mackie 1952 , 413?414쪽 ; Guy 1988 , 196쪽 .
  25. Skidmore 2007 , 34쪽.
  26. Skidmore 2007 .
  27. Skidmore 2007 , 35?36쪽.
  28. Skidmore 2007 , 36쪽 ; Strong 1969 , 92쪽 .
  29. Loach 1999 , 53?54쪽 see Jordan 1966 for full text
  30. Wormald 2001 , 58쪽.
  31. 케네스 O. 모건, 《옥스퍼드 寧國寺》, 한울, ISBN 978-89-460-6133-0
  32. Strype, John, Ecclesiastical Memorials , vol 2, part 2, (1822), 507?509, 'tua effigies ad vivum expressa.'
  33. Jordan 1968 , 51?52쪽 ; Loades 2004 , 28쪽 .
  34. Loach 1999 , 29쪽 .
  35. Jordan 1968 , 52쪽.
  36. Loach 1999 , 29쪽 .
  37. Loades 2009 , 207쪽.
  38. Loach 1999 , 33쪽.
  39. Loach 1999 , 30?38쪽.
  40. Jordan 1968 , 65?66쪽 ; Loach 1999 , 35?37쪽 .
  41. Skidmore 2007 , 59쪽.
  42. Skidmore 2007 , 61쪽 ; MacCulloch 2002 , 62쪽 .
  43. Jordan 1968 , 67쪽.
  44. Jordan 1968 , 65?69쪽 ; Loach 1999 , 29?38쪽 .
  45. Loach 1999 , 17?18쪽 ; Jordan 1968 , 56쪽 .
  46. Starkey 2002 , 130?145쪽.
  47. Starkey 2002 , 130?145쪽 ; Elton 1977 , 330?331쪽 .
  48. Loach 1999 , 19?25쪽 . In addressing these views, Loach cites, among others: Redworth, G. (1990). 《In Defence of the Church Catholic: the Life of Stephen Gardiner》. Oxford. 231?237쪽.   ; Brigden, Susan (1994). “Henry Howard, Earl of Surrey, and the Conjoured League”. 《Historical Journal》. xxxvii (3): 507?537. doi : 10.1017/S0018246X00014862 . S2CID   159477777 .   ; and Ives, Eric (1992). “Henry VIII's Will: A Forensic Conundrum”. 《Historical Journal》: 792?799.   .
  49. Starkey 2002 , 138?139쪽 ; Alford 2002 , 69쪽 .
  50. Loach 1999 , 19?25쪽 .
  51. Alford 2002 , 49?50, 91?92쪽 ; Elton 1977 , 333쪽 .
  52. Alford 2002 , 70쪽 ; Jordan 1968 , 73?75쪽 .
  53. Alford 2002 , 66쪽.
  54. Jordan 1968 , 69, 76?77쪽 ; Skidmore 2007 , 63?65쪽
  55. Loades 2004 , 33?34쪽 ; Elton 1977 , 333쪽 .
  56. Loades 2004 , 34쪽.
  57. Elton 1977 , 333, 346쪽.
  58. Loades 2004 , 36쪽.
  59. Loades 2004 , 36?37쪽 ; Brigden 2000 , 182쪽 .
  60. Erickson 1978 , 234쪽.
  61. Somerset 1997 , 23쪽.
  62. Loades 2004 , 37?38쪽.
  63. Alford 2002 , 91?97쪽.
  64. Brigden 2000 , 183쪽 ; MacCulloch 2002 , 42쪽 .
  65. Mackie 1952 , 485쪽.
  66. Wormald 2001 , 62쪽 ; Loach 1999 , 52?53쪽 .
  67. Brigden 2000 , 183쪽 .
  68. Elton 1977 , 340?41쪽.
  69. Loach 1999 , 70?83쪽.
  70. Elton 1977 , 347?350쪽 ; Loach 1999 , 66?67, 86쪽 .
  71. Loach 1999 , 60?61, 66?68, 89쪽 ; Elton 1962 , 207쪽 .
  72. Loach 1999 , 61?66쪽.
  73. MacCulloch 2002 , 49?51쪽 ; Dickens 1967 , 310쪽 .
  74. "Their aim was not to bring down government, but to help it correct the faults of local magistrates and identify the ways in which England could be reformed." MacCulloch 2002 , 126쪽 .
  75. Loach 1999 , 85쪽.
  76. Loach 1999 , 87쪽.
  77. Elton 1977 , 350쪽 .
  78. Brigden 2000 , 192쪽.
  79. Elton 1977 , 350쪽 .
  80. Quoted in Loach 1999 , 91쪽 . By "Newhaven" is meant Ambleteuse , near Boulogne.
  81. Guy 1988 , 212?215쪽 ; Loach 1999 , 101?102쪽 .
  82. Elton 1977 , 333 n ; Alford 2002 , 65쪽 . A. F. Pollard had taken this line in the early 20th century, echoed later by Edward VI's 1960s biographer W. K. Jordan . A more critical approach was initiated by M. L. Bush and Dale Hoak in the 1970s.
  83. Elton 1977 , 334?350쪽.
  84. Hoak 1980 , 31?32쪽 ; MacCulloch 2002 , 42쪽 .
  85. Alford 2002 , 25쪽 ; Hoak 1980 , 42, 51쪽 .
  86. Loach 1999 , 92쪽.
  87. Brigden 2000 , 193쪽 .
  88. Elton 1977 , 351쪽.
  89. Elton 1977 , 350?352쪽.
  90. Alford 2002 , 157쪽.
  91. Alford 2002 , 162?165쪽.
  92. Alford 2002 , 165?166쪽.
  93. Elton 1977 , 354, 371쪽.
  94. Loach 1999 , 94쪽.
  95. Hoak 1980 , 36?37쪽.
  96. Guy 1988 , 215쪽.
  97. Guy 1988 , 218?219쪽 ; Loach 1999 , 108쪽 Edward sent Elisabeth a "fair diamond" from Catherine Parr's collection.
  98. Carroll 2009 , 55쪽.
  99. Elton 1977 , 355쪽 ; Loach 1999 , 105쪽 .
  100. Elton 1977 , 355쪽.
  101. Loach 1999 , 110쪽 ; Hoak 1980 , 41쪽 .
  102. Elton 1977 , 356쪽.
  103. Elton 1977 , 357?358쪽.
  104. MacCulloch 2002 , 56쪽.
  105. Dickens 1967 , 287?293쪽.
  106. Elton 1962 , 204?205쪽 ; MacCulloch 2002 , 8쪽 .
  107. Elton 1962 , 210쪽.
  108. Brigden 2000 , 180쪽 ; Skidmore 2007 , 6쪽 .
  109. MacCulloch 2002 , 14쪽.
  110. Skidmore 2007 , 38쪽 .
  111. Loach 1999 , 180?181쪽 , pointing out, following Jordan, that Edward's Chronicle records nothing of his religious views and mentions no sermons; MacCulloch 2002 , 21?29쪽 , countering that Edward's notebook of sermons, which was once archived and documented, has since been lost.
  112. Elton 1977 , 345쪽 .
  113. Brigden 2000 , 190쪽 ; Haigh 1993 , 174쪽 ; Dickens 1967 , 305쪽 .
  114. Elton 1977 , 345쪽 .
  115. Brigden 2000 , 193쪽 .
  116. “Solly, Meilon. "The Myth of 'Bloody Mary", Smithsonian Magazine . 2022年 5月 6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21年 5月 12日에 確認함 .  
  117. Brigden 2000 , 188?189쪽.
  118. Mackie 1952 , 517쪽 ; Elton 1977 , 360쪽 ; Haigh 1993 , 168쪽 .
  119. Elton 1977 , 361, 365쪽.
  120. Dickens 1967 , 340?349쪽.
  121. Brigden 2000 , 196?197쪽 ; Elton 1962 , 212쪽 .
  122. Elton 1977 , 366쪽.
  123. Baumgartner 1988 , 123쪽.
  124. Loach 1999 , 159?162쪽 .
  125. Skidmore 2007 , 244?245쪽.
  126. Loach 1999 , 159쪽.
  127. Loach 1999 , 160쪽 ; Skidmore 2007 , 254쪽 .
  128. Skidmore 2007 , 260쪽 .
  129. Skidmore 2007 , 260쪽 .
  130. Loach 1999 , 159?162쪽 .
  131. Skidmore 2007 , 254쪽.
  132. Starkey 2001 , 111?112쪽.
  133. Ives 2009 , 321쪽 ; Loades 1996 , 238?239쪽 .
  134. Ives 2009 , 167쪽.
  135. Loach 1999 , 163쪽 ; Jordan 1970 , 515쪽 .
  136. Loades 1996 , 256?257쪽.
  137. Ives 2009 , 128쪽.
  138. Starkey 2001 , 112쪽.
  139. Hoak 1980 , 49쪽.
  140. Skidmore 2007 , 258쪽 ; Loach 1999 , 167쪽 . See Foxe's Acts and monuments, VI, 352.
  141. Loach 1999 , 167?169쪽.
  142. Loach 1999 , 160쪽 ; Jordan 1970 , 520 n 1쪽
  143. Dickens 1967 , 352쪽.
  144. Skidmore 2007 , 258?259쪽.
  145. Loades 1996 , 239?240, 237쪽.
  146. Jordan 1970 , 521쪽.
  147. Elton 1977 , 375쪽 ; Dickens 1967 , 353쪽 .
  148. Jordan 1970 , 524쪽 ; Elton 1977 , 375쪽 .
  149. Jordan 1970 , 529?530쪽.
  150. Loades 2004 , 134?135쪽.
  151. Tittler 1991 , 11쪽 ; Erickson 1978 , 357?358쪽 .
  152.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外部 링크 [ 編輯 ]

參考 文獻 [ 編輯 ]


前 代
헨리 8歲
英國의 君主
1547年 - 1553年
後 臺
諸人 그레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