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알村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알村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알村
αλχον(ν)ο

 

 

370年 ~ 670年
국장
알村 貪가
500~530年 사이 알村 훈族의 地理的 擴張과 周邊의 政治 集團들을 나타낸 地圖. [1] [2] 알村 훈族은 5世紀 後半에 廣範圍하게 擴張되었을 것이다. [3]
수도 카피社
우다밤다
사갈라
政治
政治體制 遊牧帝國

430年 ~ 490年
515年 ~ 540年

킹길라
미히라쿨라
지리
位置 북인도
人文
共通語 브라흐미 文字 (글)
박트리아어
宗敎
宗敎 시바교
佛敎
조로아스터교
기타
現在 國家 인도 印度
파키스탄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 아프가니스탄
以前 國家
다음 國家
키다라
死産 帝國
굽타 帝國
에프탈
네자크 훈族
튀르크 샤히
訝鬱리카라 王朝
카르코打 王朝
무카리 王朝
後굽타 王朝
彈크 王國
칼라推理 王朝

알村 ( 박트리아어 : αλχον(ν)ο ), 또는 알村 勳 은 4世紀부터 6世紀까지 中央아시아 南아시아 에 國家를 세운 遊牧民이었다. [4] 그들은 파로派미사다이 에 位置한 것으로 처음 言及되었고 나중에 南東쪽으로 擴張되어 펀자브 와 印度 中部, 에란과 카우샴非 까지 擴張하였다. 알村의 印度 亞大陸 侵攻은 그들보다 約 100年 앞서 있었던 키다라 훈族 을 根絶하고 굽타 帝國 의 沒落에 寄與했으며, 어떤 意味에서 告傳旗 印度 의 終末을 가져왔다. [5] [6]

後나족 에 依한 印度의 侵略은 BC 2世紀의 야바나( 印度-그리스 ), AD 2世紀의 사카( 印度-스키타이 ), AD 3世紀의 팔라바( 印度-파르티아 ) 및 쿠샤나( 月池 )에 依한 印度 亞大陸 侵略의 延長이었고, 그들이 세운 알村 帝國은 中央아시아와 南아시아에 세워진 네 個의 後나족 國家 中 세 番째 帝國이었다. 알村은 키다라 다음에 出現하고 박트리아 에프탈 힌두쿠시 네자크 勳 에 依해 繼承되었다. 알村 王들의 이름은 廣範圍한 주화, 佛敎 記錄, 印度 亞大陸 全域에 새겨진 여러 記念 碑文을 통해 알려져 있다.

알村은 오랫동안 에프탈 의 一部 또는 下位 分派 또는 東部 集團으로 看做되었지만 오늘날에는 別途의 獨立體로 看做되는 傾向이 있다. [4] [7] [8]

이름 [ 編輯 ]

'알村'이라는 이름은 論難의 餘地가 있다. 그 이름은 오직 그들의 銅錢과 印章의 文字에서만 登場하는데, 박트리아 文字 에서는 '알콘(alkhon(n)o)' 또는 '알칸(alkhan(n)o)'으로, 산스크리트語 에서는 라카나(lakh?na)로 登場한다. 프란츠 그레넷 (Frantz Grenet)은 페르시아 의 終末論的 書籍인 『Zand-i Wahman yasn』를 引用하여, 거기서 證明된 이름인 '카름 키오니테스르 시온(Karm Chionitesr Xyon)'李 事實 알콘(Alkhon(n)o)의 飜譯이었을 수 있다고 主張했다. 그에 따르면 첫番째 漁具 '카름(karm)'은 튀르크어 빨간色 을 의미하고, 두番째 漁具 '키오니테스르(Chionitesr)'는 民族 이름인 (Hun)을 의미한다고 한다. H.훔바흐의 더 오래된 主張에 따르면, 두番째 語句는 分明히 훈族을 의미하기는 하지만, '알(Al-)'이라는 이름은 알란族 에게서 왔다고 한다.

'알樵奴(αλχοννο)' 라는 그리스 文字가 새겨진 알村 王 킹길라의 銅錢. [9] [10] [11]

한스 바커(Hans Bakker)는 '훈'에 對한 박트리아 單語 * uono(複數型 uonono)가 이미 存在하므로, -khan이나 khon이라는 單語는 '훈'이라는 民族을 包含할 可能性을 낮게 만든다고 보았다. 마찬가지로, 號다다드 레자카니(Khodadad Rezakhani)는 '알카나(Alkhana)'라는 이름이 西部 카슈미르 에서 統治者를 뜻하는 名稱이라고 했으며, 이는 아마도 처음에는 個人的인 이름이었을 것이라고 主張했다. 바커는 代身 民族 名稱이 個人的인 이름으로 使用되었을 수도 있다고 主張했다. 게다가, 알村 훈族='붉은 훈族' 理論은 알村 훈族이 튀르크어 를 使用해야 한다는 것을 前提로 하는데, 이것은 매우 論爭거리이다. 아구스티 알레摩尼(Agusti Alemanny)도 마찬가지로 움바흐의 語源이 '알란 훈族'의 不充分한 證據에 依存하고 있다고 指摘한다.

'알村'이라는 이름이 그들의 銅錢과 印章에만 登場하므로, 알村이 에프탈과 別個의 存在였는지에 對한 論爭이 있다. 同時代의 印度人들은 에프탈과 알村을 區分하지 않고, 團地 ' 後나족 ( H??as)'이라고만 불렀다. 카우샴非 에서 發見된, 알村 王 土라마나 와 關聯되어 있는 것으로 推定되는 印章에는 '後나라子(H?nar?ja, 후나族의 王)'이라는 稱號가 새겨져 있었지만, 그 眞僞는 疑心스럽다. 토라마나는 印度 中部의 리스탈 碑文에서 後나( H??? )로 描寫되기도 한다.

後나족은 同時代의 페르시아 文獻에서 Xwn, Xiyon 및 이와 類似한 이름으로 알려진 民族들이었던 것으로 보이며, 조금 더 後에 로마에서는 Xionites 또는 Chionites로 불려졌다. 後나족은 種種 同時代에 유럽을 侵攻한 훈族 과 關聯이 있을지도 모른다. 따라서 '훈'이라는 單語는 使用되는 脈絡에 따라 若干씩 다른 세 가지의 意味를 가진다.

1) 유럽의 훈族 .

2) 印度 北部를 侵攻한 알村 훈族, 또는 이들과 類似하거나 同一 民族일 수 있었던 中央아시아의 여러 遊牧 部族들을 包含한 廣範圍한 意味의 名稱.( 後나족 )

3) 훈族 / 後나족 과 關聯된 不足 全體를 指稱하는 模糊한 用語.

이 세 가지의 要素 中에 알村 훈族은 本質的으로 두 番째와 세 番째 條件에 符合하여 '훈族'으로 分類되었다.

外貌 [ 編輯 ]

왼쪽 : 알村 王 킹길라의 銅錢 肖像畫( c.  450年 ).
오른쪽 : 사마르칸트에서 發掘된 길쭉한 頭蓋骨. 人工 頭蓋骨 變形의 結果物이다.( c.  600~800年 ) 아프라시압 사마르칸트 博物館 所藏.

알村 훈族의 外貌 中 두드러지는 特徵은 바로 人工 頭蓋骨 變形 의 結果인 길쭉한 머리인데, 이는 '그들의 正體性'을 나타내었을 수 있다. 길쭉한 머리는 알村 훈族이 鑄造한 銅錢에 있는 統治者들의 肖像畫 全般에서 뚜렷하게 나타나고, 그 中 킹길라의 肖像畫가 唯獨 눈에 띄인다. 그들이 자랑스럽게 여겼던 이 길쭉한 머리는 以前의 키다라인 과 같은 他 民族들과 區別되는 獨特한 特徵이었다. 또한 이것은 에프탈 이나 키多라인들이 鑄造한 銅錢에서 確認되는 死産式 王冠과 비슷한 役割을 했을 것이다. 이 風習은 스텝 地域의 다른 民族들(特히 훈族 ) 사이에서도 알려져 있었으며, 나중에 그들이 西쪽으로 移動하면서 유럽 까지 알려졌다.

또 다른 風習으로는 鬚髥이 없는 얼굴이 있는데, 이 또한 死産 帝國 이 鑄造한 銅錢에서 確認되는 豐盛한 鬚髥을 가진 死産 皇帝들과 分明히 對照的인 點이다.

이러한 風習(길쭉한 머리, 鬚髥없는 얼굴)은 이란 神話 속의 英雄 로스貪 을 表現한 7世紀 板紙센트 壁畫에서 確認되듯이, 알村 훈族 뿐만 아니라 當時 中央아시아 遊牧 不足들 大部分에게 流行했던 것으로 보인다.

象徵性 [ 編輯 ]

알村 훈族이 그들의 正體性을 確認하고 以前의 키다라인 과 스스로를 差別化하기 위해 選擇한 또 다른 方法 中 하나는, 銅錢과 印章에 週期的으로 그들의 象徵, 卽 貪가 ( )를 새겨넣는 것이었다.

歷史 [ 編輯 ]

박트리아 侵攻(370年) [ 編輯 ]

알村 훈族은 처음에는 서기 370年頃 박트리아 地域에서 登場하였고, 以後 西쪽으로는 死産 帝國 , 南東쪽으로는 키다라 와 接했다고 記錄되어 있다.
알村 훈族의 銅錢 및 貪가
死産式 銅錢의 디자인을 模倣한 알村 훈族의 初期 銅錢으로, 肖像畫는 死産 皇帝 샤푸르 2歲(在位 309~379年)과 類似하다. 알村人들은 다만 거기에다가 그들의 貪가 ( )를 追加하고, 뒷面에 박트리아 文字 '알樵奴(αλχοννο)'를 새겼을 뿐이다. 400~440年 사이에 鑄造된 것으로 推定. [12] [13] [14]

샤푸르 2歲 의 統治 期間 동안, 死産 帝國 쿠샨-死産人 들은 박트리아 의 支配權을 漸次 喪失하기 始作했고, 그 자리는 中央아시아 에서 온 侵略者들로 代替되었다. 그中 가장 먼저 頭角을 드러낸 것은 335年에 到着한 키다라族 이었고, 그 後 370年 頃에는 알村 훈族, 그리고 마지막으로 450年 무렵에 에프탈 이 出現했다.

샤푸르 2歲 治下의 死産 帝國 中央아시아 에서 온 遊牧民 集團들 사이의 初期 對立은 로마 의 歷史가 癌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 에 依해 描寫되었다. 그는 書記 356年에 샤푸르 2歲가 東쪽 國境에서 겨울을 보냈다고 記錄했다. 이에 따르면 그의 目的은 '帝國과 接境한 異民族들人 유제니(Euseni?)와 쿠세니(Cuseni, 아마도 쿠샨族 으로 推定)의 敵對行爲를 물리치는 것'이라고 한다. 마침내 358年에 死産 帝國은 '모든 不足들 中에서 가장 好戰的이고 지칠 줄을 모르는' 그들과 同盟 條約을 締結하였다. 以後 그룸바테스 라 불리는 後나족 왕이 이끄는 軍隊가 아미다 攻城戰에서 死産 軍隊와 함께한 것이 確認된다. 癌미아누스는 카스피해 東部 땅에서 샤푸르 2歲가 後나족 들과의 戰鬪에서 勝利한 것을 目擊하고 描寫했을 것이다.

알村 훈族은 370年頃 박트리아 를 占領하고 키다라인 들을 印度 方面으로 밀어냈으며, 샤푸르 2歲 의 死産式 銅錢을 模倣한 銅錢을 鑄造했다. 하지만 그들은 거기에 '알樵奴(αλχοννο)'라는 박트리아 文字를 追加했다.

카不利스탄 侵攻(358年) [ 編輯 ]

380~385年 무렵, 알村 훈族이 侵入하여 카피社 를 비롯한 카不利스탄 一帶를 死産 帝國으로부터 奪取해갔으며, 同時에 키다라族 간다라 를 占領했다. 때때로 알村 훈族은 388年에 힌두쿠시 南部를 掌握하고 카불을 占領했다고 한다.

銅錢 [ 編輯 ]

알村 훈族은 처음에 死産式 銅錢을 模倣하여 匿名의 銅錢을 鑄造했다. 이 中 많은 銅錢들이 알려져 있는데, 普通 박트리아 에서 發行되었으며, 死産 皇帝 샤푸르 2歲 (在位 309~379年)와 샤푸르 3歲 (在位 383~388年)을 模倣한 胸像과 함께 死産 樣式의 디자인이 얼핏 나타난다. 뒷面에는 알村 族의 貪가 와 박트리아 文字(BC 3世紀 무렵 그리스-박트리아人 들에 依해 이 地域에 導入된 그리스 文字 를 一部 脚色한 것)로 '알樵奴(αλχοννο)'라는 이름이 追加되었다.

간다라(460年) [ 編輯 ]

銅錢에 描寫된 킹길라의 肖像畫 中 하나. 430~490年 사이에 製作된 것으로 推定.

430年 頃, 가장 有名한 알村 훈族의 統治者이자 박트리아어 로 '傳說(χιγγιλο)'이라는 稱號를 받은 킹길라 王(在位 430~490年)이 登場하여, 키다라인을 몰아내고 힌두쿠시 를 가로지르는 經路를 掌握했다. 이는 킹길라와 메하마 의 銅錢이 카불 南東쪽 메스 아이樂 의 佛敎 寺院에서 發見되는것으로 確認된다. 킹길라는 死産 皇帝 바흐람 5歲 와 同時代의 人物이었던 것 같다. 이 時期를 다룬 피르다우시 의『샤나메』중 한 部分에는 킹길라를 '印度의 王'이라고 描寫하고 있다.

킹길라와 함께 알村 훈族의 統治者 中 한名인 메하마 (在位 461~493年)는 死産 皇帝 페로즈 1歲 의 總督으로 格上되었고, 스스로를 '有名하고 蕃盛한 페로즈 王의 總督이자 南部 박트리아의 王'으로 稱했다. 메하마는 466年에 페로즈 1世와 同盟을 맺고 키다라인 들을 멸망시켰고, 페로즈 1世가 그의 兄弟인 호르미즈드 3歲 에 맞서 王位를 차지하는 데 도움을 주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는 名目上으로만 死産 帝國 의 봉신이었을 뿐이었으며, 實際로도 그는 마음만 먹는다면 自治權이나 獨立權을 取할 수 있었다.

460~470年 사이에 알村 族은 간다라 펀자브 地域을 占領하고 굽타 帝國을 印度 東部로 밀어냈다. 그러나 그들은 에프탈 의 擴張과 키다라 의 滅亡에 따른 空白 地域을 單純히 차지했을 수도 있다. 確實한 것은 알村 훈族이 이 地域을 征服한 以後 키다라인의 북인도 統治가 完全히 終熄되었다는 것이다.

大英博物館에 있는 銀그릇.
알村族 騎馬戰社. [15]
간다라에서 發見된 이른바 ' 에프탈 銀그릇'에는 特徵的인 王冠을 쓴 키다라인 戰死 두名과 알村인 戰死 두名(그 中 한名은 頭蓋骨 變形 의 痕跡이 나타남)이 登場한다. 이는 비록 알村 훈族이 키다라의 統治를 종식시켰음에도 不拘하고 두 民族 사이에 平和로운 共存이 이루어졌음을 暗示한다. 書記 460~479年 사이에 製作된 것으로 推定. 오늘날 大英博物館 所藏.</ref>

現在 大英博物館에 所藏되어 있는, 간다라 에서 發見된 이른바 '에프탈 銀그릇'과 더불어 수많은 證據들이 키다라인 과 알村人들 사이에 平和로운 共存의 時期가 있었음을 證明한다.

알촌족은 當時 간다라 地域의 學問 中心地였던 탁실라 의 佛敎 寺院과 스투파 를 모조리 破壞해버렸는데, 이는 數十年이 지난 뒤에도 回復되지 않았다. 이 地域에서 發見된 거의 모든 알村 銅錢들이 불타버린 寺院 廢墟에서 發見되면서 이 破壞 行爲가 立證되었다. 한便 이러한 破壞的인 野蠻人들의 侵略 물결 동안 一部 地域 統治者들은 激烈하게 抵抗했고, 그 過程에서 알村 族의 一部가 死亡했을 것이다. 高大에 가장 有名하고 높은 佛敎 建築物 中 하나였던 카니슈카 스투파 는 書記 460年 무렵 그 地域을 侵略한 알村人들에 依해 破壞되었다. 펀자브의 摩尼칼라 스투파 또한 이 期間에 破壞되었을 수 있다.

5世紀부터 알村 훈族은 帝國을 共同 統治하는 몇몇 王들의 指導 아래 印度 北西部를 侵略하기 始作했다. 비타리 기둥 鼻紋 에 따르면, 굽타 皇帝 스칸다굽타 는 456年에서 457年 사이에 이름이 不分明한 후나族의 統治者와 싸워서 이겼다고 한다.

신드 [ 編輯 ]

5世紀 무렵에 鑄造된, 이름이 不分明한 훈族 族長을 描寫한 신드 銅錢.

書記 480年頃부터 알村 훈族이 인더스 江 河口와 물탄 사이에 있는 신드 地域을 占領했다는 主張이 있는데, 이는 신드 地域에서 鑄造되는 死産式 銅錢에 太陽 象徵物이나 후나族의 貪가 가 새겨지기 始作했기 때문이다. 이 잘 알려지지 않은 銅錢들은 大部分 '에프탈'의 侵入의 産物로 描寫된다. 實際로 이 무렵 신드山 銅錢의 品質이 以前에 鑄造되었던 死産式 銅錢보다 훨씬 低下되었으며, 금 含有量 또한 相當히 減少된 것으로 나타났다.

意外의 寄與 [ 編輯 ]

바카打카 帝國 의 統治者 하리세나가 아잔타 石窟 을 築造할 무렵, 후나人 들은 西部 데칸 地域의 入口인 말와 地域을 支配하고 있었다. 後나족은 印度 北西部의 廣大한 地域을 掌握함으로써, 간다라 地域과 西部 데칸 地域 사이에 文化를 傳達해주는 다리 役割을 했을지도 모른다. 아잔타 石窟과 避脫코라 石窟 의 많은 裝飾品들이 주름이 豐富한 衣服과 섬세하면서도 現實的인 人體描寫 等 간다라 樣式으로 表現된 것이 確認된다.

第1次 훈族 戰爭: 中部 印度 [ 編輯 ]

카우샴非
카우샴非 에 있는 考試타라마 修道院은 토라마나가 이끄는 後나족 侵略者들에 依해 破壞되었을 것이다. [16]
카우샴비에서 發見된 印章. ' 후나族의 王 (H?na R?ja)'이라는 內容이 새겨져 있다. [17]

第 1次 훈族 戰爭(495~515)에서 알村 훈族은 最大 領土 範圍에 到達했으며, 알村 王 土라마나 는 印度 領土 깊숙히 밀고 들어가 印度 中部의 구자라트 마디아프라데시 까지 到達하여 窮極的으로 굽타 帝國 의 沒落에 寄與했다. 알村 훈族은 南쪽으로는 적어도 구자라트 北部, 그리고 아마도 바루카차 港口까지 侵略했다.

한便 東쪽으로는 中央 人道를 넘어 훨씬 멀리까지, 토라마나의 이름이 새겨진 印章이 發見된 카우샴非 까지 侵略했을 것이다. 카우샴비는 아마도 그들이 말와를 占領하기 前인 497~500年 즈음에 약탈되었다. 特히 카우샴비에 있는 考試타라마 修道院은 토라마나에 依해 破壞된 것으로 推定된다. 以後 토라마나의 아들 미히라쿨라 를 描寫한 印章이 카우샴비에서 또다시 發見되었는데, 이는 굽타 皇帝 붓다굽타 또는 그의 後繼者 나라審下굽타 의 統治 期間에 製作되었을 것이다.

에란 戰鬪(510年) [ 編輯 ]

말와 에서 훈族과 굽타 軍隊 間의 決定的인 戰鬪가 벌어졌는데, 아마도 굽타 軍隊는 그 地域의 現地 굽타 總督이었던 바누굽타 가 指揮하고 있었다. 바누굽타는 碑文에서 그의 軍隊가 서기 510年 에란 戰鬪에서 深刻한 人命 被害를 입었다고 報告했다. 碑文의 內容과 實際 歷史的 事實을 考慮해보면, 아마도 에란 戰鬪에서 바累굽타는 토라마나가 이끄는 훈族 軍隊에게 敗北했을 것이고, 굽타 帝國의 西部 地域인 말와 가 통째로 후나族에게 넘어갔다.

알村 王 土라마나 의 肖像畫. 그는 카우샴非 를 掠奪하고 말와 를 占領했다. [18]

6世紀 京義 佛敎 作品인 『대방광보살장문수사리근본의궤경(大方廣菩薩藏文殊師利根本儀軌經)』, 산스크리트語 : ?ryamanju?r?­m?lakalpa) [19] 에 따르면, 바누굽타는 마가다 로 征服을 繼續한 ' 수드라 ' 土라마나 에게 말와를 喪失했고, 後繼者인 나라審下굽타 발라디티野는 벵골 地域으로 後退해야 했다고 한다. 또한 토라마나는 '雄壯한 威容과 偉大한 軍隊를 지닌' 가우다 (오늘날 벵골)의 聖地를 征服했으며, 나라審下굽타의 아들로 推測되는 프라카打디야(Prakataditya)라는 이름의 새로운 王을 바라나시 에서 卽位시켰다고 한다.

에란에 있는 印度 神 비슈누의 10가지 化身 中 하나인 '바라하(맷돼지)' 彫刻像. 목 部分에 토라마나의 統治를 言及하는 에란 맷돼지 碑文이 새겨져 있다. [20]

Mah?r?jadhir?ja Shr? Toram??a
偉大한 王, 土라마나
에란 맷돼지 碑文에 굽타 文字로 새겨져 있다. [21]
굽타 樣式으로 鑄造된 土라마나 金貨.
뒷面에는 "地球를 征服한 土라마나, 地上의 君主가 天國을 이긴다."라는 文句가 새겨져 있다. [22] [23]

토라마나가 굽타 帝國으로부터 말와를 빼앗고 그의 領土에 追加한 歷史的 事實은, 에란 地域의 碑文에 言及되어 그 地域에 對한 그의 統治를 확인시켰다. 그의 첫 番째 攝政 年度에 만들어진 에란 맷돼지 碑文은 말와 동부가 그의 支配 下에 들어왔음을 나타낸다. 이 碑文은 맷돼지의 목 部分에 브라흐미 文字 로 새겨져 있는데, 그 中 토라마나가 ' 마하라자디라子 (皇帝)'라고 紹介되는 碑文의 첫 줄에는 다음과 같이 적혀 있다:

華麗함과 光彩로 世上을 다스리는 王 土라마나 의 한 해...

? 에란 맷돼지 非文 中 一部

굽타 樣式으로 鑄造된 金貨에서 토라마나는 自身을 다음과 같이 表現했다:

Avanipati Torama(no) vijitya vasudham divam jayati
地球를 征服한 土라마나 , 地上의 君主가 天國을 이긴다.

? 土라마나 金貨의 文句

알村 훈族이 銀貨나 九里火 外에 金貨를 鑄繰하고 發行했다는 것은 印度에 있던 그들의 帝國이 相當히 富裕하고 强力했음을 暗示하는 證據가 될 수 있다.

첫番째 敗北(515年) [ 編輯 ]

土라마나 는 마침내 現地 印度 統治者들에게 敗北했다. 때때로 地域 統治者였던 바누굽타 가 토라마나가 이끄는 훈族 軍隊를 擊破한 것으로 여겨지기도 하는데, 왜냐하면 에란에서 그가 '偉大한 戰鬪'에 參與한 것을 記錄한 書記 510年의 碑文이 이러한 解釋이 可能할 程度로 內容이 대단히 模糊하기 때문이다. 그 '偉大한 戰鬪'에 對한 記錄은 具體的이지 않고, 어느쪽이 勝利했는지 알 수 없으며 解釋도 多樣하다. 라다 쿠무드 무케르지 (Radha kumud Mukherjee)는 에란 碑文과 『대방광보살장문수사리근본의궤경』等을 根據로 하여 바누굽타가 510年 에란 戰鬪에서 토라마나에게 敗北했으며, 그 時點에 西部 굽타 脂肪( 말와 )이 후나族에게 잠식당했기 때문에 토라마나가 에란 맷돼지 碑文에 言及될 수 있다고 보았다.

어쨋든, 토라마나는 에란 戰鬪 以後 그 地域의 支配者로서 君臨했으며, 그 後 말와 訝鬱리카라 王朝 의 印度 統治者에게 確實하게 敗北했다. 1983年에 發見된 리스탈 石板 碑文에 따르면, 訝鬱리카라 王朝의 프라카샤다르마 라는 王이 515年에 토라마나를 물리쳤다고 한다. 따라서 結果的으로 보았을 때 第1次 훈族 戰爭은 後나족 의 敗北로 끝났고, 알村人들은 펀자브 地域으로 後退했다. 『대방광보살장문수사리근본의궤경』은 토라마나가 나라審下굽타 와의 戰鬪에서 西쪽으로 後退하던 中 바라나시 에서 死亡했다고만 記述하고 있다.

第2次 훈族 戰爭: 말와의 負傷과 후나族의 退却 [ 編輯 ]

美히라쿨라의 銅錢 肖像畫. 그는 마침내 528年 말와 王 耶蘇다르萬에게 敗北했다.

520年, 中國의 僧侶 宋雲(宋雲)은 토라마나의 아들인 알村 王 미히라쿨라 가 國境에 駐屯하고 있다고 記錄했다. 中央 引渡의 괄리오르 에 있는 한 碑文에서, 美히라쿨라는 '地球의 君主'로 記錄되어 있다. 一部 記錄에 따르면 美히라쿨라는 굽타 帝國 의 數도 파탈리푸트라 까지 侵略하여 掠奪을 일삼았고, 都市는 廢墟로 남겨졌다고 한다. 1世紀 以後 이곳을 訪問한 僧侶 現場 은 『大唐西域記』에 다음과 같은 記錄을 남겼다.

數百 年 前에 마혜라구라 (摩醯邏矩羅)라는 王이 있었다. 그가 이 城을 統治하면서 印度 여러 나라들의 王이 되었다. 그는 智慧롭고 재주가 있었으며 性品은 勇猛하고 壯烈했다. 隣近 여러 나라들 가운데 屈服하여 臣下가 되지 않는 나라가 없었다.
數百年前, 有王號 摩醯邏矩羅 唐言大族, 都治此城, 王諸 印度 。有才智, 性勇烈, ?境諸國,莫不臣伏。

? 現場 『大唐西域記』4卷 [24]

美히라쿨라의 破壞는 12世紀에 쓰여진 산스크리트語 文獻인『R?jatara?gi??』에도 記錄되어 있다.

미히라쿨라 , 暴力的인 行動을 取하고 죽음 (K?la)을 닮은 人物은 믈레車 무리들에 依해 占領된 땅들을 支配했다... 사람들은 그의 軍隊의 손이 닿는 곳에서 죽임을 當하고 있는 사람들을 먹기 위해 앞으로 날아가는 禿수리 , 까마귀 , 그리고 다른 새들을 보고 그의 接近을 알아챘다...

? R?jatara?gi?? 中 美히라쿨라를 說明하는 內容 一部
書記 528年에 알村 훈族을 相對로 勝利한 耶蘇다르만이 勝利를 記念하기 위해 建築한 손다니 碑文과 기둥.

그러나 마침내 美히라쿨라는 528年 中央 引渡의 손다니 戰鬪에서 말와 訝鬱리카라 王朝 의 王 耶蘇다르만 과 굽타 皇帝 나라審下굽타 가 이끄는 印度 聯合軍에게 敗北했고, 그 結果 542年까지 펀자브 북인도 領土 大部分을 喪失했다. 印度 中部 Mandsaur 近處에 있는 손다니 鼻紋 에는 그들이 武力으로 後나족 을 服屬시켰고, 耶蘇다르만이 無禮하고 殘忍한 後나족 王으로부터 世上을 求했으며, '美히라쿨라의 머리를 숙이게 했다'라고 새겨져 있다. 손다니 碑文에서 野小다르만은 自身이 이렇게 미히라쿨라 王을 물리쳤다고 自祝하고 있다.

美히라쿨라는 自身의 이름으로 發行되는 鑄貨에 印度 굽타 文字를 使用했다.
뒷面에는 王의 肖像畫와 함께 굽타 文字로
( ) , [25]
(Ja)yatu Mihirakula
美히라쿨라에게 勝利가 있기를
라고 새겨져 있었다.. [26] [27] [28] [29]


sth??or anyattra yena pra?atik?pa?at?? pr?pita? nottam??ga?yasy??li??o bhuj?bhy?? vahati himagirir durgga?abd?bhim?naM n?cais ten?pi yasya pra?atibhujabal?varjjanakli??am?rddhn?c???pu?popah?rair mmihirakulan?pe??rccita? p?dayugmaM
다른 救援者인 Sthanu에게 敬意를 표하는 謙遜함에 머리를 들인 적이 없는 사람...그의 팔(Himalaya)를 껴안음으로써, 눈으로 뒤덮인 山은 더 以上 다가가기 힘든 곳이라는 自負心을 지니지 않게 되었다. 그( 耶蘇다르만 )의 두 발에 敬意를 표한 사람, 머리 위에 있는 머리카락의 자물쇠에서 꽃들을 無料로 膳物하고, 甚至於는 그 有名한 王 美히라쿨라가 그의 팔의 힘에 依해 아래로 고개를 숙여 이마가 고통스러워졌다.

? 손다니 非文 中 一部

마우카리 王朝의 勝利 [ 編輯 ]

아디티野勢나 壓死드 鼻紋 에 따르면, 元來 굽타 帝國 의 봉신이었던 마우카리 王朝는 이 時期에 갠지스江 倒壓과 마가다 地域에서 후나族과 맞서 싸웠다고 한다. 또한 碑文은 後記 굽타 王朝 의 王들이 마우카리 王朝에 對抗하여 軍事的으로 큰 成功을 거두었으며, 마우카리 王朝는 후나族과의 戰鬪에서 勝利했다고 說明하고 있다.

'그 王( 쿠마라굽타 )'의 아들은 有名한 茶母다라굽타 로, 그는 茶母다라( 비슈누 의 367番째 이름)와 마찬가지로 敵들에게 죽임을 當했다. (그들을 짓밟기 위해) 後나족 들의 軍隊를 戰鬪에서 높이 던져버렸던 마우카리의 巨大한 코끼리 들의 자랑스러운 걸음거리 行列을 깨뜨리면서, 그는 意識을 잃었다.(그리고 戰死했다)

? 아디티野勢나의 壓死드 非文 中 8行 內容 一部

卽, 후나族을 북인도에서 擊退하는 데에는 事實 굽타族 이 아니라 마우카리 王 이샤나바르만이 이끄는 軍隊가 中樞的인 役割을 했을 지도 모른다.

간다라와 카슈미르로 後退(530年代) [ 編輯 ]

앞面 : 두 名의 人物 위에 서있는 프라바라세나 王.
뒷面 : 사자 위에 앉아 있는 女神. 아마도 그들 傳說 上의 女神인 키다라로 推定된다.
美히라쿨라의 後繼者이자 스리나가르 의 建立字로 推定되는 스리 프라바라세나의 銅錢.

알村 훈族은 토라마나의 아들로 推定되는 스리 프라바라세나 (在位 530~590年)의 統治 下에 印度 北西部의 간다라 카슈미르 地域에 定着했다. 그의 治世는 아마도 서기 530年頃부터 約 60年間 持續되었을 것이다. 12世紀 印度 文獻인 『R?jatara?gi??』에 따르면, 프라바라세나는 그 地域에 프라바라푸라(또는 프라바라세나푸라)라는 새로운 首都를 造營했다. 地形的인 細部 事項을 考慮했을 때, 프라바라푸라는 오늘날의 都市 스리나가르 일지도 모른다. 그는 또한 '프라바레샤'라는 이름의 社員을 建設했다.

프라바라세나는 아마도 시바교度 高카르나 라는 王에 依해 繼承되었고, 그 다음에는 그의 아들 土라마나 2歲 (나렌드라디티野 킹길라)에 依해 繼承되었을 것이다. 土라마나 2歲의 아들은 그의 後繼者인 유디시티라 이며, 알村 훈族의 마지막 王이었다. 『R?jatara?gi??』에 따르면 有디시티라는 아마도 約 40年 동안 統治했지만, 書記 625年頃에 카르코打 王朝 의 建國者인 두르바르다나 의 아들 프라타파디티野에 依해 退位되었다고 한다.

알村 훈族의 카슈미르 後孫들 [ 編輯 ]

칼하나 의 『R?jatara?gi??』에는 알村을 自稱한 여러 統治者들이 登場한다. 비록 連帶가 많이 不分明하고 不足하기는 하지만, 이 統治者들의 이름 中 몇몇, 特히 所謂 카슈미르의 苦難다 王朝 에 屬하는 人物들은 카슈미르 에서 發掘된 7世紀 무렵의 銅錢으로 그 存在가 立證되었다. 그들은 아마도 카슈미르에 殘存해 있던 알村 훈族의 後孫일 可能性이 매우 높다.

카불로의 後退와 네자크 훈族의 移住 [ 編輯 ]

銅錢에 새겨진 土라마나 2歲 의 肖像畫.

西紀 6世紀 末, 알村 族은 카슈미르 펀자브 , 간다라 地域에서 最終的으로 撤收했고, 土라마나 2歲 의 指導 아래 카이베르 고개 를 넘어 西쪽으로 移動하여 카불 에 재定着했다. 그곳에서 發見된 알村 鑄貨에 네자크 훈族 樣式의 肖像畫가 發見됨으로써 그들이 네자크 훈族과 同化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한便 네자크 훈族이 發行한 鑄貨에는 알村 貪가가 새겨져 있었다.

알村 훈族과 네자크 훈族의 樣式이 同時에 나타나는 稀貴한 銅錢. 앞面에는 네자크 훈族 樣式의 肖像畫가, 뒷面에는 이中 테두리로 둘러싸인 알村 훈族의 貪가가 있다. [30]

7世紀 동안, 굽타 帝國 의 消滅 以後 수많은 印度 北部의 群小 勢力들과 후나人 들 사이에 持續的인 衝突 및 軍事的 摩擦이 있었다. 例를 들어 印度 北部 打네사르의 統治者이자 바르다나 王朝 의 王이며, 하르샤 王의 아버지였던 프라바카라 바르다나 는 '後나 사슴에게는 獅子, 인더스 地域의 王에게는 불타는 熱病'이었다고 傳해진다. 이는 프라바카라 바르다나가 후나族과 인더스 王國들에게 여러 次例 勝利를 거두었음을 暗示할 수도 있다.

북인도의 알村 훈族은 書記 557~565年, 卽 그들 北部의 에프탈 帝國 死産 帝國 第1次 突厥 카간國 聯合軍에 依해 敗北하고 滅亡할 무렵에 같이 急激히 衰退했다. 쿠脫 간다라 , 카피社 같은 몇몇 地域들은 알村-에프탈界 王들(例를 들어 土라마나 2歲 )의 統治 下에서 獨立的인 諸侯國으로 남아있었지만, 625年頃에 토하라 야브구 를 設立하고 膨脹하는 西突厥 카간國 에 依해 占領되었다. 마침내, 670年 經에 네자크-알村 族은 튀르크 샤히 王朝로 代替되었다.

宗敎 [ 編輯 ]

파키스탄 北部의 붓카라 스투파 中 4番째 地層에서 發見된 美術品. 아마도 이 人物은 알村 훈族이거나, 아니면 알村 훈族의 崇拜者였을 것이다. [31]

알村 훈族의 印度 亞大陸 侵攻이 本格的으로 始作되기 前인 書記 492~493年 사이에 製作된 탈라間 銅版 名門에는, 알村 훈族의 4代 王( 킹길라 , 土라마나 , 自負카 , 메하마 )가 스투파 를 建築하고 佛敎 에 寄與한 人物로 言及되어 있다. 이 名門이 製作된 時期는 알村 훈族이 印度 北西部의 佛敎 學問 中心地였던 탁실라 를 掌握했던 時期와 一致한다. 한便 수많은 알村 樣式의 銅錢들이 '하다(Ha??a)' 佛敎 遺跡地의 '土페 칼란(Tope Kal?n)'이라는 스투파에서 發見되었다.

알村인 또는 알村 族 崇拜者로 推定되는 人物이 그려진 壁畫는 붓카라 스투파 遺跡地 中 4番째 地層에서 볼 수 있다. 이 그림의 聯隊는 西紀 5世紀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學者들은 아마도 알村 훈族이 이 地域에서 隆盛한 佛敎 文化의 寄與者이자 後援者이며, 參與者日 수 있다고 提案한다.

佛敎 迫害 [ 編輯 ]

그러나 以後 알村 훈族의 佛敎 에 對한 態度는 完全히 正反對로 바뀌어, 대단히 否定的으로 變했다. 特히 몇몇 佛敎 記錄들은 알村 王 미히라쿨라 가 파키스탄 北部의 간다라 地域에서 佛敎 彈壓을 恣行했으며, 그를 '佛敎에 對한 끔찍한 박해자'라고 記錄했다. 그의 統治 期間 동안 간다라 全域에 있었던 千 個가 넘는 佛敎 修道院 들이 破壞되었다고 한다. 特히 630年 印度를 訪問한 現場 의 글에서는 美히라쿨라과 佛敎 遺跡地의 破壞와 僧侶들의 追放을 命令했다고 記錄되어 있다.

王( 미히라쿨라 )은 國師가 暫時 閑暇해지자 부처님의 法을 배우고자 하여, 스님들 가운데 德이 높은 人物을 薦擧하도록 하였다. 그러자 여러 僧徒들은 敢히 王의 命을 따르지 않았다. 이들은 欲心이 적고 武威(無爲)를 行하였으며, 立身出世를 願하지 않았던 것이지만, 박학하고 高明한 者들 中에는 王의 威嚴을 두려워하는 者도 있었다. 이때 예전에 王家의 種이었던 者가 있었는데, 出嫁한 지 이미 오래였으나, 그의 論理가 淸雅하고 말은 意味가 豐富하고 明敏하였으므로, 大衆들이 함께 그를 薦擧하고는 王의 命을 따르기로 하였다.

王이 말하였다.
“내가 부처님의 法을 尊敬하여 멀리 빼어난 스님을 찾았는데, 大衆들이 이런 奴隸를 薦擧하여 나와 談論하게 하는구나. 무릇 承重(僧中)이라 하면 賢明한 者가 어깨를 나란히 할 만큼 많이 있는 줄 알았다. 그런데 只今에 와서 이것을 보니 어찌 尊敬할 수 있겠느냐?”

그리고는 5인도국에 命을 내려 부처님 의 法을 잇는 것은 모조리 滅하게 하였고, 승도 들을 쫓아내어 더 以上 남아있지 못하게 하였다...(중략)

歲月이 흐르자 그는 마을 사람들을 거느리고 加濕미라王을 絞殺한 뒤에, 스스로 王位에 올랐다. 그리고 그 勝利의 威力을 몰아서 西쪽으로 進軍하여, 件타라國 (健馱邏國)을 討伐하였다. 그는 軍事와 武器를 숨겨서 마침내 그 나라의 王을 죽인 뒤, 나라의 王族과 大臣들도 모두 誅殺하여 멸망시켰다. 그리고 을 무너뜨리고 無慮 1千 6百餘 곳의 僧伽藍 을 破壞하였다. 죽은 兵士 外에도 9億의 사람이 살아 있었는데, 이들도 모두 죽여 한 名이라도 남겨 놓지 않으려고 하였다...(중략)

王이 말하였다. “너희는 不法 을 믿고 冥福(冥福)을 높이 崇尙하였다. 不過 (佛果)를 이루는 이야기들이 登場하는 本生譚 (本生譚)을 본떠서 나의 惡業 을 未來世에 傳하려고 하는가? 너희는 자리로 돌아가 다시는 말을 꺼내지 않는 것이 좋으리라.”

機務餘閑, 欲習佛法, 令於僧中推一俊德。時諸僧徒莫敢應命, 少欲無爲, 不求聞達, 博學高明, 有懼威嚴。是時王家舊?, 染衣已久, 辭論淸雅, 言談贍敏, 衆共推擧, 而以應命。

王曰:“我敬佛法, 遠訪名僧, 衆推此?, 與我談論。常謂僧中, 賢明肩比, 以今知之, 夫何敬哉?”

於是宣令五印度國, 繼是佛法竝皆?滅, 僧徒斥逐無復孑遺[...]

歲月旣淹, 率其邑人, 矯殺迦濕彌羅王而自尊立。乘其戰勝之威, 西討健馱邏國, 潛兵伏甲,遂殺其王, 國族大臣, 誅鋤殄滅。??堵波, 廢僧伽藍, 凡一千六百所。兵殺之外, 餘有九億人, 皆欲誅戮, 無遺?類[...]

王曰:“汝信佛法, 崇重冥福, 擬成佛果, 廣說本生, 欲傳我惡於未來世乎? 汝宜復位, 勿有再辭。”

? 現場,『大唐西域記』4卷 [32]

實際로 간다라 佛敎 藝術, 特히 그리스 美術 樣式과 佛敎 藝術이 混合된 獨特한 固有 技法(간다라 樣式/그리스 佛敎 藝術)李 나타나는 遺物들은 그 時期를 前後로 漸次 消滅된다. 美히라쿨라가 북인도 에서 撤收한지 約 1世紀가 지난 뒤, 印度를 訪問한 現場은 이 地域의 佛敎가 急激하게 衰退했으며 大部分의 佛敎 修道院들이 人跡이 드물거나 廢墟가 되었다고 記錄했다.

굽타 帝國 은 傳統的으로 힌두 王朝였지만, 알村 훈族이 侵入할 무렵 굽타 皇帝들은 分明히 佛敎 또한 選好했던 것으로 보인다. 5~6世紀의 僧侶 爬羅마르타 에 따르면, 美히라쿨라의 敵手였던 나라審下굽타 大乘 佛敎 學者인 바수반두 에게 가르침을 받았다고 한다. 現場은 그가 날란다 에 '上하라마(Sangharama, 僧侶 居住 目的의 複合團地)'와 91m 높이의 '비하라(Vihara, 佛敎 修道院)'을 세웠는데, 이 中 後者는 釋迦牟尼 가 깨달음을 얻은 印度菩提樹 나무 아래 세워진 그것과 비슷하며, 안에 부처님 彫刻像이 있었다고 記錄했다. 또한 現場은 나라審下굽타의 아들 바즈라는 '마음에 佛敎에 對한 確固한 믿음'이 있었다고 言及했다.『대방광보살장문수사리근본의궤경』에 따르면 나라甚하굽타는 以後 佛敎 로 改宗하고 僧侶가 되었으며, 世上을 떠나기 前에 煩惱 를 떨치기 위해 冥想 을 했다고 한다.

太陽 象徵物
土라마나 의 銅錢에 登場하는 太陽 象徵物.
太陽을 象徵하는 킹길라 의 肖像畫.
太陽 모습의 後光(헤일로)이 있는 人物과 함께 描寫된 알村 王.

12世紀의 歷史家인 칼하나(?????)는 또한 美히라쿨라의 殘忍함과 佛敎 信仰 迫害에 對한 記錄을 남겼다.

그의 안에서, 北쪽 地方은 그대로 다른 죽음의 神을 이끌어냈으며, 競爭心으로 인해 머리를 숙였다... 야마 (힌두敎에서 죽음을 管掌하는 神). 사람들은 그의 軍隊의 손이 닿는 곳에서 죽임을 當하고 있는 사람들을 먹기 위해 앞으로 날아가는 禿수리, 까마귀, 그리고 다른 새들을 보고 그의 接近을 알아챘다. 王室의 베탈라 (惡魔)는 밤낮으로 數千 名의 殺害된 사람들에게 둘러싸여 있었고, 甚至於 이것은 그가 遊興을 즐길때에도 마찬가지였다. 이 끔찍한 人類의 적은 아이, 女子, 老人에 對한 尊敬心 따위는 一切 없었다...

? 칼하나의 記錄 中 一部

太陽 崇拜 信仰, 비슈누 信仰, 시바 信仰 [ 編輯 ]

힌두敎 女神 락슈미 로 推定되는 女性 人物과 함께 描寫되어 있는 알村 王 킹길라 .

알村 훈族은 一般的으로 스텝 遊牧民들이 거의 共通的으로 가지고 있었던 太陽 崇拜 信仰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描寫된다. 이는 그들이 鑄造한 銅錢 中 몇몇에 太陽 象徵物이 나타나는 것으로 立證되며, 아마도 引渡의 수리야 (太陽神) 信仰과 結合되었을 수도 있었다.

힌두敎 에서 部, 財産, 權力, 아름다움, 肥沃함과 繁榮의 女神이자 또한 佛敎 의 古代 與信 中 하나인 락슈미 또한 알村 훈族의 銅錢에서 나타나는데, 特히 킹길라 土라마나 의 것에서 더욱 그렇다.

한便 몇몇 記錄에 따르면, 美히라쿨라는 印度 神의 破壞的인 힘에 選擇的으로 이끌렸을지도 모르지만 시바 를 崇拜하는 시바교度 였다고 한다. 實際로 스리나가르 에 있는 샹카라차리야 社員이 美히라쿨라에 依해 築造되었을지도 모른다.

一部 알村 훈族들은 비슈누 信仰 또한 가지고 있었을 수도 있다.

印度에 미친 影響 [ 編輯 ]

알村 훈族의 印度 亞大陸 侵入은 비록 數十年에 不過했지만, 그들이 恣行한 破壞와 信仰 迫害, 그리고 一連의 몇몇 行爲들은 그 地域에 長期的으로 影響을 미쳤고, 어떤 意味에서는 告傳旗 印度 에 終末을 가져왔다.

破壞 行爲 [ 編輯 ]

印度의 都市 文化는 알村 훈族의 侵入으로 急速히 衰退했다. 以前까지 매우 繁榮했던 카우샴非 우자인 과 같은 主要 古代 都市가 廢墟가 되었고, 비디샤 마투라 等은 直接的인 破壞를 겪지는 않았지만 그 餘波로 인해 沒落하기 始作했다.

修道院의 破壞와 僧侶들의 殺害로 佛敎 는 深刻하게 弱化되었고, 以前 몇 世紀에 걸쳐 進行되던 衰退가 더욱 加速化되었다. 탁실라 와 같은 佛敎 學問의 中心地가 破壞됨으로써 文化的인 退步를 가져왔다. 간다라와 마투라의 獨自的이고 獨特한 藝術 樣式은 後나족 들이 가져온 破壞로 인해 큰 어려움을 겪어야 했고, 미히라쿨라 支配 下에서 두 地域의 美術 樣式은 거의 全滅했다. 한便 다샤푸라( 萬事다우르 ), 칸야쿠브子( 카나우지 ), 스타니視바라( 打네사르 ), 비야비푸라( 발라비 ), 슈리푸라( 시르푸르 )와 같은 새로운 都市들이 이러한 破壞로부터 생겨났고, 以後 그 地域의 政治·文化的 中心地로 떠올랐을 수도 있다.

政治的 分裂 [ 編輯 ]

알村 훈族의 侵入은 外部의 侵略과 더불어 耶蘇다르灣과 같은 地域 統治者들의 負傷으로 이미 衰退하던 굽타 帝國 을 完全히 끝장냈다. 그들의 侵略 直後 북인도는 一大 混亂에 빠졌고, 굽타 諸國의 崩壞 以後 수많은 群小 印度 勢力들이 登場했는데, 特히 訝鬱리카라 , 마우카리 , 마이트라카 , 칼라推理 , 바르다나 等 여러 地域 王朝들이 이 時期에 頭角을 나타내기 始作했다.

훈族 의 侵入이 幕을 내린 以後, 引渡의 몇몇 政治集團들은 마우카리 王朝가 中央아시아 의 여러 部族들 및 死産 帝國 과 直接的인 接觸을 맺는 것을 보았고, 곧 그들도 그렇게 했다. 카나우지 의 마우카리 王 샤르바바르만 은 560~579年 사이에 호스로 1歲 의 死産 帝國 宮廷에 체스 게임 을 導入했다고 한다.

시바파의 負傷 [ 編輯 ]

굽타 帝國 의 强力한 後援을 받았던 비슈누파 는 帝國의 衰退와 窮極的인 失敗로 인해 民衆들에게 不信받게 되었고, 새로 登場한 모든 地域 王朝들은 미히라쿨라 治下의 알村 훈族과 마찬가지로 시바파 를 採擇하여 시바 崇拜와 그 理念의 發展에 强力한 推進제가 되어주었다. 비슈누파는 후나族의 影響을 받지 않은 나머지 地域( 남인도 , 카슈미르 )에서만 命脈을 이어갈 수 있었다.

對外 貿易 [ 編輯 ]

알村 훈族의 侵入은 굽타 帝國 에게 莫大한 利益을 안겨주던 유럽 中央아시아 와의 對外 貿易, 特히 印度-로마 貿易 關係 에 深刻한 損傷을 입혔다. 굽타는 나시크, 파이彈, 파탈리푸트라 바라나시 와 같은 一部 貿易 中心地에서 실크 , 가죽 製品, 毛皮 , 鐵 製品, 象牙 , 晋州 후추 와 같은 수많은 高級 製品을 輸出하고 있었다. 後나족 의 侵攻은 아마도 이러한 貿易 關係와 그에 따른 稅收를 妨害했을 것이다.

藝術的 混合主義: '印度 美術에서 遊牧民的 樣式의 幕間' [ 編輯 ]

간다라에서 發見된, 사냥 場面이 彫刻되어 있는 뚜껑 裝飾 彫刻. 書記 5~6世紀 사이에 製作. [33]

印度 에서의 알村 훈族의 發展은, 5~6世紀 동안 그들이 간다라 에서 굽타 帝國 · 死産 帝國 의 樣式, 그리고 그들 固有의 令監과 主題를 結合하여 一種의 混合 藝術을 育成함으로써 絶頂에 達했다. 特히 가장 눈에 띄는 것은 간다라에서 發見된 뚜껑 裝飾 類型의 美術品인데, 그들 宮廷의 모습이나 動物을 사냥하는 場面을 보여주고 있다. 이것은 아마도 굽타 樣式과 混合된 것일수도 있다.

칠레크 銀그릇 [ 編輯 ]

中央에 알村 훈族의 統治者로 推定되는 人物이 있는 銀그릇. 그는 알몸의 6名의 印度人 舞姬들에게 둘러싸여 있다.

사마르칸트 地域에서 알村 훈族과 關聯된 여러 銀그릇들이 發見되었는데, 그 中에는 '에프탈 樣式 藝術의 가장 잘 알려진 標本'으로 여겨지고 '에프탈 銀그릇' 과 構成이 類似한 '칠레크 銀그릇(Chilek sliverbowl)'이 있다. 알몸에다가 페르시아式 리본 머리裝飾과 짧은 머리스타일을 한 6名의 舞姬들은 銀그릇에서 印度式의 뾰족한 아치 아래 位置하는데, 이것은 굽타 樣式의 藝術品에서 靈感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이 銀그릇은 알村 훈族이 製作한 것으로 여겨지지만, 알村 훈族의 注文으로 印度人들이 製作했을 可能性 또한 있다. 오늘날에는 사마르칸트 博物館이 所藏하고 있다.

한便, 칠레크 銀그릇 밑部分에 있는 人物은 알村 훈族의 風習 中 하나였던 人工 頭蓋骨 變形 에 따른 길쭉한 머리가 나타난다.

銅錢(6~12世紀) [ 編輯 ]

西紀 500年頃 알村 훈族이 印度 北部와 中部를 侵入했을 때, 그들은 死産 帝國 의 銅錢을 模倣하여 그들만의 銅錢을 여럿 鑄造했는데, 差異點은 그들은 뒷面에 臣下들과 '神聖한 불'을 새겼다는 것이다. 아마도 그들은 銅錢을 鑄造하는 過程에서, 銅錢의 거푸집이나 圖案 等을 印度 北西部의 占領地로 옮겼을 것이다. 이러한 種類의 銅錢들은 오늘날 ' 印度-死産 銅錢 '이라고 불리는데, 이것은 서기 12世紀까지 退化된 形態로 갠지스江 流域에 남아있었다.

後孫 [ 編輯 ]

신드 地域에 發見된 구르자라 聯盟의 銅錢. 死産 皇帝 페로즈 1歲 의 銅錢을 模倣한 것이다. 書記 570~712年 사이에 鑄造됨.

구르자라族 , 또는 구르자라-프라티하라 는 후나族이 該當 地域을 侵攻한 直後인 西紀 6世紀頃에 갑자기 북인도 에서 主要 政治 勢力으로 浮上했다. 구르자라-프라티하라족은 알村 훈族("백훈族")과 土着 印度人들과의 融合으로 形成되었을 것으로 보이며, 正確한 起源은 不分明하지만 때때로 훈族 國家 로 看做될 수 있다. 7世紀의 印度 學者 바나바하타(???????)의 『하리샤차리打』에 따르면, 구르자라族은 후나族과 關聯이 있다고 한다.

後나족 中 一部는 또한 好戰的인 라지푸트族 의 形成에 寄與했을 수도 있다.

文獻에서의 言及 [ 編輯 ]

古代 文獻들은 알村 훈族과 關聯된 集團들을 뭉뚱그려 하나로 묶어, 印度에서는 '後나(H???)', 그리스에서는 '時誤나이트(Xionite)' 等과 같이 다양한 이름으로 模糊하게 言及했다. 現場 은 알村 훈族의 後期 歷史를 記錄했다.

현대 考古學의 發展은 알村 훈族의 歷史에 對한 貴重한 洞察力을 提供했다. 알村 帝國의 王 目錄과 같은 가장 重要한 史料들은 1967年 로버트 怪블 이 이름붙인 이란 훈族 의 銅錢을 分析하면서 함께 登場했다. 이들은 킹길라를 始作으로 알村 王들의 이름과 一部 年代記를 記錄했다. 2012年, 오스트리아 의 쿤스트히스토리체스 博物館은 2021年 2月 17日 以前 發見물들의 再分析을 完了했으며, 아프가니스탄 內戰 과 함께 古美術品 市場에 登場한 수많은 銅錢과 함께 알村 훈族과 關聯 民族의 連帶 및 이야기를 再正立했다.

탈라間 九里 두루마리 [ 編輯 ]

탈라間 九里 두루마리의 모습.

2006年, 구드룬 멜저(Gudrun Melzer)와 露語 샌더(Lore Sander)가 알村의 4代 王인 킹길라, 土라마나, 自負카, 메하마의 이름과 함께 492~493年 사이에 製作된 것으로 推定되는 '탈라間 九里 두루마리(Talagan copper scroll)'을 發表하면서 알村 훈族의 歷史에 對한 여러 記錄과 우리의 理解에 큰 寄與를 했다. 한便 當時 알村 훈族을 統治하던 메하마는 佛敎 巖刻畫에 나타나기도 했다.

統治者 目錄 [ 編輯 ]

  • 이름이 不分明한 王들(400~430年)
  • 自負카/者步哨(5世紀 中盤~6世紀 初盤)
  • 라카나 유다야디티野(490年 무렵)
  • 아두만
  • 미히라쿨라(515~540년)
  • 土라마나 2歲(530~570年頃)
  • 스리 프라바라세나(530~590年頃)
  • 高카르나(570~590년경)
  • 土라마나 2歲/나렌드라디티野 킹길라(590~630년)
  • 유디시티라(630~670)

銅錢 [ 編輯 ]

各州 [ 編輯 ]

  1. Bakker 2020 .
  2. Schwartzberg, Joseph E. (1978). 《A Historical atlas of South Asia》 .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5쪽. ISBN   0226742210 .  
  3. Schwartzberg, Joseph E. (1978). 《A Historical atlas of South Asia》 .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45, map XIV.1 (k)쪽. ISBN   0226742210 .  
  4. Rezakhani, Khodadad (2017). 《ReOrienting the Sasanians: East Iran in Late Antiquity》 (英語). Edinburgh University Press. 105?124쪽. ISBN   9781474400305 .  
  5. "The Alchon Huns....established themselves as overlords of northwestern India, and directly contributed to the downfall of the Guptas" in Neelis, Jason (2010). 《Early Buddhist Transmission and Trade Networks: Mobility and Exchange Within and Beyond the Northwestern Borderlands of South Asia》 (英語). BRILL. 162쪽. ISBN   9789004181595 .  
  6. , Royal Netherlands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題目= 이(가) 없거나 비었음 ( 도움말 )
  7. "Note 8: It is now clear that the Hephtalites were not part of those Huns who conquered the land south of the Hindu-Kush and Sind as well in the early 6th century. In fact, this latter Hunnic group was the one commonly known as Alkhon because of the inscriptions on their coins (Vondrovec, 2008)."
  8. Rezakhani, Khodadad (2021). “From the Kushans to the Western Turks” . 《King of the Seven Climes》 (英語): 207.  
  9. Khingila with the word "Alchono" in the Bactrian script (αλχονο) and the Tamgha symbol on his coins CNG Coins .
  10. Alemanny 2000 , 346쪽.
  11. “CNG: eAuction 145. HUNNIC TRIBES, Alchon Huns. Khingila. Circa AD 440-490. AR Drachm (30mm, 3.62 g)” . 《www.cngcoins.com》 . 2023年 4月 2日에 確認함 .  
  12. Braarvig, Jens (2000). 《Buddhist Manuscripts》 (英語) Vol.3板. Hermes Pub. 257쪽. ISBN   9788280340061 .  
  13. Tandon, Pankaj (2013). “Notes on the Evolution of Alchon Coins” (PDF) . 《Journal of the Oriental Numismatic Society》 (216): 24?34 . 2018年 7月 8日에 確認함 .  
  14. “CNG: Feature Auction CNG 69. [Medieval] HUNNIC TRIBES, Alchon Huns. Anonymous. Circa 400-440 AD. AR Drachm (3.43 gm, 3h). Imitating Sasanian king Shahpur II. Kabul or Gandhara mint.” . 《www.cngcoins.com》 . 2023年 4月 2日에 確認함 .  
  15. ALRAM, MICHAEL (2014). “From the Sasanians to the Huns New Numismatic Evidence from the Hindu Kush” . 《The Numismatic Chronicle》 174 : 274?275. ISSN   0078-2696 . JSTOR   44710198 .  
  16. Gupta, Parmanand (1989). 《Geography from Ancient Indian Coins & Seals》 (英語). Concept Publishing Company. 174?175쪽. ISBN   9788170222484 .  
  17. 《Indian Archaeology 1954?55 A review》 (PDF) . 18쪽.  
  18. ALRAM, MICHAEL (2003). “Three Hunnic Bullae from Northwest India” (PDF) . 《Bulletin of the Asia Institute》 17 : 180, Figure 11. ISSN   0890-4464 . JSTOR   24049314 .  
  19. 出處: 佛敎記錄文化遺産 아카이브 대방광보살장문수사리근본의궤경 https://kabc.dongguk.edu/content/pop_seoji?dataId=ABC_IT_K1138
  20. “Coin Cabinet of the Kunsthistorisches Museum Vienna” . 2019年 11月 1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7年 7月 23日에 確認함 .  
  21. Fleet, John Faithfull (1960). 《Inscriptions Of The Early Gupta Kings And Their Successors》 . 158 ?161쪽.  
  22. “CNG: Feature Auction Triton XIX. HUNNIC TRIBES, Alchon Huns. Toramana. Circa 490-515. AV Dinar (18mm, 9.53 g, 12h).” . 《www.cngcoins.com》 . 2023年 4月 2日에 確認함 .  
  23. “The Identity of Prakasaditya by Pankaj Tandon, Boston University” (PDF) . 2023年 4月 2日에 確認함 .  
  24. 出處: 佛敎記錄文化遺産 아카이브 『大唐西域記』
  25. The "h" ( ) is an early variant of the Gupta script.
  26. The "h" ( ) is an early variant of the Gupta script. Rev: Dotted border around Fire altar flanked by attendants, a design adopted from Sasanian coinage .
  27. Verma, Thakur Prasad (2018). 《The Imperial Maukharis: History of Imperial Maukharis of Kanauj and Harshavardhana》 (힌디어). Notion Press. 264쪽. ISBN   9781643248813 .  
  28. Sircar, D. C. (2008). 《Studies in Indian Coins》 (英語). Motilal Banarsidass. 376쪽. ISBN   9788120829732 .  
  29. Tandon, Pankaj (2013). 《Notes on the Evolution of Alchon Coins Journal of the Oriental Numismatic Society, No. 216, Summer》 . Oriental Numismatic Society. 24?34쪽.   also Coinindia Alchon Coins (for an exact description of this coin type)
  30. “CNG: eAuction 369. HUNNIC TRIBES, "Alkhan?Nezak Crossover". Circa 580/90?650/80. Æ Hemidrachm (23mm, 3.10 g, 1h).” . 《www.cngcoins.com》 . 2023年 4月 2日에 確認함 .  
  31. de la Vaissiere, Etienne (2007). “A Note on the Schøyen Copper Scroll: Bactrian or Indian?” (PDF) . 《Bulletin of the Asia Institute》 21 : 127. JSTOR   i24047314 . 2018年 7月 8日에 確認함 .  
  32. 出處: 佛敎記錄文化遺産 아카이브『大唐西域記』4卷, https://kabc.dongguk.edu/content/view?itemId=ABC_IT&cate=bookName&depth=3&upPath=Z&dataId=ABC_IT_K1065_T_004
  33. GHOSE, MADHUVANTI (2003). “The Impact of the Hun Invasions: A Nomadic Interlude in Indian Art” . 《Bulletin of the Asia Institute》 17 : 153, Fig.13. ISSN   0890-4464 . JSTOR   24049312 .  
  34. GHOSE, MADHUVANTI (2003). “The Impact of the Hun Invasions: A Nomadic Interlude in Indian Art” . 《Bulletin of the Asia Institute》 17 : 151, Fig.10. ISSN   0890-4464 . JSTOR   24049312 .  
  35. GHOSE, MADHUVANTI (2003). “The Impact of the Hun Invasions: A Nomadic Interlude in Indian Art” . 《Bulletin of the Asia Institute》 17 : 150, Fig.9. ISSN   0890-4464 . JSTOR   24049312 .  
  36. GHOSE, MADHUVANTI (2003). “The Impact of the Hun Invasions: A Nomadic Interlude in Indian Art” . 《Bulletin of the Asia Institute》 17 : 150, Fig.6. ISSN   0890-4464 . JSTOR   24049312 .  
  37. Smith, Vincent Arthur; Edwardes, S. M. (Stephen Meredyth) (1924). 《The early history of India : from 600 B.C. to the Muhammadan conquest, including the invasion of Alexander the Great》 . Oxford : Clarendon Press. Plate 2쪽.  
  38. Rezakhani 2017 , 199쪽.
  39. CNG Coins

出處 [ 編輯 ]

外部 링크 [ 編輯 ]

틀:Central Asian history
認容 誤謬: "Note"이라는 이름을 가진 그룹에 對한 <ref> 태그가 存在하지만, 이에 對應하는 <references group="Note" /> 태그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