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安龍福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安龍福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安龍福 (安龍福, 生沒年 未詳 )은 朝鮮 時代 17世紀 의 漁夫이자 능로군(能櫓軍) [1] 이다.

生涯 [ 編輯 ]

安龍福은 漢城府 에 사는 吳忠醜(吳忠秋)의 私奴婢 [2] 였는데, 釜山 좌자千 1里 14通 3號(現在의 釜山 東萊區 좌천동)의 說이 있으며 동래군 에서 태어났다는 說이 있다. 東來에는 對馬島 (쓰시마)와 貿易을 할 수 있는 商人이 있었는데, 그들과 關聯된 일을 하면서 日本語 를 배웠으리라고 여겨진다.

17世紀 末 當時 鬱陵島 에는 아직 공도 政策 이 實施中이어서 朝鮮 사람이 살고 있지 않았다. 朝鮮 太宗 1417年 (太宗 17年) 공도 政策 을 實施해서 鬱陵島 를 비롯한 많은 섬에 있는 百姓을 모두 內陸 地方을 비롯한 韓半島로 이주시켰다. 1614年( 광해군 6年) 調整은 빈 섬에 日本人이 드나들지 못하도록 指示했다. 하지만 17世紀後半에 60餘年 동안 日本 漁民들이 鬱陵島와 日本을 왔다갔다 하며 鬱陵島 바다에서 操業을 했다.

安龍福은 1693年 ( 肅宗 19年) 東萊 漁民과 함께 鬱陵島에 고기를 잡으러 나갔다가 3月 一行인와 함께 日本人 漁夫들에게 拉致되어 人슈 로 끌려갔다. 돗토리 번주 이케다 쓰나키요 幕府 에 報告하자 幕府는 그들을 說得하여 돌려보내라고 命令했다. 6月 30日 安龍福 一行은 나가사키에 到着했다. 肅宗實錄 에 따르면 安龍福은 그가 號키國의 번주와 談判을 벌여서 幕府는 安龍福 等을 나가사키 로 移送해 돌려보내라고 指示하면서 “鬱陵島는 日本의 領土가 아니다”(鬱陵島非日本界)라는 內容의 西界(書契)를 써주게 했다. 幕府로부터 鬱陵島, 資産度가 朝鮮令이라는 書契를 받아냈는데, 나가사키에서 쓰시마 후추番 州에게 빼앗겼다고 主張했다.

對馬島 번주는 安龍福 一行 便에 다케시마 出漁를 禁止해 달라는 書札을 보냈다. 調整은 對馬島로 보낸 答辯에서 獨島와 竹刀를 서로 다른 섬으로 表現했다. 對馬島 번주는 獨島陵도’라는 말을 싫어해서 그 表現을 지울 것을 朝鮮 側에 主張했다. 한便 安龍福의 審問에서 調整은 호키슈에서는 安龍福을 잘 對해줬지만 對馬島에서 責望한 點을 알아내고 對馬島 번주의 行動이 에도 幕府 의 立場이 아니라는 것을 알고는 對馬島 側 使節에게 幕府에게 對馬島 번주의 行動을 밝히는 書契를 보내겠다고 말해 使節을 承服시켰다. 領議政 남구만 은 和答門을 고쳐서 鬱陵島와 죽도(다케시마)가 서로 같은 섬이라는 點을 分明히 하고 “日本人들이 朝鮮 領土에 들어와 安龍福 一行을 데려간 것은 失策”이라고 했다.

1695年 3月에 쓰시마 후추번주 소 요시쓰구 가 죽고 동생이자 兩者 소 요시미치 가 쓰시마번주에 올랐다. 그는 幕府와 만난 자리에서 鬱陵島에 關한 質問을 받고 事實대로 答하였다. 1696年 1月 28日 幕府는 日本人들에게 鬱陵島 圖解를 禁止했다. 그해 봄 安龍福은 鬱陵島로 다시 가서 漁夫들을 쫓아내(안용복의 陳述) 오키섬 으로 갔다. 그는 스스로를 鬱陵雨傘讓渡감세관(鬱陵于山兩道監稅官)이라 詐稱하고 號키슈 번주와 만나 幕府에게 對馬島 번주의 罪에 關해서 上訴할 것을 請하였다.

幕府는 이듬해 鬱陵島 近處 出漁를 禁止하겠다는 事實을 對馬島 번주를 통해서 公式으로 朝鮮 側에 通報했다. 그 後 朝鮮 哲宗 때까지 鬱陵島에 對한 紛爭이 있었다.

死後의 評價 [ 編輯 ]

  • 安龍福이 幕府로부터 받았다고 하는 書契는 17世紀 무렵 日本이 鬱陵島(와 그 附屬 圖書인 獨島)가 自身의 領土가 아니라고 判斷했다는 매우 重要한 證據다. 처음부터 意圖한 것은 아니었지만, 結果的으로 이런 重大한 決定을 一介 漁夫인 安龍福이 이끌어낸 것이었다. 한便, 日本 政府는 安龍福에 對해 "朝鮮을 代表하지 않는다", "陳述에는 많은 矛盾"이라고 指摘하고있다. [3]
  • 利益 은 星湖僿說 第3卷에서 "安龍福은 英雄豪傑이라고 생각한다. 微賤한 軍卒로서 죽음을 무릅쓰고 나라를 위해 强敵과 겨뤄 奸邪한 마음을 꺾어버리고 여러 臺를 끌어온 紛爭을 그치게 했으며 한 고을의 土地를 回復했으니, 英特한 사람이 아니면 할 수 없는 일이다. 그런데 朝廷에서는 褒賞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앞서는 刑罰을 내리고 나중에는 귀양을 보냈으니 참으로 애통한 일이다"라고 賞讚했다.
  • 大韓民國의 大統領 朴正熙 는 1967年 1月 安龍福記念事業會에 '國土를 守護한 功勞는 사라지지 않을 것(國土守護, 其功不滅)'이라는 揮毫를 寄贈했다.
  • 鬱陵島에는 安龍福을 기리는 安龍福 將軍 忠魂碑가 있다.
  • 1967年 10月 安龍福將軍 記念事業會는 釜山 水營史跡公園 안에 安龍福의 忠魂塔을 세웠다.
  • 是認 이은상 은 '東海 구름밖에 한 조각 외로운 섬 / 아무도 내 땅이라 돌아보지 않을 적에 / 賊窟 속 넘나들면서 저님 혼자 애썼던가 / 賞이야 못 드릴망정 刑罰 귀양 어인 말고 / 이름이 숨겨지다 공조차 묻히리까 / 이제와 軍 봉하니 웃고 받으소서'라는 詩를 바쳤다.
  • 水營史跡公園 에는 2001年 3月에 수강사(守彊祠. 疆埸을 지켰다는 뜻)라는 祠堂과 銅像이 追加로 세워졌다. [4]
  • 2019年 安龍福의 이야기를 담은 歷史小說 "강치"가 出版됐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櫓를 젓는 兵士, 두산百科 '능로군' [1]
  2. “[慶北의 歷史·文化 人物]<11> 獨島 守護 安龍福” . 2015年 5月 18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5年 5月 15日에 確認함 .   |題目= 에 지움 文字가 있음(위치 1) ( 도움말 )
  3. 竹島問題に?するQ&A 、일본국 外務省 (日本語)
  4. 安龍福:네이버캐스트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