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로메다 銀河와 우리 銀河의 衝突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우리銀河와 안드로메다의 衝突 시뮬레이션. 美國 航空宇宙局 (NASA)李 컴퓨터 生成 이미지 를 使用하였다.

大部分의 銀河가 우리 銀河로부터 멀어져 가고 있지만, 局部 은하군 中 가장 큰 銀河인 안드로메다 銀河 는 秒速 120킬로미터의 速度로 우리 銀河를 向해 接近하고 있다. 38億 年 後 안드로메다와 우리 銀河는 衝突 할 것이며, 潮汐力 이 兩側 銀河의 螺旋팔 模樣을 巨大한 조석 꼬리 形態로 바꾸어 놓을 것이다. 天文學者들은 이와 같은 雙方의 形態 變化가 일어날 때 우리 太陽系가 우리 銀河의 重力圈에서 脫出할 可能性이 12퍼센트이며, 안드로메다 銀河의 重力圈에 編入될 可能性이 3퍼센트라고 보고 있다.

結局, 約 56億 年 後 우리 銀河와 안드로메다는 完全히 합쳐져서 巨大한 楕圓 銀河 가 될 것이다. 그리고 그이름을 밀코메다라고 부른다. 합쳐지는 동안 重力이 늘어나며, 이로써 가스의 量이 充分하면 가스는 새로 생겨나는 楕圓 銀河의 中心部로 끌려갈 것이다. 그 때문에 暴發的 恒星生成 으로 불리는, 恒星 誕生의 頻度가 매우 높아지는 現象이 發生할 것이다. [1] 여기에 銀河 中心을 向해 떨어지는 가스는 새로 태어난 블랙홀 活動 銀河 로 바꿀 것이다. 이러한 相互 作用으로 發生하는 힘은 太陽系를 새로운 銀河의 바깥쪽 헤일로 로 이동시켜, 앞서 說明한 作用으로 말미암아 發生하는 輻射 에너지의 影響을 덜 받게 할 것이다. [1] [2]

두 銀河가 부딪히면 行星界 近處를 다른 恒星이 지나갈 때 行星들을 性間 空間으로 날려 버릴 수 있지만, 우리 銀河와 안드로메다은하가 衝突하더라도 별과 별 사이 거리는 매우 멀어서 그러한 衝突이 太陽系에 影響을 미칠 確率은 매우 적다. [3]

그러나 時間이 흐르면서 恒星이 太陽系 近處를 지날 累積 確率 은 增加하며, 그 때문에 行星의 軌道가 엉망이 될 可能性은 避할 수 없게 된다. 빅 크런치 또는 빅 립 와 같은 宇宙 終末 시나리오가 일어나지 않는다고 假定하면, 計算에 따르면, 어떤 恒星이 죽은 太陽 近處를 지나가면서 行星들을 離脫시키는 事件은 10 15 年(1千兆 年) 後 發生한다고 한다. 이 事件이 發生할 境遇, 그때가 太陽系가 終末을 맞는 時點이 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일이 벌어지기 前까지 太陽과 行星들이 어떻게든 살아남는다면, 太陽系는 繼續 存續하게 된다. [4]

衝突 以後 形成된 銀河는 밀코메다 銀河 (Milkomeda) 라고 불린다. 이 銀河는 楕圓銀河 처럼 보이겠지만 現在 存在하는 楕圓銀河들에 비하여 中心의 密度가 낮을것이다. [2]

各州 [ 編輯 ]

  1. Fraser Cain (2007). “우리 銀河가 안드로메다은하와 衝突할 境遇, 太陽에는 어떤 일이 생길까?( When Our Galaxy Smashes Into Andromeda, What Happens to the Sun? )” . 《Universe Today》.  
  2. J. T. Cox, Abraham Loeb (2007). “The Collision Between The Milky Way And Andromeda” .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86 : p.461. arXiv : 0705.1170 . doi : 10.1111/j.1365-2966.2008.13048.x . 2008年 1月 2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08年 4月 2日에 確認함 .  
  3. J. Braine, U. Lisenfeld, P. A. Duc, E. Brinks, V. Charmandaris, S. Leon (2004). “Colliding molecular clouds in head-on galaxy collisions” . 《Astronomy and Astrophysics》 418 : pp.419~428. doi : 10.1051/0004-6361:20035732 . 2008年 4月 2日에 確認함 .  
  4. Freeman Dyson (July 1979). “Time Without End: Physics and Biology in an open universe” . 《Reviews of Modern Physics》 51 (3): p.447. doi : 10.1103/RevModPhys.51.447 . 2008年 5月 16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08年 4月 2日에 確認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