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체 戰爭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아체 戰爭
날짜 1873年 - 1904年 或은 1914年 [1]
場所
結果 네덜란드 의 決定的 勝利
네덜란드의 아체 合倂
交戰國

네덜란드

아체 술탄國
아체 울라마 [1] [2]
指揮官
요한 下르먼 루돌프 쾰러 所長†
얀 판 스비턴 中將
카럴 판 데르 헤이던 所長
要아너스 베네딕튀스 판 回츠 中將 (1898-1904) [3]
요한 코르넬리스 판 데르 베이크 中將 (1904-05) [1]
곳프리트 쿤라트 에른스트 판 달런 將軍 (1905-08) [1]
헨리 니콜라스 알프레트 스바르트 將軍 (1908-13) [1]
술탄 마뭇 샤 [4]
술탄 이브라힘 만수르 샤 (1874-1903) [5]
偸安쿠 라자 크말라 [1] [6]
偸安쿠 마뭇 [1]
트쿠 팡리마 폴름 무다 프르카사 [4]
트쿠 우마르 [7]
춧 냑 딘 [8]
兵力
3000名 (1次 아체 遠征) [4]
13000名 (2次 아체 遠征) [4]
유럽人 東印度 陸軍 12000名 (1903) [2]
現地人 東印度 陸軍 23000名 [2]
10000-100000名 [9]
被害 規模
37000名 死亡 [2] 60000-70000名 死亡 [2]
10000名 避難 [2]

아체 戰爭 ( 인도네시아語 : Perang Aceh , 네덜란드語 : Atjehoorlog , 1873年 ~ 1904年 或은 觀點에 따라 1914年 ) 또는 네덜란드 戰爭 , 不信者 戰爭 [1] 아체 술탄國 네덜란드 사이에서 벌어졌던 戰爭 을 일컫는 말이다. 1873年 初 아체 代表團과 美國 사이에 싱가포르 에서 벌어졌던 協商의 結果로 勃發하였다. [10] 이 戰爭은 네덜란드에는 1906年 1908年 발리섬 侵攻前과 더불어 네덜란드領 東印度 에서 벌이는 最後의 戰爭이었으나, 다른 地域에서와는 달리 잘 組織된 아체의 軍隊를 맞아 네덜란드軍은 苦戰을 免치 못했다. 이 戰爭의 힘겨운 勝利로 네덜란드 勢力은 現代의 인도네시아 地域에서 完全한 軍事的 霸權을 쥐게 되었다. [11]

背景 [ 編輯 ]

19世紀 中盤까지만 해도 아체 술탄國의 獨立은 1819年의 英國-네덜란드 條約 에 依해 保障되어 있었으며, 16世紀 以來로 아체 술탄國은 오스만 帝國 保護國 地位였다. 1820年代에 아체는 世界 후추 生産의 折半 假量을 擔當하게 된 經濟的 繁榮에 힘입어 封建 라자(raja, 地方 君主)들에 對한 影響力을 强化하였다. 이에 따라 아체는 수마트라섬 地域에서 政治, 商業 兩 分野의 强國이라 할 만한 位置를 占하게 되었다. [12] 아체에 對한 유럽과 아메리카에서의 후추 收入도 增加하였는데, 이에 따라 英國 , 프랑스 , 美國 等의 勢力들 間에 種種 外交的 不和가 일어났다. 偸安쿠 이브라힘 술탄 時節( 1838年 - 1870年 ) 아체는 擴張 政策을 펼쳐 地方의 라者들에게 統制力을 强化하였으며, 수마트라 東部 海岸까지 勢力圈을 擴張하였다. [12] 그러나 아체의 수마트라 南方 膨脹은 네덜란드 勢力의 수마트라 北方 膨脹과 맞물려 둘 間에 衝突이 發生하게 되었다. [12]

1869年 수에즈 運河 開通과 航路의 變化로 인해 英國과 네덜란드는 英國의 수마트라 領土 抛棄를 骨子로 하는 수마트라에 對한 1871年 英國-네덜란드 條約 을 締結하였다. 네덜란드는 이로써 수마트라 全域을 潛在的인 影響圈 內로 編入하면서 말레이 諸島 에서의 자유로운 行動을 保障받는 代身 海賊 行爲에 對한 監視 責任을 지게 되었다. [4] 또한 反對로 英國은 아프리카 네덜란드領 黃金 海岸 (Dutch Gold Coast)을 얻고, 恃惡 (Siak)에서 네덜란드와 同等한 商業的 權利를 얻게 되었다. [9] 네덜란드는 이를 起點으로 獨立 現地 勢力을 除去하고 아체의 후추를 비롯한 自然資源을 獲得하려는 目的으로 아체를 對象으로 한 膨脹을 目標로 하게 되었다. 또, 이에는 아체 地域을 確實히 손에 넣음으로써 英國과 프랑스 等 其他 植民 列强들이 이 地域에 눈毒을 들이지 못하도록 하려는 目的도 있었다. [13]

軍事 作戰 [ 編輯 ]

네덜란드의 第1次 아체 侵攻 [ 編輯 ]

1873年 싱가포르에서 아체 술탄國의 代表團과 美國 領事 間에 雙務 協定 締結을 위한 協商이 벌어졌다. [9] 네덜란드 勢力은 이를 英國과의 1871年 協定 違反으로 看做하였으며 아체를 軍事的으로 合倂할 機會로 判斷하였다. [1] 네덜란드는 1873年 3月 26日 요한 下르먼 루돌프 쾰러 將軍 麾下의 兵力을 보내 아체의 首都 반다아체 를 砲擊하였고, 4月 무렵에는 大部分의 海岸 地域을 占領하였다. [9] 술탄의 宮을 攻擊하고 接收하는 것이 네덜란드軍의 目標였는데, 네덜란드는 이를 通해 아체 全土에 對한 占領을 끌어낸다는 心算이었다. 술탄은 싱가포르에서 이탈리아 와 英國에 軍事援助를 要請하였고 實際로 받았던 것으로 推定된다. 軍事援助를 받든 받지 않았든 이 時期 아체의 陸軍은 急速度로 近代化되었고 量的으로도 1만 乃至 10萬으로 擴大되었다. [9] 아체의 軍事力을 過小評價한 네덜란드軍은 連거푸 重大한 戰術的 失策을 犯하면서 쾰러 將軍까지 戰死하는 等 持續的인 被害를 입었다. [9] 이와 같은 敗北 經驗이 累積될수록 네덜란드軍의 詐欺와 威信은 低下되어 갔다. [4]

結局 아체의 奮戰을 견뎌내지 못하고 네덜란드軍은 退却하였고, 海軍力을 動員하여 아체 地域에 全方位的인 封鎖를 敢行하였다. 아체의 獨立을 지키기 위해 술탄 마뭇은 다른 西歐 列强이나 오스만 帝國에 도움을 呼訴했으나 아무런 所用이 없었다. 美國 領事는 同情을 보였으나, 美國 政府는 中立을 지켰다. 이미 衰退하여 國際政治 舞臺를 主導하지 못하게 된 오스만 帝國 亦是 도움을 줄 處地가 못 되었다. 英國은 네덜란드와의 關係를 理由로 介入을 拒否하였으며, 프랑스 亦是도 마뭇의 呼訴를 外面하였다. [5]

네덜란드의 第2次 아체 侵攻 [ 編輯 ]

1873年 11月 네덜란드는 얀 판 스비턴 將軍 麾下 13000名의 兵力을 動員하여 아체에 對한 2次 侵攻을 始作하였다. [10] 이 戰爭은 콜레라 의 勃發과 겹쳐 兩側에서 數千 名의 콜레라 病死者가 續出하였다. [5] 1874年 1月 무렵 아체 술탄 마뭇 샤 가 惡化된 戰況 때문에 不可避하게 반다아체를 버리고 內陸으로 後退하였다. 네덜란드軍은 반다아체를 占領하고 술彈弓 달람 을 接受하였고, 이로써 네덜란드人들은 이겼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네덜란드 占領軍은 곧 아체 술탄國의 消滅과 아체 地域의 네덜란드領 東印度 合倂을 宣言하였다. [5]

술탄 마뭇이 콜레라로 죽자 아체人들은 偸安쿠 이브라힘 의 젊은 孫子 偸安쿠 무하맛 다웃을 술탄 이브라힘 만수르 샤 (在位 1874年- 1903年 )로 宣布하고 정글 에서 十 年 假量이나 雙方이 相當한 被害를 입은 代 네덜란드 抵抗을 速行하였다. [5] 1880年 무렵 네덜란드의 戰略은 攻勢的인 戰爭을 繼續하기보다 이미 征服한 地域―아체의 區 首都인 반다아체와 港口 都市들에 거의 限定된―을 防禦하는 程度로 變更되었다. [4] 한便 네덜란드의 海岸 封鎖로 아체의 世俗 指導者 階層인 蔚레발랑 들은 海岸 地域에 對한 네덜란드의 統制力을 擴大하는 條約들에 署名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蔚레발랑들은 네덜란드와의 關係 安定化로 回復된 輸入을 아체 抵抗軍을 財政的으로 支援하는 데 使用하기도 하였다.

아체에 對한 네덜란드의 軍事 介入은 數千 兵士들의 死亡과 植民 政府의 深刻한 財政 支出을 招來하였다. 1880年 10月 13日 植民 政府는 戰爭의 終結을 宣言하고 아체 地方에 民間 政府를 設置하였으나, 占領한 地域들을 維持하는 데만도 相當한 費用 消耗가 持續되었다. 아체 地域民의 支持를 얻기 위해 네덜란드人들은 和解의 제스처로 반다아체에 바이투라만 大聖院 ( 인도네시아語 : Mesjid Raya Baiturrahman )을 建設하였다. [4]

盛典 [ 編輯 ]

戰爭은 英國 船舶 나이스로(Nisero) [14] 가 아체 地域 中 네덜란드의 影響力이 거의 없는 海岸 地域에 坐礁한 것을 起點으로 1883年 에 다시 始作되었다. 坐礁 地域의 指導者는 네덜란드와 英國에 모두 몸값 支拂을 要求했고, 英國의 壓力으로 네덜란드는 船員들을 풀려나게 하기 위한 努力을 해야 했다. 네덜란드는 地域 指導者 트쿠 우마르 에게 救助 要請을 하였으나 그는 拒絶하였고, 이러한 人質 救出 試圖가 失敗하고 나서 네덜란드는 英國과 함께 이 地域을 侵攻하였다. 술탄은 人質을 넘겨주는 代價로 相當量의 몸값을 받았다. [15]

네덜란드 戰爭長官 아우휘스트 빌럼 필립 베이트節 (August Willem Philip Weitzel)은 다시 아체와의 戰爭을 宣布하였지만 戰況은 以前처럼 別로 成功的이지는 못했다. 技術的으로 優勢한 敵을 相對하기 위해 아체人들은 陷穽 埋伏 等을 使用하는 게릴라전 에 依存하였다. 네덜란드軍은 占領한 마을을 完全히 廢墟로 만들고 捕虜와 住民을 虐殺함으로써 報復하였다. [16] 이러한 아체의 戰術은 效果가 있어, 1884年 네덜란드軍은 반다아체 周圍의 要塞化된 戰線으로 後退하였다. [4] 네덜란드人들은 地域 指導者들의 協助에 매달렸는데, 例로 그들은 技術韓 트쿠 우마르를 돈, 阿片 , 武器로 包攝할 수 있었다. 우마르는 '偉大한 將軍(panglima prang besar)' 稱號를 받았다.

1901年 , 네덜란드軍이 占領한 아체 港口 寫眞

우마르는 이 稱號를 쓰는 代身 自身을 '英雄 藻翰(Teuku Djohan Pahlawan)'으로 불렀다. 1894年 1月 1日 우마르는 네덜란드의 支援을 받아 軍隊를 構成할 수 있었다. 그러나 2年 後 우마르는 自身의 軍隊를 이끌고 아체 內陸을 服屬시키는 데 同參하지 않고 오히려 네덜란드人들을 攻擊하였다. 이는 네덜란드 歷史에서 '트쿠 우마르의 背反( 네덜란드語 : Het verraad van Teukoe Oemar )'으로 記錄되는 事件이다. 1880年代 中盤부터 아체의 軍事的 指導力은 울라마 가 쥐고 있었는데, 그 一員인 틍쿠 칙 디 티로 무하마 四萬 (Tengku Chik di Tiro Muhamma Saman)은 說敎와 히카얏 詩를 利用해 盛典 (聖戰) 槪念을 傳播하였다. 아체 戰士들은 스스로를 侵略한 不信者들에 맞서 싸우는 殉敎者로 여겼다. [1] 이 무렵 아체 戰爭은 西歐 帝國主義에 對한 무슬림 抵抗의 象徵이 되어 있었다. [2]

네덜란드의 努力에도 不拘하고 1892年 1893年 에도 아체는 獨立 狀態를 維持하였다. 東印度 植民 地域 네덜란드軍의 要아너스 베네딕튀스 판 回츠 將軍은 레이던 大學校 의 이슬람學者 흐리스티안 스나우크 휘르흐로녀 (Christiaan Snouck Hurgronje) 博士의 支援을 받아 아체에 對한 一連의 글을 썼다. 휘르흐로녀는 힘겹게 많은 아체 指導者들의 信賴를 얻고, 네덜란드 政府를 위해 인도네시아 이슬람 巡禮 活動에 關한 情報를 蒐集할 수 있었다. [2] 이때 쓰인 著作들은 오랫동안 公務 機密로 取扱되었다. 휘르흐로녀는 아체 社會에 對한 分析에서 술탄의 役割을 最少化하고 地域의 實質的인 行政力을 가진 世襲 貴族 階層 '蔚레발랑'에 注意를 기울여야 한다고 論하였다. 또한, 宗敎 指導者 울라마는 믿거나 協力하도록 懷柔할 수 없으며 粉碎되어야 한다고 主張하였다. 分割征服(divide-and-conquer) 政策의 一環으로 휘르흐로녀는 네덜란드에 이 울레발랑과 울라마 사이의 隔差를 넓히라고 促求하였다. [2]

1894年 이슬람 判官 하산 무스타파 도 무슬림들이 네덜란드 植民 政府에 屈服해야 한다는 파트와 를 發表하여 鬪爭을 수그러들게 하는 데 貢獻하였다. [17]

抗爭의 消滅 [ 編輯 ]

이러한 휘르흐로녀의 助言이 있은 後, 1898年 판 回츠는 아체의 知事 [18] 로 宣布되었다. 판 回츠는 나중에 네덜란드의 首相이 되는 副官 헨드리쿠스 콜레인 (Hendrikus Colijn)과 함께 아체의 나머지 地域을 征服할 것이었다. 이들은 휘르흐로녀의 提案에 따라 아체 內陸에서 네덜란드 勢力을 支援할 協調的인 울레발랑을 物色함으로써 抵抗軍을 고립시키는 作戰을 使用하기 始作하였다. [2] 또한 네덜란드는 輕武裝한 國家憲兵 (marechaussee) 部隊를 配置하고 焦土化 戰術을 驅使하는 對叛亂作戰 을 위한 새로운 戰略을 樹立하였다. [1] 판 回츠는 殘存하는 抵抗勢力을 粉碎하기 위해 當時 大領이었던 곳프리트 쿤라트 에른스트 판 달런 을 投入하였다. 판 달런은 마을들을 破壞하고 1150名의 女子와 어린이를 包含해 적어도 2900名의 아체인을 죽였다. 네덜란드軍의 死亡者는 단 26名뿐이었고, 이 前過勞 판 달런은 進級하였다.

판 回츠 將軍과 將校들

1903年 에는 술탄 이브라힘 만수르 샤, 偸安쿠 라자 크말라 , 마뭇, 무다 프르카사 等 아체 抵抗軍의 主要 世俗 指導者들이 降伏하였다. [1] 1904年 무렵 아체의 大部分 地域은 네덜란드의 支配 下에 놓였고 植民 政府와 協助하는 土着 政府가 생겼다. 네덜란드는 아체인들의 武裝 鬪爭 醫師를 꺾기 위해 宗敎的 寬容 政策을 施行하여 아체 地域의 支配力을 굳혔다. [1] 그럼에도 네덜란드人이 軍事力을 使用해 아체인을 殘酷하게 抑壓한 事件은 繼續 發生하였다. 例로 1904年 아체의 가요(Gayo)와 알라스(Alas) 地域을 征服하는 渦中에 쿠토 레(Koeto Reh) 마을에서 네덜란드人이 벌인 虐殺 寫眞에서 住民들의 大量 殺害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19] 아체 戰爭 渦中에 發生한 아체 側 死亡者는 5萬에서 6萬 名, 負傷者는 百萬 名 以上으로 推定된다. [2] 네덜란드人의 侵入으로 居住 地域의 共同體가 崩壞하자 萬 名 假量의 아체人들은 이웃의 英國領 말라야 로 避難을 갔다. [2]

그 무렵 네덜란드에서 판 回츠는 아체에 平和를 가져온 英雄 待接을 받으며 1904年 네덜란드領 東印度의 總督으로 昇進하였다. 암스테르담 에는 아직도 判 回츠를 위해 세운 記念碑가 있는데, 나중에 殘虐했던 아체 抵抗軍 粉碎에 對한 抗議로 판 回츠의 이름과 모습은 지워졌다. 네덜란드는 普遍的인 國際 基準을 充足하지 않는 獨立的인 土着 統治者들의 抑壓과 後進的 慣例에서 大衆을 解放할 道德的 必要를 들며 아체에서의 行爲를 辯護하였다. [11] 아체 戰爭이 어느 程度 成功을 거두자 네덜란드는 鼓舞되어 1901年 부터 1910年 까지 발리섬, 말루쿠 制度 , 보르네오섬 , 술라웨시섬 等의 殘存 獨立 地域을 合倂하였다. [11]

內陸 高地帶에서는 植民 政府의 影響力이 決코 굳건하지 않았고, 울라마가 이끄는 小規模 게릴라는 1942年 까지 存續해 있었다. [1] 가요 地域은 1914年 까지도 抵抗의 中心이었지만, 네덜란드 勢力을 逐出하는 것이 不可能하다는 것이 분명해지자 차츰 울라마의 抵抗 意志도 수그러들어 갔다. [20] 한便 印度 帝國 사이드 아흐마드 칸 은 聖殿, 卽 ' 지하드 '라는 用語를 半 네덜란드 抗爭에 使用하지 말 것을 主張했는데, 이 用語는 宗敎的 彈壓에 抗拒하는 戰爭에만 쓰인다는 理由였다. [1]

戰爭 以後 [ 編輯 ]

1874年 네덜란드의 아체 侵攻 後 解體되어 있는 아체의 火氣 - 《 일러스트레이티드 런던 뉴스

아체 戰爭 以後 地域 蔚레발랑은 間接統治 形式으로 네덜란드가 아체 支配를 維持하는 것에 協助했다. [21] 20世紀 初 스탠더드 午日 로열 더치 셸 은 아체 地域의 石油 를 抽出하기 위한 精製所를 設置하였다. [22] 1910年代 中盤을 起點으로 公開的인 抵抗은 終熄되었지만, 네덜란드에 對한 아체 民衆들의 抵抗은 1942年 日本 帝國 이 네덜란드領 東印度를 侵攻할 때까지도 繼續되었다. 20世紀 初 내내 〈히카얏 프랑 사빌(Hikayat Perang Sabil)〉 等에 影響받은 아체 獨立鬪士들은 네덜란드 市民과 兵士를 對象으로 散發的인 自殺 攻擊 을 敢行하였다. [23] 이는 '아체의 殺害( 네덜란드語 : Atjeh-moord )'로 알려졌는데, 이 때문에 네덜란드 政府는 繼續해서 아체 地域에 相當量의 軍士를 駐屯시켜야 했다. [20]

네덜란드 植民 政府는 아체人에게 强制的으로 1年에 24日을 道路 工事場에서 勞動하도록 했는데, 이는 아체인들의 憤怒를 부채질했다. [20] 1920年代 中盤 아체 全域은 다시 反 네덜란드 게릴라전이 벌어지는 狀態로 回歸하였다. 日本 帝國軍의 侵攻 後 처음에 日本 占領軍은 아체 民族主義者에게 解放軍으로서 歡迎을 받았으나 以後의 處事로 인해 이슬람 叛軍들의 抵抗을 받았다. 이 抵抗은 바유 의 叛亂을 끝으로 一段落되었다. [24] 1945年 8月에 벌어진 日本의 降伏 에 뒤이은 인도네시아 獨立戰爭 期에 蔚레발랑은 네덜란드에 對한 賦役으로 膺懲의 對象이 되었으며 아체 地域은 수카르노 가 이끄는 共和主義者의 據點이 되었다. [21] 强固한 反植民 情緖 때문에 1947年 - 1948年 네덜란드가 試圖한 東印度의 再植民化 過程에서 아체 地域은 攻擊받지 않았다. [24]

1949年 8月 네덜란드 政府가 新生 인도네시아 政府에 一部를 除外한 東印度의 主權을 移讓한 後, 많은 아체人들은 者와인 이 中心이 되는 자카르타 의 中央政治 舞臺에 不滿을 품고 自治를 要求하기 始作하였다. [25] 아체가 基督敎도 가 大多數인 바탁人 들의 地域과 함께 수마트라우타라 週 에 編入된 것, 共和國 政府에서의 적은 財政的, 政治的 支援, 샤리아 의 施行 失敗 等도 아체인들의 不滿 要因이었다. [24] [26] 1953年 에는 이러한 不滿이 暴發하여 다룰 이슬람 (Darul Islam, 이슬람主義 團體)李 이끈 叛亂이 發生했고 얼마 안 되어 인도네시아軍 이 이를 鎭壓하는 事態가 벌어졌다. [24] 하지만 內陸 地域에서는 1959年 까지 抵抗이 持續되었고, 마침내 叛軍들은 協商으로 아체 地域의 自律的 地位를 確保하는 데 成功하였다. [26] [27] 그러나 如前히 많은 아체人들은 者와인이 中央의 要職을 두루 꿰차고 있는 狀況에 憤怒하고 있다. [26]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Ibrahim, Alfian. "Aceh and the Perang Sabil." Indonesian Heritage: Early Modern History . Vol. 3, ed. Anthony Reid , Sian Jay and T. Durairajoo. Singapore: Editions Didier Millet, 2001. p132-133
  2. Vickers (2005), p. 13
  3. Ibrahim (2001), p. 133
  4. Ibrahim (2001), p. 132
  5. Ricklefs (1993), p. 145
  6. 아체어 의 모음 'eu'는 IPA로 /?/를 나타내는데, 이는 外來語表記法 第2張 票1에는 없고, 票15 '타이어의 表記'에서 'ㅡ'로 戰死하므로 여기서도 'ㅡ'로 옮겼다.
  7. Anthony Reid (2005), p. 336
  8. Anthony Reid (2005), p. 352
  9. Ricklefs (2001), p. 144
  10. Ricklefs (2001), p. 185-88
  11. Vickers (2005), pp. 14
  12. Ricklefs (1993), p. 143
  13. Vickers (2005), p. 10
  14. '니세로', '나이즈로', '니制로' 等일 수도 있음.
  15. Anthony Reid (2005), p. 186-88
  16. Vickers (2005), pp. 11
  17. Mufti Ali, "A Study of Hasan Mustafa's 'Fatwa: 'It Is Incumbent upon the Indonesian Muslims to be Loyal to the Dutch East Indies Government,'" Journal of the Pakistan Historical Society, April 2004, Vol. 52 Issue 2, pp 91-122
  18. 네덜란드領 東印度 全體의 總督( 네덜란드語 : gouverneurs-generaal )보다는 낮은 地方의 知事( 네덜란드語 : gouverneurs ).
  19. Linawati Sidarto, 'Images of a grisly past', The Jakarta Post: Weekender , July 2011 [1] Archived 2011年 6月 27日 - 웨이백 머신
  20. Reid (2005), p. 339
  21. Vickers (2005), p. 102
  22. Vickers (2005), p. 18
  23. Reid (2005), p. 340
  24. Reid (2005), p. 341
  25. Vickers (2005), p. 140
  26. Reid (2005), p. 19
  27. Vickers (2005), p. 120

參考 文獻 [ 編輯 ]

  • Ibrahim, Alfian. "Aceh and the Perang Sabil." Indonesian Heritage: Early Modern History . Vol. 3, ed. Anthony Reid , Sian Jay and T. Durairajoo. Singapore: Editions Didier Millet, 2001. 132-133
  • Reid, Anthony (2005). An Indonesian Frontier: Acehnese & Other Histories of Sumatra . Singapore: Singapore University Press. ISBN   9971-69-298-8 .
  • Ricklefs, M.C (1993). A History of Modern Indonesia Since c. 1300 . Hampshire, UK: MacMillan Press. pp. 143?46. ISBN   978-0-8047-2195-0 .
  • Vickers, Adrian (2005). A History of Modern Indonesia .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10?13. ISBN   0-521-54262-2  {{ isbn }}의 變數 誤謬: 有效하지 않은 ISB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