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모스 (豫言者)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아모스
Russian icon of the prophet Amos
18世紀에 그려진 아모스의 이콘 , 카렐리야 키지 修道院 所長.
豫言者
出生 드고아
腺腫 紀元前 745年
敎派 유대敎
基督敎
이슬람
祝日 6月 15日 (正敎會)
代表作 아모스서

아모스 ( ?????? ?m?s )는 12名의 小 先知者 中 한 名이다. 同時代에 살았던 호세아 이사야 보다 나이가 많은 아모스는 여로보암 2歲 우찌야 의 統治 期間인 紀元前 760-755年에 活動하였다. [1] 그는 남유다 出身이었지만 北이스라엘 에서 說敎했다. 荒野에서 羊을 치고 있던 아모스는 社會的 不正과 宗敎的·道德的 頹廢를 辛辣하게 糾彈하고 하늘의 審判이 반드시 내릴 것을 豫言하였다. 그는 富裕層과 가난한 사람 사이의 不均衡이 커지는 것에 對해 警告한다. 또한 社會 正義 , 하나님의 全能, 神聖한 判決 等이 豫言의 主要 主題였다. 아모스서 를 쓴 것으로 알려져 있다.

生涯 [ 編輯 ]

귀스타브 도레 가 그린 豫言者 아모스

豫言者가 되기 前의 아모스는 羊치기였고, 돌無花果 農夫였다. [2] 그의 以前 職業들과 "나는 豫言者도 아니고 豫言者의 아들도 아니"라는 말은 아모스가 豫言者 學派 出身이 아니었음을 나타낸다. 그러나 아모스는 自身의 이러한 出身이 豫言者로서 自身의 眞情性을 나타낸다고 말한다. 이같은 宣言은 舊約時代 豫言의 發展에 轉換點을 보여준다. 아모스 以後의 豫言者들은 호세아 , 이사야 , 예레미야 , 에제키엘 을 包含해 大部分이 自身이 받은 特別한 召命에 對한 이야기를 먼저 들려준다. 이로서 國家的 虛榮과 統治者들의 惡行을 無視하는 公式的인 豫言者들과 自身들이 어떻게 다른지 보여준다. [3]

아모스서에 따르면 그가 豫言한 時期는 우찌야 王 時代에 地震이 일어나기 2年 前인 紀元前 762年頃이다. [4] 아모스는 南쪽의 유다 王國 出身이었지만, 北이스라엘의 사마리아 베델 等地를 向해 豫言했다. [5]

시리아, 이집트 等의 帝國(諸國)李 當時 一時的으로 弱化된 틈을 타서 유다와 이스라엘 王國은 領土를 擴張하고 國內的으로 經濟的 繁榮을 이룩하였다. 이스라엘 王國의 統治者인 여로보암 2歲 는 시리아, 모압 , 암몬 을 빠르게 征服해 領土를 北쪽의 오론테스江 에서 南쪽의 死海 까지 擴張시켰다. 北王國은 藝術과 商業 發電의 復活로 인해 오랜 期間 平和와 安保를 누렸다. 그러나 同時에 部를 손에 쥔 者들은 倨慢해져서 가난한 사람들을 虐待하고, 地位와 權力을 얻은 者들은 이를 뽐내며 弱한 사람들을 輕蔑하여 國家의 隆盛에 醉해서 神을 忘却하는 狀態에 이르게 되었다. 正服과 交易으로 異敎徒들과 融和된 百姓들은 異邦神들을 崇拜하는 慣習과도 融和되었다. [6] [7]

아모스는 自身이 받은 直接啓示를 記錄한 最初의 豫言者이다. 그는 言語의 純粹性과 語法의 아름다움으로 높은 評價를 받는다. 이러한 모든 面에서 이사야의 精神的 時調의 位置를 차지한다. [8]

아모스는 王室의 聖所가 있는 베델에서 說敎해야 한다고 생각하여 베델에서 北王國의 豫見된 沒落을 알린다. 그러나 豫言의 內容이 國家의 沒落을 向한다는 것을 깨달은 아마지야 大祭司長은 여로보암 2世에게 아모스를 非難하고, 아모스에게 돌아가 王國을 떠나라고 傳한다. 그래서 아모스는 自身이 보냄받은 사람들에게 豫言을 穩全히 傳達하지 못하자 代身 글로서 豫言을 傳한다. 이로서 아모스는 글로 自身의 直接啓示를 記錄한 最初의 豫言者가 된다. 아모스 直後로부터 豫言者들은 自身이 받은 豫言과 啓示를 直接 記錄하기 始作한다. 호세아가 아모스의 著作을 알고 있었다는 것에는 異見이 없다. 이사야 初期 演說에서 아모스를 따라하는 點으로 보아 亦是 아모스의 冊을 알고 있었던 것으로 본다. 아모스는 北王國에서 追放된 以後 예루살렘에서 自身이 받은 啓示를 記錄해 追從者들에게 남겼다. [9]

各州 [ 編輯 ]

  1. Hubbard, David Allan. Joel and Amos. InterVarsity Press, 2015. p. 92
  2. Coogan, Michael. A Brief Introduction to the Old Testament . p. 257.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3. " Amos ", Jewish Encyclopedia . 1906.
  4. 《The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5. Dearman, J Andrew. Amos. Harper Collins Study Bible . Edited by Meeks, Wayne A. San Francisco: HarperCollins, 2006.
  6. Gigot, Francis. "Amos." The Catholic Encyclopedia . Vol. 1. New York: Robert Appleton Company, 1907. 11 Feb. 2014
  7.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 〈아모스〉
  8. " Amos ", Jewish Encyclopedia . 1906.
  9. " Amos ", Jewish Encyclopedia . 1906.

參考 文獻 [ 編輯 ]

  • Anderson, Bernhard W. & Foster R. McCurley 8 世紀 先知者 : 아모스, 호세아, 이사야, 美가 位프 및 株式 : 2003. ISBN   1-59244-354-0 ISBN   1-59244-354-0
  • 앤더슨, 프란시스 1 世 & 데이비드 노엘 프리드먼, 아모스 , 앵커 例일 聖經, 卷. 도 24a; 뉴 헤이븐 : 예일 大學校 出版部, 2008. ISBN   978-0-300-14070-5 ISBN   978-0-300-14070-5
  • Rosenbaum, 이스라엘의 Stanley Ned Amos : 새로운 解釋 조지아 : Mercer University Press : 1990. ISBN   0-86554-355-0 ISBN   0-86554-355-0
  • Lemmo, Peter S. & Greenblatt, Meriam "Glencoe 人間 文化 遺産 : 世界史"NY : McGraw-Hill Companies : 2004 ISBN   0078462401 (學生用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