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닥스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아닥스
아닥스
아닥스
生物 分類 ??
界: 動物界
文: 척삭動物門
江: 哺乳岡
목: 禹題目/境遇題目
과: 小科
亞科: 營養兒과
族: 힙포트라구스족
속: 亞닥스속
( Addax )
種: 아닥스
( A. nasomaculatus )
學名
Addax nasomaculatus
Blainville, 1816 [1]

학명이名
  • Addax addax Cretzschmar, 1826
  • Addax gibbosa Savi, 1828
  • Addax mytilopes Hamilton-Smith, 1827
  • Addax suturosa Otto, 1825
  • Cerophorus nasomaculata de Blainville, 1816
  • Antilope addax Cretzschmar, 1826
  • Antilope suturosa Otto, 1825
  • Antilope mytilopes Hamilton-Smith, 1827
  • Oryx addax Hamilton-Smith, 1827
  • Oryx nasomaculatus J.E. Gray, 1843
아닥스의 分布

아닥스의 分布
   現在 棲息地
   再導入된 地域
保全狀態

危急(CR): 絶滅可能性 極端的으로 높음
評價機關: IUCN 赤色 目錄 3.1 [2]


CITES Ⅰ: 去來 根絶 必要
評價機關: CITES [3]

아닥스 ( 英語 : white antalope , 學名 Addax nasomaculatus 아닥스 나소마쿨라투스 [ * ] )는 小科 에 屬하는 亞닥스속 의 唯一種으로, 地中海 隣近 사하라 沙漠 元山의 營養의 一種이다. 나社뿔營養 ( 英語 : screwhorn antalope )이라고도 하는데, 이름처럼 나선 模樣으로 굽어 있는 길다란 뿔이 있으며 암컷은 55-80 cm, 수컷은 70-85 cm에 達한다. 體軀 또한 수컷이 어깨높이 105-115 cm, 암컷이 95-110 cm로 수컷이 더 큰 成績 이형성 을 가진 動物이다. 털은 季節에 따라 色이 달라지는데 겨울에는 네 다리와 엉덩이 部分을 除外한 나머지 體部가 길쭉한 褐色 털로 뒤덮이는 反面 여름에는 거의 하얀色이나 黃色을 띈다.

株式은 콩과 流 植物이나 灌木의 풀과 나뭇잎, 열매 等이다. 乾燥 氣候 地域의 半沙漠 ·자갈 等 沙漠葡萄 가 豐富한 沙漠 平原에 棲息하며, 沙漠 의 環境에 매우 잘 適應하여 물이 不足한 狀態에서도 오랜 期間을 버틸 수 있다. 5-20마리 안팎의 무리를 이루면서 사는 社會性 動物으로 元老 암컷이 무리를 이끄는 母系 社會를 가진다. 動作이 느리기 때문에 捕食者들의 먹잇감이 되는 일이 頻繁하며, 天敵으로는 人間 外에 獅子 · 리카온 · 치타 · 豹범 · 하이에나 等이 있다. 繁殖期는 겨울에서 初봄까지가 가장 活潑하다.

國際 自然 保護 聯盟 에서 分類한 바와 같이 營養 種類 中에서도 몹시 深刻한 滅種 危機에 處한 種으로, 棲息地의 喪失과 뿔·고기·皮革을 얻기 위한 濫獲 때문에 數가 急激하게 줄어들어 元來 棲息하던 곳에서는 보기 드문 生物이지만 世界 各地의 動物園 에서는 흔히 볼 수 있다. 아닥스의 本來 分布地는 사하라 沙漠 全域이었지만 現在는 차드 · 니제르 · 모리타니 로 限定되어 있으며 이집트 · 리비아 · 수단 · 西사하라 에서는 더 以上 찾아볼 수 없다. 모로코 · 튀니지 에서는 긴칼뿔오릭스 와 함께 아닥스의 再導入을 推進하는 中이다.

語源과 分類 [ 編輯 ]

아닥스의 스케치

다음은 2019年 주라노(Zurano) 等의 硏究에 기초한 營養兒과의 系統 分類이다. [4]

營養兒과
임팔라族

임팔라속

네소트라구스족

네소트라구스속

리드벅族

리복속

리드벅속

물營養속

營養族

네오트라구스族

네오트라구스속

바위타기영양족

바위타기영양속

다이커營養族

筆란톰바속

다이커營養속

케팔로푸스속

하테비스트族

陋俗

하테비스트속

히롤라속

다말理쿠스속

힙포트라구스족

힙포트라구스속

亞닥스속

오릭스속

兩足

아닥스의 學名 아닥스 나소마쿨라투스 ( Addax nasomaculatus )는 프랑스 動物學者 앙리 드 블랭빌 이 1816年 붙인 學名으로, 當時에도 小科 亞닥스속( Addax )의 唯一種으로 分類되었다. [1] 블랭빌은 윌리엄 不祿(William Bullock)의 收集場과 런던 素材의 英國 王立 外科大學에 있는 模式 標本을 發見했고, 곧이어 英國 自然科學者 리처드 라이데커 세네감비아 가 模式知人 것 같다고 잘못 發表했으나, 1898年 討論 結果 사하라 沙漠 이나 튀니지 쪽이 더 妥當하다는 結論이 나왔다. [1]

學名 中 俗名 아닥스( Addax )는 아랍語 로 삐뚤은 뿔을 지닌 動物을 뜻하는 單語에서 由來된 것으로 推定되며 [5] 1693年에 言及 記錄이 殘存해 있는 라틴語 에서 由來되었다는 說도 있다. [6] 한便 種名人 나소마쿨라투스( nasomaculatus )는 라틴語 로 '코'를 뜻하는 나수스( nasus )가 變形된 接頭辭 나소(naso)와 點박이를 뜻하는 마쿨라투스( maculatus )에서 따온 이름으로 이는 營養 特有의 얼굴 文樣을 일컫는다. 베두인족 은 아닥스를 가리켜 들소라는 뜻의 바크르 알 와흐視( bakr al wahsh )라 하지만, 이는 모든 다른 有蹄類 動物들에게도 適用될 수 있다. [7] [5] 耳鳴으로는 머리의 뿔이 螺絲를 닮아 붙여진 나社뿔營養 과 몸 빛깔을 딴 흰영양 이 있다. [8]

遺傳學 [ 編輯 ]

아닥스는 營養 中에서도 獨自的인 遺傳子 풀을 지니고 있는 種이다. [9] 29雙의 染色體 를 지니고 있으며, 車中部 動原體 兄인 1番 常染色體 를 除外한 모든 染色體가 末端 動員體型이다. X 染色體 가 末端 動員體型 染色體 中에서 가장 크며 Y 染色體 는 中間 가는 크기이다. 1番 常染色體의 染色分體 의 27番, 鹽素 의 1番과 一致한다. 硏究 結果 아닥스의 核型 힙포트라구스족 에 屬한 나머지 네 種類의 營養들과 매우 恰似한 形態를 띠고 있었다. [7] [10]

또한 오릭스 와도 近緣 關係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特히 아라비아營養 과는 비슷한 方向, 卽 沙漠 生活에 더 유리한 쪽으로 進化했다는 共通點이 있으며, 긴칼뿔오릭스 와는 棲息地가 一部 겹친다. 學界에서는 亞닥스속이 오릭스속 系統과 마이오세 初葉이자 메시나節 末葉인 5,000,000年 前에 갈라져 나온 것으로 보고 있다. [9] [11] 한때 수단 에 分布했던 아닥스는 手段亞닥스( Addax nasomaculatus addax Cretszchmar, 1826)라는 亞種으로 여겨졌다. [12]

歷史 및 化石 記錄 [ 編輯 ]

아닥스는 高大에 매우 蕃盛하여 北아프리카 는 勿論이고 아라비아 레반트 地域까지 棲息하고 있었던 것으로 推定된다. 古代 이집트 의 壁畫에서는 最少 紀元前 2500年에 그려진 것으로 보이는 壁畫에 말뚝에 감긴 밧줄에 매인 아닥스와 다른 營養 種類들이 그려진 것이 確認되었는데, 經濟的으로 富裕한 人士에게 生捕당한 것을 描寫한 것으로 보인다. [8] 그러나 現代 이집트 에서는 密獵꾼들이 濫獲하였기 때문에 1960年代부터 野生에서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13]

이집트의 아닥스의 化石은 銃 4곳에서 發見되었는데, 各各 約 紀元前 7000年의 것이 사하라 沙漠 의 모래 벌판에서, 紀元前 5000~6000年의 것이 자라(Djara) 洞窟에서, 紀元前 4000~7000年의 것이 아부 발라스 史跡地에서, 紀元前 5000年의 것이 길프 케비르 高原 에서 出土되었다. 以外에도 紀元前 6300年의 것으로 보이는 化石이 수단 와디 에서 發見되었고 플라이스토세 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것으로 보이는 化石이 알제리 모로코 等地에서 發見되었다. [7]

外形 [ 編輯 ]

Summer coat
아닥스의 여름털
Winter coat
아닥스의 겨울털

수컷 아닥스의 어깨 높이는 105-115cm, 암컷은 95-110cm로 암컷의 덩치가 若干 더 작은 成績 이형성 을 지니고 있다. [14] 몸길이는 兩쪽 性別이 均一하며 120-130cm 程度이며, 꼬리 길이는 25-35cm이다. 수컷의 몸무게는 100-125kg, 암컷의 몸무게는 60-90kg이다. [7]

털가죽의 色은 季節에 따라 바뀌는데, 두꺼운 겨울털은 臀部와 배, 다리를 除外한 全身이 칙칙한 褐色을 띠지만 相對的으로 얄팍한 여름털은 거의 흰色 또는 모래 빛깔에 가까운 色調이다. [7] 머리는 黑褐色 털로 뒤덮여 있으며, 흰色 줄무늬가 주둥이 위의 眉間을 타고 十字 文樣을 그린다. 鬚髥은 들쭉날쭉하고 짤막하게 나 있고 주둥이털이 많으며 콧구멍 部分은 붉은色을 띤다. 나社뿔 사이에는 목 周邊의 갈기까지 뻗쳐 있는 거친 聰謀가 있다. [15]

A male with long horns
아닥스 수컷의 나社뿔
Close-up on the spiral horns
위쪽에서 觀察한 나社뿔

아닥스의 가장 큰 特徵은 로, 암수 모두가 한 雙을 가지고 있다. 뿔은 위로 솟으면서 두세 番 程度 코르크 따개 模樣 螺旋으로 꼬이며, 一般的으로 암컷은 55-80cm, 수컷은 70-85cm 程度이지만 最大 109.2cm까지 자란 記錄이 있다. 뿔의 아랫部分과 中尉 部分은 約 30個 안팎의 고리 模樣 突起가 솟아 있다. [7] 꼬리는 몸통에 비해 짧고 가늘며 그 끝에는 검은色 털뭉치가 나 있다. 발굽은 다른 힙포트라구스족 에 屬하는 營養과는 多少 異質的으로 고운 모래땅 위를 걸어다니기 적합하도록 넓적한 바닥과 곁발굽을 가지고 있다. [15] [12] 네 발에는 各其 냄새샘이 달려 있다. [7] 野生에서의 壽命은 約 19年으로, [5] 動物園 等에서 사는 個體는 25年까지 늘기도 한다. [7] [14]

아닥스는 긴칼뿔오릭스 와 外見上 類似한 點이 많지만, 뿔의 模樣과 얼굴 생김새 等으로 區別 可能하다. 아닥스가 螺絲뿔을 가지고 있는 것과 달리 긴칼뿔오릭스는 127cm까지 뻗는 直線뿔을 가지고 있다. 아닥스의 머리에 난 褐色 털은 긴칼뿔오릭스에게는 찾아볼 수 없으며, 反對로 긴칼뿔오릭스는 눈가의 줄무늬를 除外하면 豆腐의 털이 희다. 餘他 營養과 아닥스를 區分할 수 있는 또다른 主要 端緖는 와 같은 死角 齒牙와 그 안쪽에서 觀察되는 附屬 齒牙를 가졌다는 것과 [12] 典型的인 營養의 얼굴샘이 없다는 것이다. [7]

寄生蟲 [ 編輯 ]

濕한 氣候를 가진 地域에 導入된 아닥스는 寄生蟲에 곧잘 感染된다. [16] 恒常 원線蟲牙목 에 屬하는 船蟲 에 感染되어 있으며, [17] 特히 텍사스州 의 牧草地로 들여온 種類들 中에는 紅창 部位에 鹽田胃蟲 ( Haemonchus contortus )과 弄氣스트롱길루스 쿠르비스피쿨룸( Longistrongylus curvispiculum ) 等의 寄生蟲들이 棲息하고 있을 確率이 높다. [7] 大體的으로는 電子가 좀 더 發病 確率이 높다. [18]

習性과 生態 [ 編輯 ]

아닥스는 主로 밤에 奔走하게 活動하는 夜行性 動物로, 特히 여름에 더 活潑해진다. 낮 동안에는 그늘진 자리를 잡고 모래 구덩이를 파고 쉰다. 이 구덩이는 햇빛도 막아 주지만 이따금 모래 暴風을 避할 수 있는 防空壕 役割도 한다. [19] 多數의 수컷과 암컷이 包含된 무리를 지으며, 規模는 5-20마리 程度이다. 무리가 만들어지면 定着 生活을 하며 오로지 먹이가 다 떨어졌을 때만 移動한다. 먹이로 삼을 草木이 豐富한 곳을 찾아갈 때에는 主로 비가 잘 내리는 쪽으로 移動하며, 여름 동안에 雨期가 찾아오는 地域으로 무리를 찾을 수 있다. 뚜렷한 社會 體系를 이루고 있으며, 學界에서는 그 地位가 나이에 依해서 決定된다고 보고 있다. 무리의 大將은 가장 나이든 암컷으로 定해지며, 이는 動物園 等 飼育 狀態에서도 나타나는 現象이다. [7] [20] 수컷들은 大部分 勢力圈을 가지고 있으며, 암컷들이 自身이 이끄는 무리를 만들고 있을 때 암컷을 護衛하는 役割을 한다. [21] [22]

平素에는 느릿느릿하게 行動하는 까닭에 獅子 · 리카온 · 치타 · 豹범 · 사냥꾼 의 좋은 標的이 되며, 카라칼 · 하이에나 · 徐伐 의 攻擊으로 어린 個體를 잃을 수 있다. 刺戟하지 않으면 攻擊的인 性向을 보이지는 않으나 威脅을 加하면 뿔을 앞세워 달려드는 것으로 自己 防禦的인 攻擊을 할 수 있다. [7]

適應 [ 編輯 ]

沙漠 植物을 먹는 아닥스

아닥스는 極限의 沙漠 環境에서도 훌륭하게 生存할 수 있는 條件을 갖추고 있다. 을 거의 마시지 않고도 乾燥한 氣候 속에서 살 수 있는데, 不足한 水分을 沙漠 植物과 이슬 로 補充할 수 있기 때문이다. 正確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아닥스의 몸 속에는 水分을 모아두면서 渴症 狀態일 때 水分을 供給하는 안주머니 같은 機關이 있을지도 모른다고 推定되고 있다. 물을 적게 마시는 까닭에 小便 의 濃度는 몹시 津하다. [19] 거죽이 흰色이어서 내리쬐는 햇볕으로부터 熱을 效果的으로 반사시킬 수 있고, 긴 털과 빽빽한 密度는 體溫 調節 을 돕는다. 水分 喪失을 防止하기 위해 낮 동안에는 그늘진 空間 안에서 制限된 行動만을 取한다. [7]

한 硏究에 따르면 로즈그래스 ( Chloris gayana )가 먹이로 提供된 8마리의 아닥스를 調査한 結果 먹이를 먹는 데에 遲延 時間이 存在한다는 것이 確認되었다. 消化가 잘 되지 않는 풀이 包含된 새로운 먹이에 適應 時間을 가졌다고 解釋될 수 있지만, 水分 節約 메커니즘의 一部로 풀이될 수도 있다. [23]

먹이 [ 編輯 ]

沙漠에서 자라는 灌木 과 키 작은 풀, 特히 아리스티多足 · 機張 等에 屬하는 植物들을 株式으로 먹으며, 풀 種類가 없다면 나뭇잎 中에서도 오직 아카시아나무 의 잎을 먹는다. [23] 雨期가 되면서 자라는 多年生 植物 亦是 좋은 먹이가 된다. 아리스티多足에 屬하는 草木들의 境遇 몇몇 잎 部分만을 營養分으로 攝取하는 것을 觀察할 수 있으나, 反對로 機張亞科 에 屬한 植物들은 大體로 잎을 빼고 이삭 部分을 먹는 것으로 觀察된다. 이 이삭과 씨앗 部分은 아닥스의 먹이 中에서도 重要한 자리를 차지하며 不足해질 수 있는 蛋白質 의 供給源이 된다. [15]

繁殖 [ 編輯 ]

아닥스 새끼와 聖體

암컷들은 2-3年 안에, 수컷들은 2年 程度만에 性的으로 成熟하게 되며, 一 年 내내 繁殖할 수 있지만 特히 繁殖期가 한창일 때는 겨울에서 初봄 사이이다. 北部 사하라에서는 大體로 늦겨울에서 初봄 사이지만, 南部 사하라에서는 9-10月부터 始作해 1-4月 中旬까지 繼續된다. 發情期 는 1-2日 程度밖에 繼續되지 않는다. [7]

免疫學的 檢定 (immunoassay)을 통해 아닥스의 血淸 을 調査하여 그로부터 月經 週期의 一部인 黃體期 (Luteal phase)를 알아본 硏究 結果 發情 週期 는 33日으로 밝혀졌다. 妊娠한 아닥스는 超音波 檢査로 子宮角 (uterine horn)李 擴張된 것으로 알 수 있다. 卵胞 黃體 의 最大 길이는 各各 15mm, 27mm이다. 암컷에게 排卵이 없을 境遇 39-131日에 達하는 無排卵 週期로 접어들지만 이런 現象은 繁殖期인 겨울에 일어나는 일이 드물다. [24]

妊娠 期間은 257-270日(藥 9달)이며, 암컷들은 새끼를 낳는 것을 準備하는 동안 出産 場所로 가는 것과 같은 特別한 移動을 除外하고서는 거의 일어서지 않는다. 새끼를 낳는 데에 成功한 암컷은 2-3日 後 産後 發情이 일어날 수 있으며, 이는 더 많은 繁殖을 불러일으킨다. [20] 새끼는 태어날 때는 體重이 約 5kg 程度 나가며 23-29週만에 젖을 뗀다. [25]

書式과 分布 [ 編輯 ]

아닥스의 2008年 分布

아닥스는 乾燥 氣候 에 屬하는 沙漠 과 半沙漠 地帶에서 棲息한다. [19] 甚至於는 年間 降水量이 100mm 以下밖에 되지 않는 世界에서 가장 乾燥한 축에 드는 곳에서 棲息하기도 하며, [2] 아리스티多足 에 屬하는 多發性 草木과 汁이 많은 仙人掌 및 수송나물亞科 家 자라는 곳에서도 棲息할 수 있다. [26] 예전부터 아닥스는 나일江 西쪽 地域과 사하라 沙漠 全域에 걸친 國家들에서 널리 棲息하고 있는 營養이었지만 現在 確實히 確認된 野生 個體群은 오직 니제르 의 테르밋 마시프(Termit Massif) 保護區域뿐이다. 그러나 確實視된 것은 아니지만 니제르의 아이르 산 東部와 차드 의 步델레(Bodele) 地域에서 目擊했다는 報告가 들어오기도 한다. 드물게는 니제르·南部 알제리 ·南部 리비아 에서 移動하는 무리가 觀察되기도 한다.

본디 某食紙로 注目받았던 세네감비아 에서는 한때 棲息했다는 證據도 찾지 못했으며, [12] 말리 모리타니 의 國境에도 남아 있다는 提報가 있으나 確認된 事項은 없다. [2] 알제리 · 이집트 · 리비아 · 수단 · 西사하라 에서는 蹤跡을 감추었으며, 모로코 · 튀니지 에는 再導入되어 繁殖을 試圖하고 있는 個體群이 存在한다. [2] 이집트에서 마지막으로 發見된 아닥스의 標本은 1900年 初葉 베두人 足에게 잡힌 아닥스가 마지막이었다. [12]

滅種 危機와 保全 [ 編輯 ]

아닥스, 체코 프라하 動物園
아닥스, 이스라엘 예루살렘 聖書 動物園

1800年代 中葉부터 아닥스의 個體 數는 減少하기 始作했고, [26] 1930年代부터 유럽과 美國의 動物學者들 사이에서 全般的인 北아프리카 營養類의 滅種에 關한 論議가 이루어지기 始作한 뒤 [12] 現在까지도 이어진 過度한 狩獵 行爲 때문에 野生 狀態의 個體를 보기가 매우 힘들어졌다.

아닥스는 動作이 빠른 動物이 아니어서 密獵의 좋은 標的이 되는데다가 로드킬 에도 매우 脆弱하며, 沙漠의 오아시스 近處에서 生活하는 遊牧民 들의 사냥 對象이 되기도 쉽다. [27] 고기와 가죽이 비싸게 팔리는 것도 要因 中의 하나이다. 또한 삶의 터전인 사헬 地帶에 極甚한 가뭄이 들어 먹이가 되는 植物이 없어지고, 環境이 汚染되거나 農耕地가 增加하는 것도 큰 威脅이다. 거듭되는 아프리카 北部의 內戰으로 인하여 重火器와 트럭에 목숨을 잃는 境遇도 있었다. [12] 現在 約 200-500마리 程度만이 野生에 남아 있는 것으로 推算되며, 그 數爻는 漸漸 더 減少하고 있다. [2] 大部分의 아닥스는 차드와 모리타니, 니제르 等地에서만 發見될 뿐 다른 곳에서는 거의 눈에 띄지 않는다. [28]

現在 600마리 假量의 아닥스가 유럽 · 이스라엘 · 리비아 · 이집트 · 北아메리카 · 日本 · 中國 · 濠洲 動物園 과 保護 區域에서 保護받고 있으며, 種의 保全을 위한 繁殖 프로그램이 進行 中이다. 美國 中東 에서는 1000마리 以上의 아닥스가 非公認敵으로 飼育되고 있다. 아닥스는 모로코·튀니지·알제리에서는 法으로 保護받고 있으며, 이집트와 리비아에서는 모든 가젤 種類의 사냥이 法的으로 禁止되는데 이 中에는 亞닥스도 包含되어 있다. 아닥스가 한때 蕃盛했던 알제리의 아하가르山脈 및 北아프리카 國家들의 自然 保護區域에서는 資源 不足 等의 理由로 아닥스를 積極的으로 保護하지는 않지만, 現在 튀니지의 部 헤드마 國立公園 과 모로코의 수스 마사 國立公園 等을 始作으로 復元 프로그램이 進行되고 있다. [2]

各州 [ 編輯 ]

  1. Wilson, D.E.; Reeder, D.M., 編輯. (2005).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英語) 3板. 존스 홉킨스 大學校 出版社. 717쪽. ISBN   978-0-8018-8221-0 . OCLC   62265494 .  
  2. “Addax nasomaculatus” . 《 滅種 危機 種의 IUCN 赤色 目錄 . 2008板》 (英語). 國際自然保全聯盟(IUCN) . 2008 . 2008年 11月 13日에 確認함 .  
  3. “Appendices | CITES” . 《cites.org》 . 2022年 1月 14日에 確認함 .  
  4. Juan P. Zurano, Felipe M. Magalhaes, Ana E. Asato, Gabriel Silva, Claudio J. Bidau, Daniel O. Mesquita und Gabriel C. Costa: Cetartiodactyla: Updating a time-calibrated molecular phylogeny.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133, 2019, S. 256?262
  5. Huffman, B. “Addax” . Ultimate Ungulate. 2013年 4月 10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3年 1月 13日에 確認함 .  
  6. “Entry Addax . 《 Encyclopædia Britannica 》. Merriam-Webster . 2013年 1月 13日에 確認함 .  
  7. Krausman, P.R.; Casey, A.L. (2012). “ Addax nasomaculatus ”. 《Mammalian Species》: Number 807: pp. 1?4. doi : 10.1644/807.1 .  
  8. Burton, M.; Burton, R. (2002). 《International Wildlife Encyclopedia》 3板. New York: Marshall Cavendish. 24?5쪽. ISBN   978-0-7614-7266-7 .  
  9. Jonathan Kingdon (2013). 《Mammals of Africa Vol.6》. Bloomsbury. 566쪽.  
  10. Claro, F.; Hayes, H.; Cribiu, E.P. (1996). “The karyotype of the addax and its comparison with karyotypes of other species of Hippotraginae antelopes.”. 《Hereditas》 124 (3): 223?7. doi : 10.1111/j.1601-5223.1996.00223.x . PMID   8931355 .  
  11. Hernandez Fernandez & Vrba, 2005
  12. James Dolan Jr. (1966). “Notes on Addax nasomaculatus”. 《Zeitschrift Saugetierkunde》 31 : 23-31.  
  13. Manilus, N. (2000). “Historical ecology and biogeography of the addax in Egypt”. 《Israel Journal of Zoology》 46 (4): 261?71. doi : 10.1560/H4XC-Y7PP-T1D9-014B .  
  14. Atlan, B. Addax nasomaculatus . 《University of Michigan Museum of Zoology》. Animal Diversity Web.  
  15. Burton, M.; Burton, R. (1974). 《The Funk & Wagnalls Wildlife Encyclopedia》 1 . New York, N.Y.: Funk and Wagnalls. OCLC   20316938 .  
  16. Mungall, E. C. (2007). 《Exotic Animal Field Guide : Nonnative Hoofed Mammals in the United States》 1板. College Station: Texas A&M University Press. ISBN   1-58544-555-X .  
  17. 《AAZPA Regional Conference Proceedings》. American Association of Zoological Parks and Aquariums. 1993. 553쪽.  
  18. Craig, T.M. (1993). “ Longistrongylus curvispiculum (Nematoda: Trichostrongyloidea) in free-ranging exotic antelope in Texas”. 《Journal of wildlife diseases》 29 (3): 516?7. doi : 10.7589/0090-3558-29.3.516 . PMID   8355363 .  
  19. “Addax” . 《Wildscreen》. ARKive. 2012年 6月 18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7年 11月 1日에 確認함 .  
  20. Densmore, M.A.; Kraemer, D.C. (1986). “Analysis of reproductive data on the addax ( Addax nasomaculatus ) in captivity”. 《International Zoo Yearbook》 24 (1): 303?306. doi : 10.1111/j.1748-1090.1985.tb02559.x .  
  21. Spevak, E.M.; 外. (1993). “Species survival plan contributions to research and reintroduction of the addax Addax nasomaculatus ”. 《International Zoo Yearbook》 32 (1): 91?98. doi : 10.1111/j.1748-1090.1993.tb03520.x .  
  22. Reason, R.C.; Laird, E.W. (1988). “Determinants of dominance in captive female addax ( Addax nasomaculatus )”. 《Journal of Mammalogy》 69 (2): 375?377. doi : 10.2307/1381391 . JSTOR   1381391 .  
  23. Hummel, J.; Steuer, P.; Sudekum, Karl-Heinz; Hammer, S.; Hammer, C.; Streich, W. J.; Clauss, M. (2008). “Fluid and particle retention in the digestive tract of the addax antelope (Addax nasomaculatus)?Adaptations of a grazing desert ruminant”. 《Comparative Biochemistry and Physiology A》 149 (2): 142?9. doi : 10.1016/j.cbpa.2007.11.001 .  
  24. Asa, C.S.; Houston, E.W.; Fischer, M.T.; Bauman, J.E.; Bauman, K.L.; Hagberg, P.K.; Read, B.W. (1996). “Ovulatory cycles and anovulatory periods in the addax (Addax nasomaculatus).”. 《Journal of reproduction and fertility》 107 (1): 119?24. doi : 10.1530/jrf.0.1070119 . PMID   8699424 .  
  25. Manski, D.A. (1991). “Reproductive behavior of addax antelope” . 《Applied Animal Behaviour Science》 29 (1): 39?66. doi : 10.1016/0168-1591(91)90237-r .  
  26. “Addax” . Sahara Conservation Fund . 2013年 1月 14日에 確認함 .  
  27. Newby, J. (2009). “Can Addax and Oryx be saved in the Sahel?”. 《Oryx》 15 (03): 262. doi : 10.1017/S0030605300024662 .  
  28. Richard Trillo, The Rough Guide to West Africa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