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實驗計劃法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實驗計劃法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實驗計劃法 (實驗計劃法, design of experiments, DOE)은 效率的인 實驗 方法을 設計하고 結果를 제대로 分析하는 것을 目的으로하는 統計學의 應用 分野이다. 로널드 피셔 가 1920年代에 農業 實驗에서 靈感을 얻어 發展시켰다. 以後 醫學, 工學, 實驗 心理學科 社會學에 널리 適用되었다. 또한 마케팅 等에서 콘조인트 分析도 使用된다.

槪要 [ 編輯 ]

實驗計劃法은 存在하는 變數로부터 情報를 蒐集하는 實驗 方法을 計劃하는 것이다. 實驗이 管理가 可能한 것이든 不可能한 것이든 相關없이 實驗者는 實驗對象에 對한 實驗過程이나 介入이 實驗 結果에 어떻게 影響을 미치는지에 對해 理解하고 있어야 한다. 實驗計劃法은 自然科學 社會科學 에서 폭넓게 硏究되는 基本的 原則을 提供한다.

對象 實驗工程에 對한 實驗으로부터 有用한 데이터를 얻기 위하여 實驗에 影響을 끼치는 어떤 變數들을 選擇하여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가 等에 對한 實驗 計劃 方法과 그 實驗으로부터 얻어진 데이터 中에서 實驗誤差에 依한 部分과 實際 意味있는 變化 等을 區分하고 分析하는 데이터 分析(data analysis) 等 여러 方法을 包括하는 分野이다.

特히 實驗의 特性에 影響을 미치는 여러 가지 因子를 알아 내야 하고 人者間의 關係를 알아보기 위한 實驗을 하여 데이터를 얻어내고 이를 分析하여 最適化된 올바른 行動方案을 만들어 合理的인 方法을 통해 信賴할 수 있는 實驗을 만들어 낸다.

이때 效果的인 實驗은 經濟的으로 效率的이며 올바른 結果를 만들어 낼 수 있다.

다양한 實驗設計 [ 編輯 ]

  • 單一集團 事後設計(one-shot case study): 한 實驗集團에 刺戟을 附與한 다음 從屬變數를 測定한다. [1]
  • 單一集團 事前事後 實驗設計(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實驗集團에 對해 事前調査를 實施한 다음 刺戟의 從屬變數를 測定하는 事後調査를 實施한다.
  • 政敵集團 比較(static-group comparison): 刺戟을 附與하는 實驗集團과 刺戟을 統制하는 統制集團을 가지지만 事前調査를 實施하지는 않는다.

基本的인 節次 [ 編輯 ]

  1. 對象選定: 硏究對象을 選定
  2. 實驗環境 選定: 實驗室, 實驗道具 等의 實驗環境을 選定
  3. 無作爲標集 : 硏究對象을 無作爲로 標本抽出
  4. 無作爲割當: 抽出된 標本을 無作爲로 實驗集團과 統制集團에 配置
  5. 事前檢査: 두 集團에 從屬變數에 對한 事前檢査를 實施
  6. 實驗措置: 實驗集團에만 實驗措置를 實施
  7. 事後檢査: 두 集團에 從屬變數에 對한 事後檢査를 實施
  8. 比較 및 檢證: 事前, 事後檢査 結果 變數 間의 意味있는 變化를 比較

用語 [ 編輯 ]

  • 實驗單位(experimental unit) : 實驗이 行해지는 個體
  • 處置(treatment, 處理) : 各各의 實驗單位에 加하는 特定한 實驗條件
  • 人者(factor) : 觀測값에 影響을 주는 實驗條件을 나타내는 變數
  • 人者水準 : 實驗을 하기 위한 人者의 여러 가지 條件
  • 反應變數 : 因子에 對한 反應을 나타내는 變數

參考 文獻 [ 編輯 ]

  • Earl R. Babbie, 《社會調査方法論》, THOMSON, 2007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Earl R. Babbie, 《社會調査方法論》, THOMSON, 2007, p.315-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