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스킵 제임스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스킵 제임스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스킵 제임스
Skip James
基本 情報
本名 네헤미아 커티스 제임스
Nehemiah Curtis James
出生 1902年 6月 9日 或은 9月
美國 미시시피州 벤토니아 近處 우드바인 플렌테이션
死亡 1969年 10月 3日(67歲)
美國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
性別 男性
職業
장르 델타 블루스
樂器

스킵 제임스 (Skip James, 1902年 6月 9日 或은 9月~1969年 10月 3日)는 美國의 音樂家이다. 本名은 네헤미아 커티스 제임스(Nehemiah Curtis James)다. [1] 그는 影響力 있는 音樂家로 評價받는다. 그의 音樂家 生活은 大體로 無名이었지만 1964年에 再發見돼 活潑한 活動을 펼쳤다.

電氣 [ 編輯 ]

幼年期~靑少年期 [ 編輯 ]

그는 1902年 6月 9日 [2] [3] [4] 或은 9月 [1] , 미시시피州 벤토니아 近處에 있는 우드바인 플렌테이션에서 에디 D. 제임스와 필리스 존스의 외동아들로 태어났다. [1] [3] [4] [5] 그의 어머니는 우드바인 플렌테이션의 富裕한 집의 料理師, 베이비시터 로 일했다. [3] 그의 아버지는 密賣業者로 일했는데, 指名手配 되어 1907年 或은 그 쯤 벤토니아를 떠나면서 그와 어머니만 남겨지게 된다. [6] [7] 어머니는 바빴고 그는 祖父母에 依해 길러졌다. [8] 그는 어렸을 때 祖父母를 위해 소를 돌봤다. [9]

그는 社交 모임에서 춤추는 것을 좋아해서 어린 時節 스키피(Skippy)란 別名을 얻었다. 그는 어렸을 때부터 音樂에 關心을 보였고 12살 때 어머니의 周旋으로 學校에서 피아노를 배웠다. [5] 같은 때 어머니는 그에게 2.50달러의 그 生涯 첫 기타를 사주었다. [7] 그는 敎會에서 피아노를 연주했고 주크 조인트에서 世俗的인 音樂을 接했다. [5] 그는 自身의 音樂的 才能을 本人이 尊敬하던 아버지에게서 얻었다고 생각했다. [10]

그는 12살에 어머니와 미시시피 델타의 시돈으로 移徙했다. 그곳에서 어머니와 아버지는 再結合했으나 이는 짧았다. 그는 後날 아버지가 自身을 벨트로 몇 대 때렸다고 回想했다. [11] 1916年엔 1年 間 家出했다가 어머니가 살고 있던 벤土니아로 돌아왔다. [7] 그는 1917年, 그곳에 있던 音樂家인 헨리 스터키(Henry Stuckey)를 觀察하며 其他를 學習하기 始作했다. [5]

그는 벤토니아에서 高等學校를 다녔고 週末에는 第提訴에서 일했다. [7] 高等學校에서 그는 피아노와 若干의 音樂 理論을 배웠다. [12] 그는 1919年에 高等學校를 中退했다. [7] 本人은 末年에 自身이 高等學校를 卒業했다고 主張했지만 그의 스승인 헨리 스터키는 이에 冷笑했다. [9]

1919年~錄音 移轉 [ 編輯 ]

高等學校 中退 後 그는 벤토니아를 떠나 미시시피州와 아칸소州 의 다양한 곳에서 勞動者로 일했다. [4] 그는 일하면서 白人, 黑人 가리지 않고 댄스홀에서 피아노를 연주하기도 했다. [5] 그는 1920~21年 동안 델타 周邊의 堤防 과 木材 關聯 일을 했는데, 木材 關聯 일을 하는 동안 그는 그의 첫 番째 曲 'Illinois Blues'를 作曲했다. 週末에는 돈을 벌기 위해 드류, 루이즈, 벨조니와 같은 隣近 마을에서 기타를 연주했다. 그는 1923年까지 웨오나에 머물며 피아니스트로 活動하다 한 女性과의 葛藤으로 멤피스 로 떠났다. [7] 以後 그는 싼 술집에서 定期的으로 公演했다. 1920年代 中盤에 그는 블루스 音盤들을 들으며 그 時代의 人氣曲을 배우고 本人의 方式으로 승화시키려 했다. [5]

그는 1924年頃 헨리 스터키에게 가르침을 받았다. [13] 그는 1924年 벤토니아로 돌아와 스터키와 活動하면서 小作人 , 賭博꾼, 密賣業으로 生計를 이어갔다. [14] 그는 當時 大部分의 黑人들이 하던 일인 木花 따기는 하지 않았다. [15] 그는 1920年代에 地域的인 名聲을 얻어갔으며 聖職者 의 딸인 16歲의 誤셀라 로빈슨과 結婚도 했다. [4] 1929年엔 조니 템플(Johnnie Temple)이란 弟子를 두게 된다. 그들은 잭슨에서 만난 바 있다. 그는 나중에 그를 두고 '노래를 마스터하려면 2~3日은 걸리는 멍청이'라고 貶下했지만 그와 親舊로 남았다. 그는 템플을 助手로 두면서 잭슨에서 블루스 歌手가 되길 願하는 사람들을 위한 音樂 學校를 運營했고 其他, 피아노, 바이올린 授業을 하면서 돈을 챙겼다. 그는 弟子들을 두고 두툼한 머리의 黑人들이라 貶下했으며, 그의 弟子들도 몇 番의 形式的인 授業을 치르고 自退하는 便이었다. [16]

그는 1929年頃에 배우자 로빈슨과 댈러스 로 移住했다. 그들은 휘슬링 弔意 카週 밴드에서 活動했다. 그러나 로빈슨이 第1次 世界 大戰 參戰 勇士에게 빠지며 結婚 生活은 곧 끝났고 그는 自殺과 報復 사이에서 苦悶하다가 落心한 채 벤토니아로 돌아왔다. 이로 인해 그는 긴 時間 結婚하지 않았고 女性을 不信하게 된다. [4] [17] 그는 돌아오면서 自身이 暴力的인 죽음을 當했다는 所聞 을 들었다. 그는 1924年頃 아칸소州에서 돌아올 때도 같은 얘기를 들었다고 말했다. [18] 그는 結婚 生活이 破綻난 後 템플과 있으면서 로빈슨을 생각하며 하루 終日 醉한 狀態로 지냈다. [19] 그는 1930年엔 라이트닝 홉킨스 를 만나서 잭슨 에서 1週日 間 함께했다. 홉킨스는 이 期間에 對해 賭博을 했다고 말했으나 제임스는 기타에 對한 助言을 해줬다고 主張했다. [20]

錄音 [ 編輯 ]

그는 1927年 오케 레코드 스카우트에 依해 錄音 세션을 가지게 됐다. 그러나 (헨리 스터키의 말에 따르면) 이는 제임스의 疾病으로 인해 霧散됐다. [21] 以後 1931年 初, 잭슨에서 音盤 가게 主人이자 탤런트 스카우트인 H. C. 스피어(H. C. Speir)의 오디션을 치르고 위스콘신州 그래프턴으로 가게 됐다. [22] 그는 1931年 2月頃 그곳에서 솔로로 19曲을 錄音했다. 이 中 1個는 試驗 錄音이며, 試驗 錄音을 除外한 모든 曲은 現存하는 寫本이 10個 以下다. [23]

그는 이 錄音을 두고 “26曲을 만들었는데 8曲은 기타로, 나머지는 피아노로 만들었다. (中略) 그게 날 落膽하게 만들었다.”고 말했다. [12]

錄音 以後 [ 編輯 ]

그의 曲은 商業的 失敗로 끝났다. [14] 1931年 末 或은 1932年 初 스페어는 그가 錄音하도록 說得했다. 그러나 그는 大恐慌 時期에 音樂으로 生計를 꾸릴 생각도 없어졌고, 音盤을 막 만들었을 때 浸禮敎 牧師 로 살던 아버지를 만나며 그와 같이 改新敎 에 歸依했기에 拒絶했다. [5] [7] [15] 그는 1932年에 댈러스로 가서 그의 아버지와 함께 했고 주빌리 音樂 그룹을 結成했다. [24] 그는 10年 동안 이 그룹으로 아버지의 敎會에서 福音聖歌 를 연주했으며 1942年에 監理敎會 牧師가 되었다. 1943年엔 浸禮敎로 돌아왔고 說敎하며 南部를 돌아다녔다. [25]

그는 1935年까지 댈러스에 머물렀고 1937年 앨라배마州 셀마로 移徙했다. [4] 같은 해 그는 케이지 브라더스란 人物에 依해 雇用된 狀態였다. [14] 그는 1940年代 初, 버밍햄 에서 勞動者로 일하고 있었다. 그는 그곳에서 2番째 아내 메이블을 만났다. [4] 그는 1948年에 벤토니아로 돌아와 新生 카페인 블루 프론트 카페에서 가끔 公演했으나 그의 스타일은 이미 뒤떨어졌다는 取扱을 받았다. 그는 1953年에 멤피스로 移徙했고, 以後 미시시피州 튜니카로 가서 雜일을 했다. [14] [26] 그는 나중에 멤피스와 튜니카軍에서 살았다. [14]

再發見~事後 [ 編輯 ]

1964年 6月, 튜니카軍에 있는 튜니카群 病院에서 존 파헤이, 빌 바스, 헨리 베스틴에 依해 再發見되었다. [5] [27] [28] 그는 說得을 받아 音樂 活動을 再開하기로 한다. [14] 스티븐 칼트는 비슷한 時期에 그와 선 하우스(Son House)가 再發見된 것이 블루스 再照明의 始作이었다고 記述했다. [29] 그는 1964年 7月, 그는 다른 音樂家들과 함께 뉴포트 포크 페스티벌에 出演했다. 以後 그는 타코마 레코드, 멜로디언 레코드, 뱅가드 레코드에서 錄音했고 다양한 活動을 했다. [22] 그는 1966年 필라델피아로 移住했고 그의 3番째 아내 로렌조 [30] 와 살았다. [31] [32]

크림 은 그의 曲 'I'm So Glad'를 커버한 바 있었다. 이 曲은 100萬張이 팔리는 큰 成功을 거뒀다. 그는 크림에게 10,000 달러에 達하는 로열티를 받아 連이은 破産 問題를 解決했지만 이 버전에 批判的이었다. [7] [32] 그는 病으로 인해 結局 隱退했다. 以後 1969年 10月 3日, 필라델피아의 펜실베이니아 大學校 病院에서 癌으로 숨졌다. [1] [33] 死後 그의 팬들이 賣場 費用을 위한 募金 運動을 벌였고 [34] 그는 펜실베이니아에 있는 메리언 墓地에 安葬됐다. [1]

그는 1992年 블루스 名譽의 殿堂에 入城했으며, 미시시피 블루스 委員會에서 벤土니아에 그의 記念碑를 세웠다. [14] 2002年엔 블라인드 윌리 존슨 , J. B. 리노이어(J. B. Lenoir), 그의 音樂과 삶을 다룬 빔 벤더스 監督의 'The Soul of a Man'李 製作됐다. [35] 그의 'Hard Time Killing Floor Blues'는 映畫 오 兄弟여 어디에 있는가 의 사운드 트랙에 앨범에 包含되었다. [36] 2020年에는 그의 노래 'Devil Got My Woman'李 그래미 名譽의 殿堂에 헌액되었다. [37]

性格 [ 編輯 ]

그는 冷淡하고 변덕스러운 것으로 描寫되었다. [38] 그는 그가 音樂的으로 한 것을 共有하려 하지 않았고 自身의 天才性을 確信했다. [10] 딕 워터만은 “自尊心이 强하고 稱讚 받기를 좋아했으며, 그와 가장 잘 지내는 方法은 그에게 阿諂하며 그가 얼마나 대단한지 말하는 것이었다.”고 말했다. [39]

影響力 [ 編輯 ]

그는 다루는 曲 範圍는 좁은 便에 屬했으나 後代 블루스 音樂家들에게 剛한 影響力을 行使했다. [31] 그는 벤토니아 系派의 代表的인 人物로 여겨지며 [40] 벤토니아 基盤 스타일의 블루스를 하는 音樂家들에게 反響을 일으켰다. [28] 또한 그의 音盤은 失敗했으나 當時의 人物( 로버트 존슨 等)에게도 影響을 주었다. [5]

音盤 [ 編輯 ]

1931年 [ 編輯 ]

1931年 2月頃, 위스콘신州 그래프턴에서 솔로로 錄音한 曲이다. 1944年 或은 1948年일 수도 있는 時期에 試驗 錄音한 'Little Cow And Calf Is Gonna Die Blues'가 發賣됐다. [23]

A-side B-side
"Cherry Ball Blues" "Hard Time Killing Floor Blues"
"22-20 Blues" "If You Haven't Any Hay Get on Down the Road"
"Illinois Blues" "Yola My Blues Away"
"How Long 'Buck'" "Little Cow and Calf Is Gonna Die Blues"
"Devil Got My Woman" "Cypress Grove Blues"
"I'm So Glad" "Special Rider Blues"
"Four O'Clock Blues" "Hard Luck Child"
"Jesus Is a Mighty Good Leader" "Be Ready When He Comes"
"Drunken Spree" "What Am I to Do"

再發見 以後 [ 編輯 ]

  • Greatest of the Delta Blues Singers (멜로디언, 바이오그래프, 1964)
  • She Lyin' (아델피, 1964; first released by Genes, 1996)
  • Today! (뱅가드, 1966)
  • Devil Got My Woman (뱅가드, 1968)

各州 [ 編輯 ]

  1. Eagle, Bob L.; LeBlanc, Eric S. (2013). 《Blues: A Regional Experience》. ABC-CLIO. 217쪽.  
  2. Dicaire, David (2015). 《Blues Singers: Biographies of 50 Legendary Artists of the Early 20th Century》. McFarland. 16쪽.  
  3. Calt, Stephen (2008). 《I'd Rather Be the Devil: Skip James and the Blues》. Chicago Review Press. 23쪽.  
  4. Komara, Edward; Lee, Peter (2004). 《The Blues Encyclopedia》. Routledge. 503쪽.  
  5. Olson, Ted (2017年 7月 11日). “Skip James” . 《Mississippi Encyclopedia》 . 2023年 3月 25日에 確認함 .  
  6. Calt, Stephen (2008). 《I'd Rather Be the Devil: Skip James and the Blues》. Chicago Review Press. 25쪽.  
  7. “Nehemiah Curtis "Skip" James” . 《NPS.gov》 . 2023年 3月 25日에 確認함 .  
  8. Calt, Stephen (2008). 《I'd Rather Be the Devil: Skip James and the Blues》. Chicago Review Press. 26쪽.  
  9. Calt, Stephen (2008). 《I'd Rather Be the Devil: Skip James and the Blues》. Chicago Review Press. 27쪽.  
  10. Gioia, Ted (2009). 《Delta Blues: The Life and Times of the Mississippi Masters Who Revolutionized American Music》. W. W. Norton & Company. 137쪽.  
  11. Gioia, Ted (2009). 《Delta Blues: The Life and Times of the Mississippi Masters Who Revolutionized American Music》. W. W. Norton & Company. 137~138쪽.  
  12. Cole, Tim (2015年 1月 31日). “In A Few Fateful Years, One Record Label Blew Open The Blues” . 《 NPR . 2023年 3月 25日에 確認함 .  
  13. Leggett, Steve. “Henry Stuckey: Biography” . 《 올뮤직 . 2023年 3月 25日에 確認함 .  
  14. Mississippi Blues Commission. “Skip James” . 《The Mississippi Blues Trail》 . 2023年 3月 25日에 確認함 .  
  15. Gioia, Ted (2009). 《Delta Blues: The Life and Times of the Mississippi Masters Who Revolutionized American Music》. W. W. Norton & Company. 138쪽.  
  16. Calt, Stephen (2008). 《I'd Rather Be the Devil: Skip James and the Blues》. Chicago Review Press. 122, 124쪽.  
  17. Gioia, Ted (2009). 《Delta Blues: The Life and Times of the Mississippi Masters Who Revolutionized American Music》. W. W. Norton & Company. 139쪽.  
  18. Calt, Stephen (2008). 《I'd Rather Be the Devil: Skip James and the Blues》. Chicago Review Press. 122쪽.  
  19. Calt, Stephen (2008). 《I'd Rather Be the Devil: Skip James and the Blues》. Chicago Review Press. 125쪽.  
  20. Calt, Stephen (2008). 《I'd Rather Be the Devil: Skip James and the Blues》. Chicago Review Press. 127쪽.  
  21. Calt, Stephen (2008). 《I'd Rather Be the Devil: Skip James and the Blues》. Chicago Review Press. 133쪽.  
  22. Russell, Tony (1997). 《The Blues: From Robert Johnson to Robert Cray》. Dubai: Carlton Books. 123쪽.  
  23. Wirz, Stefan. “Skip James discography” . 《Stefan Wirz' 'American Music' site》 . 2023年 3月 25日에 確認함 .  
  24. Talevski, Nick (2010). 《Rock Obituaries: Knocking On Heaven's Door》. Omnibus Press. 306쪽.  
  25. Dicaire, David (2015). 《Blues Singers: Biographies of 50 Legendary Artists of the Early 20th Century》. McFarland. 17쪽.  
  26. Komara, Edward; Lee, Peter (2004). 《The Blues Encyclopedia》. Routledge. 503~504쪽.  
  27. Guralnick, Peter (2020). 《Looking to Get Lost: Adventures in Music and Writing》. Hachette UK. 38쪽.  
  28. Grossman, Stefan (2007). 《Delta Blues Guitar》. Alfred Music Publishing. 24쪽.  
  29. Calt, Stephen (1994). 《I'd Rather Be the Devil: Skip James and the Blues》. Da Capo Press. 88쪽.  
  30. Komara, Edward; Lee, Peter (2004). 《The Blues Encyclopedia》. Routledge. 504쪽.  
  31. Dicaire, David (2015). 《Blues Singers: Biographies of 50 Legendary Artists of the Early 20th Century》. McFarland. 19쪽.  
  32. Brennan, Gerald E. “Skip James Biography” . 《Musician Biographies》 . 2023年 3月 25日에 確認함 .  
  33. Jordan, Latasha. “SKIP JAMES” . 《Mississippi Writers, Musicians, Actors, and Artists》 . 2023年 3月 25日에 確認함 .  
  34. Herzhaft, Gerard (1997). 《Encyclopedia of the Blues-2nd (p)》. University of Arkansas Press. 97쪽.  
  35. “THE SOUL OF A MAN” . 《Festival de Cannes》 . 2023年 3月 25日에 確認함 .  
  36. Cater, Evan. “O Brother, Where Art Thou? [Original Soundtrack]” . 《 올뮤직 . 2023年 3月 25日에 確認함 .  
  37. Blistein, Jon (2020年 1月 14日). “Elton John, Public Enemy, Joni Mitchell Recordings Added to Grammy Hall of Fame” . 《 롤링 스톤 . 2023年 3月 25日에 確認함 .  
  38. Dahl, Bill (1997). Liner notes to D.C. Blues: The Library of Congress Recordings, Vol. 1 . Fuel 2000 Records .
  39. Beaugez, Jim (2022年 4月 14日). ““His Storytelling Was as Brilliant as His Guitar Playing”: How the Spirit of Skip James is Felt Stronger than Ever Today in Bentonia Blues” . 《Guitar Player Magazine》.  
  40. 유성은 (2020). 《더 리얼 블루스: 블루스 音樂의 理解와 歷史》. CommunicationBooks. 127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