殊異傳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殊異傳 》(殊異傳)은 新羅時代 를 背景으로 한 說話들의 原電(原傳)이라고 紹介되는 冊의 題目이다. 《殊異傳》이라는 冊 自體는 失傳되었으나, 《 三國遺事 》 等 高麗 時代의 文獻과 《 三國史節要 》, 《 筆苑雜記 》 等 朝鮮 時代 文獻에 縮約된 形態로 실린 一問(逸文)만이 남아 있다.

新羅殊異傳(新羅殊異傳) , 또는 新羅以前(新羅異傳) 이라고도 불린다.

槪要 [ 編輯 ]

大體로 新羅 末期에서 高麗 初期에 이르는 時期에 編輯된 것으로 中國 의 《 太平廣記 》(太平廣記)나 日本 의 《 곤자쿠 모노가타리슈 》(今昔物語集)와 같은 說話 文學집으로 推定된다. 수이(殊異)라는 題目에서 보여주듯 《殊異傳》 一門의 說話들은 '몹시 奇異하고 異常한' 이야기들로, 大部分 實在的이고 合理的인 存在論과 認識論을 뛰어넘는 超越的이고도 신비로운 內容이 主를 이루는 가운데 現實的인 意味가 드문드문 자리잡고 있는 것으로 評價받고 있다. 作品의 內容은 大體로

  1. . 超現實的인 契機(特히 佛敎的인 神이가 結合한 宗敎的 靈驗)를 통하여 問題를 解決하거나 '奇異함' 그 自體에 注目하는 이야기: 〈阿道〉, 〈圓光西學〉, 〈寶蓋〉, 〈연오랑 細烏女〉, 〈竹筒美女〉, 〈老翁化狗〉 等.
  2. . 타고난 才能으로 問題를 看破하여 解決하고 欲望을 成就하는 人物들의 이야기: 〈昔脫解〉, 〈선덕여왕〉 等.
  3. . 現實的으로 實現될 수 없는, 實現된다 해도 죽음이라는 通過 儀禮를 거쳐야 하는 男女間의 사랑 이야기: 〈仙女홍대〉, 〈甚火曜塔〉, 〈首揷石枏〉, 〈호원〉 等.

이다. 編纂 關聯 記事가 史料에서 確認되지 않는데서 國家的인 關心 속에서 編纂되었다고는 할 수 없으며, 高麗의 《海東高僧傳》과 《三國遺事》, 《 帝王韻紀 》, 朝鮮의 《筆苑雜記》, 《三國史節要》, 《太平通載》, 《新增東國輿地勝覽》, 《大東韻府群玉》, 《海東雜錄》, 《四佳集》 等 여러 文獻에서 基本 資料로 引用되어 쓰였다. 原本이 現傳하지 않는다는 點에서 具體的인 咀嚼 時期나 著作者, 全體 體制 等이 確實히 糾明되지 않은 不完全한 部分이 많이 있으나, 韓國의 初期 敍事文學의 모습을 보여주는 매우 重要한 資料로 꼽히고 있다.

著者 [ 編輯 ]

《殊異傳》의 著者에 對해서는

等이 言及되고 있는데, 現在의 硏究에서는 大體로 박인량을 《殊異傳》의 著者로 보는 것이 定說로 되어 있다. 한便 《殊異傳》을 言及한 文獻들이 大部分 冊의 題目을 《新羅殊異傳》 或은 《新羅以前》이라고 부르고 있는 것으로 보아 新羅 末期에 《殊異傳》李 整理된 것으로 보고, 崔致遠이 《殊異傳》의 원編著者(原編著者)이고 박인량은 增補(增補)했으며, 김척명이 後날 改撰(改撰)한 것으로 보기도 한다. 한便 이러한 說들에 對하여 조수학은 모두 《殊異傳》의 文體의 性格(後述)을 잘 모르고 그저 日本 學者 이마니詩 流(今西龍)가 1919年 에 "冊은 하나인데 著者에 對해서는 異說이 있다."고 한 잘못된 判斷을 그대로 踏襲한 데에 지나지 않는다며 批判하였다.

認容 書籍 [ 編輯 ]

現在까지 남아있는 《殊異傳》 一門을 記錄된 時期別로 羅列하면 다음과 같다.

  • 13世紀
  • 15世紀
    • 太平通載 》(太平通載)權20 〈寶蓋(寶開)〉 , 卷68 〈 최치원 (崔致遠)〉, 〈 至貴 (志鬼)〉(《靑分室署목》에 以後 再收錄됨)
    • 筆苑雜記 》(筆苑雜記)權2 〈 英오세오 (迎烏細烏)〉
    • 三國史節要 》(三國史節要)權2, 週(註) 〈탈해(脫解)〉, 卷8 〈당태종목團餈餠書畫(唐太宗牧丹子幷書花)〉
  • 16世紀
    • 大東韻府群玉 》(大東韻府群玉)權8 〈首揷石枏(首揷石枏)〉(《海東雜錄》權4 최치원朝에도 收錄), 卷9 〈竹筒美女(竹筒美女)〉, 卷12 〈老翁化狗(老翁化狗)〉, 卷15 〈仙女홍대(仙女紅袋)〉, 〈호원(虎願)〉(《海東雜錄》權4에도 收錄), 卷20 〈 甚火曜塔 (心火繞塔)〉(《海東雜錄》權4에도 收錄),

三國遺事와 殊異傳 [ 編輯 ]

이들 作品들은 모두 《殊異傳》을 出處로 밝히고 있어서 《殊異傳》의 日文이 確實하지만, 이들 作品과 內容上 恰似하면서도 《殊異傳》이라는 出處를 밝히지 않은 記錄들도 있다. 《大東韻府群玉》에 收錄된 '호원'과 《太平通載》의 '寶蓋', 《筆苑雜記》의 '英오세오', 《三國史節要》의 '탈해'와 '당태종목團餈餠書畫'는 모두 《三國遺事》에 〈金炫監護(金玄感虎)〉, 〈民장사〉, 〈延烏郞細烏女〉, 〈脫解王〉, 〈宣德王知己三使〉라는 題目으로 실려 있으며, 大體로 現傳하는 《殊異傳》 一問보다 더 이른 時期일 뿐 아니라 內容 또한 豐富하고 仔細하게 敍事化되고 있어 《三國遺事》 所在 〈金炫監護〉가 《大東韻府群玉》의 〈호원〉보다 더 《殊異傳》의 原本에 더 가까운 것이 아니냐는 推定이 提起되기도 한다. 또한 같은 說話가 다른 文獻에서 서로 다른 題目으로 收錄된 境遇도 있는데 《太平通載》의 〈최치원〉과 《大東韻府群玉》의 〈仙女홍대〉, 《太平通載》 및 《靑分室署목》의 〈至貴〉와 《大東韻府群玉》의 〈甚火曜塔〉은 서로 같은 作品이다. 이렇게 《殊異傳》 一門을 가려보면 現存하는 것은 모두 12作品이라 할 수 있다. [4]

特히 《三國遺事》의 境遇 現存하는 《殊異傳》 一問 가운데 가장 많은 10篇의 이야기를 收錄하고 있는데, 이 가운데 《殊異傳》이라는 冊 題目을 言及한 것은 두 番이며, 두 番 모두 무엇인가 잘못된 問題를 바로잡기 위해 不得已 言及한 것임이 指摘된다. 한 番은 《三國遺事》勸第4 醫解除5 '圓光西學'組에서 僧侶 圓光 의 電氣를 짓는데 中國側 記錄인 《黨高僧傳》과 韓國側 記錄인 《古本 殊異傳》의 記錄이 서로 달라 어떤 것이 事實인지를 밝힐 수 없으므로 두 冊의 內容을 한 者도 빼놓지 않고 그대로 적어둔 境遇였고, 다른 한便은 같은 冊의 '보양耳目(寶壤梨木)'組에서, 後世 사람들이 《新羅以前》을 改作하면서 《補養戰》에 있는 '作塔耳目(鵲塔璃目)'의 이야기를 함부로 《圓光戰》에 합쳐 넣고 '見性(犬城)'에 關한 이야기를 《非虛傳》에 합쳐 넣었는데 그걸 모르고 《海東高僧傳》의 贊者가 그 잘못된 內容을 그대로 엮어넣어서 《補養展》李 없어진 것에 對한 事實을 解明하는 過程에서 引用한 境遇였다.

現存 記錄을 통해 《殊異傳》에 실려 있었던 것이 분명함에도 《三國遺事》에서 引用 出戰을 正式으로 밝히지 않은 境遇에 對해서는 '駐臺本(主臺本) 省略'과 같은 것으로, 마치 韓國에서 英語, 프랑스語, 日本語 等의 語學 가운데서 韓國語만을 唯獨 '國語'로 表記하고 宗親會 名單에서 姓氏를 빼고 이름만 적는 것과 같이, 《三國遺事》 또한 臺本(臺本)인 《殊異傳》의 延長線上에 있어 言及할 必要가 없다는 判斷下에서 굳이 《殊異傳》을 言及하지 않은 것으로 冊 題目은 다르지만 《三國遺事》에 收錄된 이야기는 大部分 《殊異傳》에서 따온 것에 歷史的 事實의 追加나 內容의 延長, 事實의 混合, 說明과 論評을 添加한데 不過하기 때문이라는 主張이 있다. 卽 《三國遺事》에 收錄된 이야기 가운데 特別히 奇異하고 幻想的이지 않은 것, 다른 冊에서 追加하거나 一然 自身이 論評을 붙인 部分을 除外한 나머지 60% 分量은 《殊異傳》의 그것과 같다고 볼 수도 있다는 것이다. [5]

硏究士 [ 編輯 ]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殊異傳》 一門을 한데 모아 編輯한 冊으로는 최남선 이 編輯한 《三國遺事》(민중서관)와 이석호가 力走한 《 往五天竺國傳 (往五天竺國傳》(을유문고)이 있는데, 하나의 獨立된 腸(章)李 아니라 附錄으로 붙어있을 뿐 아니라 최남선 篇 《三國遺事》의 境遇 漢文 原文을 그대로 收錄하고 있어 專門 硏究者를 除外하면 거의 接近하기도 어렵고 《殊異傳》 一問 全體를 실어놓고 있지도 않으며, 이석호 譯註 《往五天竺國傳》의 境遇 飜譯에 疏忽하다는 指摘이 提起되었다. 1996年 에 김현양, 김희경, 이대형, 최재우가 함께 飜譯한 《譯註 殊異傳 日文》李 박이정 出版社에서 發行되었으며, 1998年 에 利劍國, 최환이 함께 編輯한 《新羅殊異傳 集交와 譯註》가 영남대학교 出版部에서 發行되었다.

《殊異傳》 一門에 關한 硏究는 그 動向에 따라 大略 3期로 나누어 살필 수 있다. 日帝 時代부터 1970年代 中盤 以前까지의 1期 硏究에서 《殊異傳》의 著者 및 名稱, 編纂 時期 같은 1次的이고 全般的인 論議에 中心을 두었다면 70年代 中盤 以後 2基의 硏究는 《殊異傳》의 '갈래' 問題에 焦點이 맞춰졌다. 特히 3期에 該當하는 80年代 後半期 以後 現在까지, 《殊異傳》 一問 가운데 몇 作品에 對하여 이들을 '說話'의 段階를 넘어서 하나의 ' 小說 '로서의 形式을 갖추고 있음을 主張하는 論議가 活潑하게 展開되고 있으며, 이러한 갈래論은 《殊異傳》에 關한 論議 가운데서도 特히 注目되는 分野일 뿐 아니라 現在까지도 合意되지 않은 狀態로 남아있다.

第1期 [ 編輯 ]

《殊異傳》에 關한 가장 오래된 硏究成果는 日本人 學者 이마니詩 流(今西龍)가 1933年 에 著書 《新羅史硏究》(警성근택書店)를 통해 發表한 〈新羅殊異傳及其逸文〉였는데, 그 뒤 李麟榮이 〈太平通載 殘卷 小考 - 特히 新羅殊異傳 逸文에 對하여〉라는 題目으로 1940年 震檀學報 》 13에 論文을 發表하였다. 解放 以後 서수생이 〈東國文宗 崔孤雲의 文學〉(《語文學》1 · 2), 神奇型이 〈殊異傳小考〉(《聞慶》 2輯)를 1958年 에 發表하였고, 1960年 에는 김갑복이 〈殊異傳(作者)考〉(《週刊成大》 195 · 196)를, 1962年 1963年 에는 최강현이 〈新羅殊異傳小攷 - 主로 그 名稱과 著者에 關하여〉와 〈新羅殊異傳小攷(續) - 主로 그 逸文을 中心하여〉를 各各 發表하였으며, 소재영이 1967年 에 發表한 〈延烏細烏說話攷〉와 인권환이 1968年 에 發表한 〈心火繞塔說話攷 - 印度 說話의 韓國的 展開 -〉가 第1期 硏究의 主要 硏究 成果라고 할 수 있다.

소재영과 인권환은 《殊異傳》 一問 가운데 〈燕烏세오〉와 〈甚火曜塔〉을 各其 對象으로 삼아 比較文學的인 方法으로 說話硏究를 遂行하였다. 第1基의 硏究成果로 注目할 것은 李麟榮과 최강연의 硏究인데, 旣存의 硏究가 큰 主題 속의 한 部分으로서 《殊異傳》 關聯 部分을 다루었다면 李麟榮은 韓國人으로서 《殊異傳》 自體를 本格的으로 全面的인 硏究 素材로 다루었으며, 《殊異傳》의 著者에 對해 旣存의 최치원說을 反駁하고 《海東高僧傳》을 典據로 박인량說을 開陳하였다. 나아가 《殊異傳》의 이본(異本)李 存在했을 可能性에 對해서도, 推論 水準에서나마 《殊異傳》이라는 題目의 說話集은 單一種임을 主張하였던 것에, 최강현은 自身의 論文에서 《殊異傳》의 本來 名稱이 《新羅殊異傳》이며 著者는 《三國遺事》에 紹介된 鄕人 김척명이라는 見解를 보이는 가운데 《新羅殊異傳》은 적어도 '眞本'과 '異本'의 두 個의 版本이 있었을 것으로 主張하였다. 《殊異傳》 形成過程의 側面에 對해 최강현은 形式이나 內容上 中國의 影響을 많이 받아서 英移籍(靈異的)인 要素를 지니고 있는, 定着된 國內(特히 新羅)의 民族 說話의 片鱗들을 모아 엮은 것이 《殊異傳》이라고 主張하였다. 그리고 이들 一門을 神話나 傳說의 發展된 形態로 把握하면서, 後날 始華淸潭(詩話淸談)과 連繫 · 結合되어 朝鮮朝 小說文學의 母胎가 되었다고, 최강현은 主張하였다.

第2期 [ 編輯 ]

第1期에 이어 全般的인 《殊異傳》 一問 探索을 심화시키면서 小說性 與否에 對한 論議가 2基에서 活潑하게 産出되었다. 《殊異傳》 關聯說話 硏究도 深度를 더해 進行되었는데, 이 時期의 代表的인 硏究者로서 지준모는 《殊異傳》 一門을 全般的으로 考察하였고, 조수학 · 조동일 · 임형택 · 이헌홍 · 한영환 等에 依해 《殊異傳》의 갈래(장르) 問題와 關聯된 論議가 펼쳐지게 되는데, 《殊異傳》 關聯說話의 硏究者로 황패강 · 차용주 · 강현모 等을 들 수 있다.

갈래 論議란 《殊異傳》 一門을 說話로 볼 것인지 아니면 小說로 볼 것인지에 對한 問題를 놓고 벌어진 論議였다. 이것은 單純히 《殊異傳》 一門의 갈래를 判定하는 問題에서 그치지 않고, 韓國 文學史에서의 '小說'의 發生 問題, 敍事文學史의 構圖 問題와 맞물리면서 硏究者들의 가장 커다란 關心事로 자리잡았다. 旣存의 韓國 文學史 硏究는 김태준 의 《朝鮮小說史》 以後로 朝鮮 初期 김시습 이 지은 《 金鰲新話 》를 韓國 歷史上 最初의 小說로 認定해 왔는데, 《殊異傳》 一問, 特히 〈최치원(仙女홍대)〉의 境遇 이것을 '說話'가 아닌 하나의 '小說' 構造를 갖춘 作品으로서 認定할 수 있다면, 韓國 小說의 歷史는 旣存의 알려져 있던 15世紀에서 5, 6百 年을 훨씬 거슬러 올라가 新羅 末 高麗 初 사이(9世紀~10世紀)로까지 溯及되기에 이른다. 따라서 이 《殊異傳》 一門의 갈래 判定 與否에 따라 韓國 敍事文學史의 構圖가 달라질 수도 있다는 點에서 매우 重要한 論爭이었던 것이다.

이 論議에서 조동일은 《殊異傳》을 說話로 規定하고 旣存의 설대로 《金鰲新話》를 韓國 最初의 小說로서 認定하는 立場이었고, 조수학과 임형택 · 이헌홍 · 한영환 等은 《殊異傳》 一問, 特히 〈최치원(仙女홍대)〉李 지니고 있는 小說的인 性格에 注目하여 韓國 文學史의 '小說'의 起源을 《金鰲新話》보다 더 끌어올려 보는 立場을 展開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殊異傳》 一門의 小說性 論議는 조수학과 지준모에 依해 本格化되는데, 지준모는 1975年 에 發表한 《語文學》32에 發表한 論文 〈傳奇小說의 嚆矢는 新羅에 있다 - 〈兆神殿〉을 解剖함〉 에서, 〈최치원(仙女홍대)〉을 5段階 構成의 外部 形式과 庶民 愛情을 다룬 內部 樣式에서 當代(唐代)의 傳記小說과도 符合하며, 人民을 主人公으로 男女의 愛情과 같은 個人生活(乃至 個人的인 運命)을 描寫한 散文으로서 西歐 近代小說의 여러 特徵과 相通한다 하여 이를 '小說'로 規定하고, 1976年 에 다시 〈新羅殊異傳 硏究〉를 통해 《新羅殊異傳》李 舌禍뿐 아니라 小說도 包含되어 있었던 冊이라 規定하면서 《殊異傳》에 對한 全般的인 面을 考察하여,

  1. . 《新羅殊異傳》은 처음 崔致遠이 編著한 것을 朴寅亮이 增補하고 김척명이 改撰했으며
  2. . 《新羅殊異傳》은 新羅를 素材로 한 高麗 初期까지의 說話와 小說들의 集成이고, 오늘날까지 傳해지게 된 16項目의 標題 外에도 더 많은 項目을 가진 홑支持 않은 卷數의 冊으로서
  3. . 壬辰倭亂 으로 《新羅殊異傳》은 消失되고 오늘날에는 한 가지 完文(完文)을 빼고 나면 나머지는 그 一部, 乃至는 草略이다.

라는 主張을 세웠다. 한便 조수학은 1975年에 《嶺南語文學》2에 發表한 論文 〈崔致遠傳의 小說性〉에서, 〈최치원(仙女홍대)〉을 中國의 傳奇小說인 《遊仙窟》과 朝鮮의 《金鰲新話》와 各各 內容의 側面에서 對比 分析하면서 文學的인 影響關係를 밝히고 構成上의 特性을 比較함으로써 〈최치원(仙女홍대)〉이라는 作品이 創作될 當時 이미 韓國에서 傳記小說은 特有의 體制를 確立했다고 보았다. [6]

이헌홍과 임형택은 지준모와 조수학에 이어 小說性 論議에 關한 理論的 根據를 本格的으로 摸索하였다. 于先 이헌홍은 〈최치원(仙女홍대)〉李 가진 電氣成果 小說性에 關하여, 《金鰲新話》와 〈최치원(仙女홍대)〉의 플롯을 比較함으로써 이 作品의 傳記小說性을 糾明하고, 詩功績 構造 等의 檢討를 통해서 임형택에 이어 小說構造 理論에 立脚한 《殊異傳》 硏究를 試圖하였다. 이 硏究를 통해 이헌홍은 다음과 같은 點을 指摘하여 〈최치원(仙女홍대)〉李 小說로서의 特徵을 가지고 있음을 主張했다.

  1. . 〈최치원(仙女홍대)〉은 個人의 創作으로 額子小說的인 要素를 지니고 있으며
  2. . 現實的, 地理的, 自然的인 背景이 擴大되어 있는 가운데 詩가(詩歌)를 많이 개입시켜 雰圍氣를 위한 單純한 抒情的 裝飾物로서의 役割이 아닌 敍事 進行에 直接 干與하게 하고 있고
  3. . 作中 事件이나 行動은 삶의 일斷面을 다루고 있으며 그것은 事實 報告的인 이야기가 아닌 場面的인 이야기로, 性格 描寫 및 對話가 重要視된다.

임형택은 1984年 發表한 論文에서 作家의 創作性 및 文學的 修飾의 加味 뿐 아니라 社會的 現實을 보다 豐富하게 反映하고 있다는 點이 傳奇小說과 說話가 區別되는 點이며, 身分 對立과 成市(城市)의 繁榮, 漢文學의 水準 向上은 10世紀 前後 新羅 末에서 高麗 初에 이르는, 韓國 歷史에서 '古代'와 '中世'의 分岐點이 되는 時期 電氣에 小說이 發生할 수 있는 基盤이 되었을 것임을 指摘하여 《殊異傳》 一門의 갈래 論議에 關한 理論的인 틀을 마련하였고, 〈최치원(仙女홍대)〉은 그러한 點에서 圓熟한 形式을 갖춘 傳記小說 樣式으로 古代에서 中世로 넘어가는 轉換期 속에서 文人들은 中國의 傳奇小說을 하나의 새로운 藝術 樣式으로 受容했다고 主張하였다.

《殊異傳》 第2期 硏究의 主要 主題인 '小說性' 論議는 旣存의 15世紀 《金鰲新話》를 韓國 小說의 起源으로 보는 說에 對해 어느 程度 나말여초에 傳奇小說이 祈願했을 可能性을 確認했다는 點에서는 인정받고 있지만, 如前히 《金鰲新話》 起源說을 決定的으로 論駁하지는 못했다. 조동일은 1977年 에 發表한 論文을 통해 앞서의 硏究와는 相反된 立場을 보이며, '자아'와 '世界'의 關聯에 따른 갈래 理論을 마련하고, 敍事 갈래를 自我와 世界의 對決 樣相에 따라 神話 · 傳說 · 民譚 · 小說로 區分하였다. 自我와 世界의 對決에서 世界가 優位에 서고 自我는 世界의 驚異 때문에 挫折을 經驗하는 것이 '傳說'의 本質이며, 〈최치원(仙女홍대)〉은 '傳說'에 屬한다는 것이 조동일의 主張이다. 이러한 '자아'와 '世界'의 關係에 따른 갈래論은 以後 《殊異傳》 日文에서 韓國 小說의 嚆矢를 檢證하려는 硏究者들에게 또 하나의 理論的인 틀을 提供해 주었다. 한便 황패강은 〈甚火曜塔〉을 引渡의 《大智度論》에 收錄된 '술派가' 說話와 比較하면서 說話란 說話者에 依해 不斷히 그 意味가 再生産될 수 있다는 可能性을 確認하였고, 차용주는 1978年 發表한 論文 〈金炫監護의 比較硏究〉(《淸州師大 論文集》7)에서 《遊仙窟》과 〈최치원(仙女홍대)〉의 比較를 통해 조수학의 見解를 뒷받침하면서도 〈首揷石枏〉의 境遇는 當代의 電氣作品과 比較하는 硏究를 통해 小說的인 構成을 갖춘 創作說話, 라는 見解를 보였으며, 1986年 강현모는 〈연오랑 細烏女〉의 背景을 地理的, 歷史的 側面에서 考察하면서 이 說話가 外畫(外話) 段落 · 耐火(內話) 段落 · 要素 段落으로 構成되어 있으며 前半部와 後半部가 雙을 이루고 있다는 分析을 내놓았다.

第3期 [ 編輯 ]

第3期 硏究의 特徵은 앞서 2期에서의 《殊異傳》 一問 硏究成果의 蓄積으로 分野別 硏究가 深化되면서 韓國 小說史의 構圖를 새롭게 定立하려는 試圖가 開陳되었다는 點이다. 앞서의 갈래論議가 3期에서는 크게 두 가지 方向으로 이루어졌는데, 하나는 《殊異傳》 一部 作品의 小說性을 確認하여 韓國 小說의 起源을 《金鰲新話》 以前으로 溯及하고자 하는 方向이었고, 다른 하나는 앞서의 問題意識에서 나아가 韓國 文學社, 小說史의 立場에서 《殊異傳》을 照明하려는 方向이었다. 《殊異傳》의 全般的 理解와 關聯된 論議로는 2期에서의 조수학과 함께 김건곤, 서용규 等의 硏究를 들 수 있다.

김건곤은 1988年 에 한국정신문화연구원 學術誌 《정신문화연구》 34에 發表한 〈新羅殊異傳의 作者와 著作背景〉에서 《殊異傳》 關聯 文獻의 檢討를 통해 《新羅殊異傳》의 作者와 咀嚼 背景 및 背景에 關하여 考察했는데, '殊異傳'이라고 하면 《新羅殊異傳》을 가리키는 것이고 그 作者는 崔致遠일 可能性이 높으며, 朴寅亮의 《殊異傳》과 崔致遠의 《殊異傳》은 서로 다른 것이라고 主張하였다. 〈최치원(仙女홍대)〉의 作者를 論하면서는 現存하는 최치원 漢詩의 風格이나 韻字, 詩語 等과의 比較 考察 및 《三國史記》 等의 記錄을 根據로 實存人物 崔致遠이 이 〈최치원(仙女홍대)〉의 '原作'을 執筆한 것을 後世에 누군가가 그 마지막 部分에 實際 崔致遠의 終盤 生涯를 追加로 記錄했다고 보았다.

조수학은 다시 1990年 에 發表한 〈殊異傳의 著述者 및 文體 고(考)〉에서 《殊異傳》은 多回成績(多回性的) 有別展(類別傳)이라고 主張하였다. 東洋漢文의 散文 文體(장르) 가운데 하나인 前(傳)에는 두 가지의 性格이 있는데, 하나는 《春香傳》이나 《洪吉童傳》 같은 個別戰(個別傳)이고, 다른 하나는 《海東高僧傳》이나 《海東名將傳》 같은 有別展이다. 個別戰의 境遇 固有名詞에 對한 것으로 性格上 原著者는 한 사람일 수밖에 없지만, 有別戰은 集合名詞에 對한 것이기에 原著者가 여러 사람이 있을 수 있다. 卽 《殊異傳》도 有別戰으로서 原著者는 두 사람 以上일 수 있는 것이다.

文化 傳達의 過程上 中國의 影響을 받아 統一新羅 時代에 《殊異傳》이 처음 發生했고, 有別錢인 까닭에 《古本 殊異傳》, 최치원本 《殊異傳》(卽 《新羅殊異傳》), 김척명의 改作 《殊異傳》, 朴寅亮의 《殊異傳》 等 네 篇의 '別本'李 存在했던 것이라 推論하였으며, 《太平通載》 盞權에 收錄된 〈최치원(仙女홍대)〉은 《金鰲新話》에 비해 조금도 遜色이 없는 傳奇小說로서 韓國 古小說의 始初는 9世紀 前後의 《殊異傳》으로 보아야 한다고 主張하였다. 조수학의 '有別展' 主張을 일면 首肯하면서도 《殊異傳》李 新羅 末에 發生했다는 說에 對해서는 再考해야 한다는 見解를 提起한 것이 바로 서용규로, 《殊異傳》의 올바른 名稱과 編著者 및 刊行 年代에 注目한 그는 1993年 發表한 論文에서 《殊異傳》은 여러 '異本'이 있었으며 高麗 時代에는 이들 異本을 모두 《殊異傳》이라 불렀고, 가장 오래된 異本은 박인량本 《殊異傳》으로 11世紀 後半期에 成立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古本 殊異傳》李 1145年 以後에 成立되었고, 김척명 改作本 《殊異傳》은 《古本 殊異傳》 成立 直後부터 1215年 사이에, 그리고 《新羅殊異傳》李 高麗 記錄物들 속에 登場하는 여러 《殊異傳》 가운데서도 가장 늦게 成立되었다고 主張하였다.

《殊異傳》 一問 特히 〈최치원(仙女홍대)〉의 小說性을 보다 綿密하게 살피려는 作業은 이헌홍과 박태상의 論議에서, 小說性에 立脚하여 文學史的인 摸索을 試圖한 硏究에서는 김종철과 박일용, 박희병의 論議가 있었다. 이들은 個別 作品을 分析하고 그 小說性을 밝히는 硏究를 통해서 小說 發生 論議에 寄與한 前者의 境遇와는 달리 《殊異傳》 一門의 一部를 小說로 認定하면서 文學史를 새롭게 認識하려 했는데, 金鍾哲이나 박희병과는 달리 박일용은 〈최치원(仙女홍대)〉李 創作된 時期를 新羅도 考慮도 아닌 朝鮮 轉機로 推定하였다. 그는 《殊異傳》 日文으로 指稱되는 作品들은 傳承過程에서 큰 變化를 겪었으며, 特히 〈최치원(仙女홍대)〉의 境遇 小說 發生의 土臺가 마련된 朝鮮 前期 어떤 한 作家에 依해 〈쌍녀분〉 形態의 《殊異傳》 日文이 小說的인 形象을 얻게 된 것이라고 主張하였다. 卽 《殊異傳》 日文이 韓國의 中世 中期 以後 身分制를 背景으로 發生한 現實的 葛藤을 反映하면서도 中世 體制의 核心的인 矛盾을 '敍事'로 具體化시킬 수 있는 認識과 展望을 갖추지 못했었는데, 朝鮮 電氣에 이르러 中世의 桎梏을 根本的으로 바라볼 수 있는 '批判的 知識人'李 生産되면서 〈최치원(仙女홍대)〉이라는 小說的 具體性을 얻은 作品이 創作될 수 있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박일용의 論理는 《金鰲新話》 以前으로 韓國 小說의 發生을 修正하려 하면서 《金鰲新話》 起源論을 克服하려 했던 金鍾哲이나 박희병 等과는 根本的인 差異가 있다는 評價를 받고 있다.

이 時期 《殊異傳》 硏究와 關聯하여 가장 活潑하게 硏究成果를 내놓은 것으로 評價받는 박희병은 '小說의 成長過程'이라는 側面에 注目하여 發生機의 小說이 說話와의 差別性을 獲得하면서 어떻게 '獨自性'을 確保해갔는가에 關心을 가졌는데, 이를 통해 人物과 環境의 形象化, 時間의 本質, 美學的 特質, 創作의 目的 意識, 文體 等의 面에서 小說이 說話와 區別된다며, 〈최치원(仙女홍대)〉과 〈호원(金炫監護)〉은 傳奇小說에 該當한다고 主張하였다. 또한 박희병은 傳奇小說의 敍事文法에 對한 理論的 探究를 試圖하여 〈최치원(仙女홍대)〉을 傳奇小說의 成立機 作品으로 보고 作品에 形象化되어 있는 人物의 特徵 [7] 을 分析하였다.

關聯 著述 [ 編輯 ]

論文 [ 編輯 ]

  • 이마니詩 流(今西龍), 〈新羅殊異傳及其逸文〉, 1933年, 《新羅史硏究》, 警성근택書店
  • 李仁榮, 〈太平通載 殘卷 小考 - 特히 新羅殊異傳 逸文에 對하여〉, 1940年, 《震檀學報》 13, 震檀學會
  • 서수생, 〈東國文宗 崔孤雲의 文學〉, 1958年, 《語文學》1 · 2, 語文學會
  • 神技兄, 〈殊異傳小考〉, 1958年, 《聞慶》 2輯, 중앙大學校 文理大
  • 김갑복, 〈殊異傳(作者)考〉, 1960年, 《週刊成大》 195 · 196
  • 최강현, 〈新羅殊異傳小攷 - 主로 그 名稱과 著者에 關하여〉, 1962年, 《國語國文學》25, 國語國文學會
  • 최강현, 〈新羅殊異傳小攷(續) - 主로 그 逸文을 中心하여〉, 1963年, 《國語國文學》26, 國語國文學會
  • 소재영, 〈延烏細烏說話攷〉, 1967年, 《國語國文學》36, 國語國文學會
  • 인권환, 〈心火繞塔說話攷 - 印度 說話의 韓國的 展開 -〉, 1968年, 《國語國文學》41, 國語國文學會
  • 조수학, 〈崔致遠傳의 小說性〉, 1975年, 《嶺南語文學》2, 嶺南語文學會
  • 지준모, 〈傳奇小說의 嚆矢는 新羅에 있다 - 〈調信傳〉을 解剖함〉, 1975年, 《語文學》 32, 韓國語文學會
  • 황패강, 〈志鬼說話小考 - 〈術波加〉 說話의 한 硏究〉, 1975年, 《新羅佛敎說話硏究》, 일지사
  • 김진학, 〈新羅殊異傳〉, 1976年, 《新羅佛敎文學硏究》, 현암사
  • 이관일, 〈延烏郞 · 細烏女 說話의 한 硏究〉, 1976年, 《國語國文學》 55-57合執, 國語國文學會
  • 지준모, 〈新羅殊異傳 硏究〉, 1976年, 《語文學》35, 國語國文學會
  • 조동일, 〈韓國小說의 理論〉, 1977年, 지식산업사
  • 차용주, 〈金現感虎의 比較硏究〉, 1978年, 《淸州師大 論文集》 7, 淸州師大
  • 김중렬, 〈韓國小說의 發生考 - 金鰲新話와 〈崔致遠〉을 中心으로〉, 1981年, 《語文論集》22, 高麗大
  • 이경우, 〈形成期 散文 試攷 - 〈殊異傳〉을 中心으로〉, 1981年, 《韓國古典散文硏究》, 童話文化史
  • 이헌홍, 〈崔致遠傳의 傳寄小說的 構造〉, 1982年, 《修鍊語文論集》 9, 부산여대
  • 정학성, 〈傳寄小說의 問題〉, 1982年, 《한국문학연구입문》, 지식산업사
  • 차용주, 〈雙女墳 說話와 遊仙窟과의 比較硏究〉, 1982年, 《語文論集》 23, 고려대 國語國文學 硏究會
  • 차용주, 〈首揷石枏 說話의 比較硏究〉, 1983年, 《寒梅 최정여 博士 松樹記念 論叢》 啓明大
  • 임형택, 〈羅末麗初의 傳寄文學〉, 1984年, 《韓國文學史의 視角》, 창작과비평사
  • 정준민, 〈〈崔致遠傳〉의 傳奇小說的 硏究〉, 1985年, 誠信女大 碩士論文
  • 강현모, 〈延烏郞 · 細烏女 說話 一考〉, 1986年, 《漢陽語文硏究》 4, 漢陽大
  • 김혜숙, 〈殊異傳의 著者〉, 1986年, 《韓國文學史의 爭點》, 집문당
  • 한영환, 〈韓國傳奇小說의 成立與件〉, 1986年, 《京畿語文學》7, 경기대 國文科
  • 한영환, 〈韓國小說 出發의 問題點〉, 1986年, 《語文論叢》 2, 경희대 大學院 國文科
  • 김성기, 〈古代小說의 起點攷〉, 1987年, 《장태진 博士 回甲 記念 國語國文學 論叢》, 朝鮮大
  • 김정석, 〈傳寄文學 〈崔致遠〉 硏究〉, 1987年, 古代 敎育大學院 碩士 論文
  • 한영환, 〈崔致遠傳과 遊仙窟과의 比較硏究〉, 1987年, 《人文科學硏究》 7, 誠信女大
  • 김건곤, 〈新羅殊異傳의 作者와 著作背景〉, 1988年, 《新羅佛敎文學硏究》, 현암사
  • 김광순, 〈韓國古小說史의 時代區分과 展開樣相〉, 1988年, 《語文論叢》 22, 慶北大
  • 김정석, 〈前期文學 〈최치원〉 硏究〉, 1988年, 고려대 敎育大學院 碩士論文
  • 金鍾哲, 〈敍事文學史에서 본 初期小說의 成立問題 - 傳奇小說과 關聯하여 -〉, 1988年, 《古小說 硏究論叢》, 多曲 이수봉 先生 回甲記念 論叢 刊行委員會
  • 김광순, 〈金現感虎의 異本과 文學史的 意義〉, 1990年, 《韓國 古小說의 照明》, 아세아문화사
  • 임갑랑, 〈"金現感虎"의 葛藤 構造와 죽음의 意味〉, 1990年, 《誡命語文學》 5, 誡命語文學會
  • 장경남, 〈殊異傳 硏究〉, 1990年, 崇實大 碩士學位 論文
  • 조수학, 〈殊異傳의 著述者 및 文體考〉, 1990年, 《嶺南語文學》 17, 嶺南語文學會
  • 이헌홍, 〈崔致遠傳의 構造와 小說的 意義〉, 1991年, 《古典小說의 理解(윤광봉, 유영대 便)》, 문학과비평사
  • 박희병, 〈韓國古典小說의 發生 및 發展段階를 둘러싼 몇몇 問題에 對하여〉, 1992年, 《冠岳語文 硏究》 17, 서울대 國文科
  • 김일렬, 〈《殊異傳》의 性格과 그 小說的 脈絡〉, 1993年, 《古小說의 諸問題》 집문당
  • 박일용, 〈小說의 發生과 《殊異傳》 一門의 장르的 性格〉, 1993年, 《朝鮮時代의 愛情小說》, 집문당
  • 서용규, 〈殊異傳攷(1) - 書名, 編著者, 刊行年代를 中心으로 -〉, 1993年, 《大邱語文論叢》11, 大邱語文學會
  • 이혜순, 〈傳奇小說의 展開〉, 1993年, 《古小說의 諸問題》, 집문당
  • 박희병, 〈說話와 傳記小說의 장르와 그 性格 -傳奇小說의 問題 -〉, 1994年, 《韓國漢文學硏究》17, 韓國漢文學硏究會
  • 김종률, 〈傳奇小說의 發生論〉, 1995年, 《國語敎育》4, 嶺南大
  • 金鍾哲, 〈高麗 傳奇小說의 發生과 그 行方에 對한 再論〉, 1995年, 《어문연구》 26, 충남대 國文科
  • 박태상, 〈《太平通載》 所在 〈崔致遠傳〉 硏究〉, 1995年, 《古小說硏究》 1, 韓國古小說學會
  • 박희병, 〈羅麗時代 傳奇小說 硏究〉, 1995年, 《大東文化硏究》 30, 성균관대 大東文化硏究所
  • 박희병, 〈傳奇的 人間의 美的 特質〉, 1995年, 《民族文學史硏究》 7, 民族文學史硏究所

單行本 [ 編輯 ]

  • 김희경 · 최재우 · 김현양 · 이대형 共譯 《譯註 殊異傳 日文》, 1996年, 圖書出版 박이정
  • 조수학 《再構成 殊異傳》 2001年, 국학자료원

各州 [ 編輯 ]

  1. 崔致遠을 直接的으로 《殊異傳》의 著者로 言及한 文獻은 朝鮮 中期 權文海의 《 大東韻府群玉 》(叢集書籍目錄)과 金烋 의 《 海東文獻總錄 》, 박용대 等이 編纂한 《 增補文獻備考 》(卷264 例文고5) 等이 있으며, 《三國遺事》와 《太平通載》, 《筆苑雜記》 等은 大部分 《新羅以前》 或은 《新羅殊異傳》이라 부르고 있어 《殊異傳》李 新羅 時代에 編纂되었을 可能性을 剛하게 示唆해주고 있다.
  2. 박인량을 《殊異傳》의 著者로 指稱한 것은 高麗 覺訓의 《海東高僧傳》(卷1)으로 여기에서는 朴寅亮이 《殊異傳》을 지었다고 밝히고 있다.
  3. 《三國遺事》(卷4 '圓光西學' 및 '보양耳目')에는 "鄕人(鄕人) 김척명"을 《殊異傳》의 著者인 것처럼 밝힌 同時에, "後에 사람들이 新羅以前을 改作하였다(後人改作新羅異傳)"고 하여 《殊異傳》李 後代에 改作이 이루어졌음을 斟酌할 수 있다.
  4. 《新增東國輿地勝覽》權30 陜川郡 不遇(佛宇)組 소리癌(蘇利菴)에서 《新羅殊異傳》이라는 題目으로 擧論되기도 하지만, 《新增東國輿地勝覽》의 記錄은 但只 《新羅殊異傳》이라는 冊에 '소리'라는 절에 對한 記錄이 있다는 事實을 알려줄 뿐 大略的인 內容도 言及되지 않고 있다.
  5. 조수학, 〈再構成 殊異傳〉 국학자료원, 2001年. p.12~14.
  6. 한영환度 1986年 에 創作層, 作家意識, 構造 또는 構成 形式, 形成 背景, 影響 收受 關係 等을 檢討하여 傳奇小說의 成立이 11世紀에서 더 거슬러 올라갈 수도 있다는 意見을 提示하고, 〈최치원(仙女홍대)〉을 《遊仙窟》의 人物, 事件, 背景 等 構成 要素와 比較함으로써 小說性을 確認하고자 하였다.
  7. 박희병이 論議한 電氣的 人間의 主要한 特質이란 외로움, 內面性, 消極性, 强한 文藝 趣向, 삶의 條件에 對한 關心 等으로, 이것이 傳奇小說을 規定하는 核心 要因임을 指摘하고 있다.
이 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配布한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의 內容을 基礎로 作成된 글이 包含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