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小說家 구보氏의 一日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小說家 구보氏의 一日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小說家 구보氏의 一日 》(小說家 仇甫氏의 一日)은 박태원 의 中篇 小說이다. 日帝 强占期 朝鮮 京城府에 居住하는 知識人의 無氣力함과 그 日常을 表現하고 있다.

槪要 [ 編輯 ]

박태원(朴泰遠)의 短篇小說이다. 1934年 <조선중앙일보>에 發表되었다. 視力이 弱하고 장가도 안 간 無氣力한 小說家 구보氏는 無聊한 사람으로, 아침에 제 房에서 나와 마루 끝에 놓인 구두를 신고, 기둥 못에 걸린 短杖을 들고 門을 나와 걷기도 한다. 그러다가 우두커니 다리 곁에 가 서 있는 自身의 無意味한 行動을 새삼스럽게 깨달은 그는 鍾路 네거리를 바라보고 걷다가, 茶房으로 돌아다닌다. 문득 丘甫氏는 모든 사람을 精神病者라고 생각해놓고 觀察해 보고 싶은 强烈한 衝動을 느낀다. 以上奔逸症(理想奔逸症)·言語倒錯症·誇大妄想症·支離滅裂症 等 … 문득 구보氏는 그런 것에 興味를 느끼려는 自己가 이미 患者임을 깨닫고, 비가 내리는 거리를 걸어 집으로 向한다.

登場人物 [ 編輯 ]

驅步 [ 編輯 ]

26歲의 未婚 小說家로 職業이 없다. 日本으로 留學을 다녀온 知識人이다.

어머니 [ 編輯 ]

아들의 늦은 歸家와 結婚을 걱정한다.

自由聯想 技法 [ 編輯 ]

小說家 구보氏의 一日은 小說家 구보가 하루동안 京城거리를 徘徊한 作品으로 以前 小說의 形態와 달리 自由聯想 技法으로 創作된 小說이다. 基本 小說의 틀인 發端-展開-危機-絶頂-結末의 形態와는 달리 內面에 떠오르는 聯想過程을 통해 眞正한 人間 意識 探究를 하는 自由聯想 技法을 使用했다. 이 技法의 使用으로 驅步는 反映論的 觀點에서 無氣力한 植民地 時代의 知識人으로 表現되며 自由聯想 技法은 小說에서 구보는 그 사내와 마주칠 것 같은 錯覺을 느끼고, 위태롭게 걸음을 멈춘다 와 같이 不必要한 內容을 넣은 것으로 느낄 수 있다.

自由聯想 技法의 使用이 小說의 時點과 文體에도 影響을 미쳤다. 이 小說의 時點은 3人稱과 1人稱이 모두 드러나 있는데 3人稱에는 全知的 作家時點이, 1人稱에는 主人公 時點으로 이 두 時點이 합쳐진 集中時點이 나타난다. 文體로는 人物의 自由聯想된 內面 描寫로 긴 文章의 蔓衍體가 드러난다.

3人稱 全知的 作家 時點 [ 編輯 ]

表面的으로는 敍述者와 焦點 主體(보는 者)가 分離되어 있는 3人稱 時點을 取하고 있으나, 敍述者가 人物의 時點에 同化되어 그 人物의 時點에서 敍述을 展開하는 方式을 取하고 있다. 敍述者와 登場人物 사이의 距離를 消滅함으로써 1人稱 時點과 마찬가지의 效果를 준다. 또한 敍述者와 人物을 同一視하는 效果를 주기도 한다. 이를 통해 讀者들은 主人公을 客觀的으로 바라보고 分析할 수 있는 機會를 제공받는다.

패러디 [ 編輯 ]

  • 小說: 최인훈의 聯作小說 《小說家 구보氏의 一日》(1969年에 發表, 72年에 出刊)
  • 時: 오규원의 聯作詩 〈詩人 久甫氏의 一日〉(《가끔은 注目받는 生이고 싶다》에 수록, 文學과 知性史, 1987年)
  • 新聞 記事: 김호경 記者, 〈老總角 구보氏의 一日〉, 《국민일보》, 2011年 11月 3日
  • 音盤: 싱어송라이터 김목인의 音盤 〈콜라보 氏의 一日〉(2017年에 發表)
  • 映畫: 임현묵 監督의 〈 小說家 驅步의 하루 〉(2021年에 開封)

參考 文獻 [ 編輯 ]

  • 천정환 엮음, 박태원 지음, 박태원 短篇選-小說家 구보氏의 一日, 文學과知性社, 2005.
이 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配布한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의 "小說家 구보氏의 1日" 項目을 基礎로 作成된 글이 包含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