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셸他語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셸他語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셸他語 또는 " 셸打 "(Shelta)는 아일랜드 및 英國 一部에 사는 아일랜드 流浪民 共同體에서 쓰이는 말이다. 셸他語를 가리키는 말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아일랜드에서는 言語쪽을 감몬(Gammon)이라 하고, 그 共同體를 셸타라 한다. (言語名稱의 셸타는 英語圈의 用法이다) 셸타는 一般 言語라기 보다는 변말이나 銀魚的 性格이 짙은 말로서, 主로 外部人에게 流浪民 사이의 意思疏通의 內容을 들키지 않도록 하는 구실을 한다. 셸他語의 使用人口는 正確한 推算이 어렵지만, 에스놀로그에 따르면 적게 6000名에서 最大 86000名까지 어림잡고 있다. 構造的으로 셸他語는 一種의 크리올(言語)의 性格을 띄고 있다. 셸他意 使用者는 아일랜드語 모어話者인 아일랜드系이고, 流浪生活 中에 英語 이중화自家 되었으며, 따라서 아일랜드 英語와 아일랜드語(-게일어)의 干涉이 크다. 셸타는 地域的으로 英語化된 程度의 差異가 있는데, 正確한 數値는 아니지만, 大略 셸他語 單語 가운데 2000-3000個의 게일語系 基層 낱말이 깔려 있는 것으로 본다.(Oxford Companion)

言語名稱과 어원 [ 編輯 ]

셸타는 여러 다양한 名稱이 있고, 그 낱낱 名稱들의 語源은 論爭 中인 것이 많다. 셸他意 使用者들 스스로는 隱語라는 뜻의 英語單語Cant라고 부르거나, Gammon,Tarri라는 이름으로도 부른다. 言語學者들은 셸打(Shelta)라는 名稱을 採擇했다. 셸打(Shelta)라는 名稱은 1882年 찰스 리랜드가 쓴 집시關聯 冊에서 印刷物 가운데는 처음 登場한다. 이 冊에서 그는 셸打를 言及하면서 "6番째" 켈트어를 發見했다고 主張했었다. 單語의 正確한 뜻과 語源에 對해 많은 論爭이 있었으나, 現代의 켈트硏究家들은 siul [?uːl?]로 발음되는 "걷다"란 뜻의 아일랜드語 낱말과의 聯關性이 높다고 보고 있다. 걷는 사람이란 뜻의 siultoir [?uːl?t??oːr?]나 이것의 形容詞꼴인 siulta等이 있으며, 이것은 流浪民들을 부르던 아일랜드語에서의 名稱이라는 點에서 蓋然性이 높다 할 수 있다. 아일랜드 英語 辭典('Dictionary of Hiberno-English)에서는 셸타란 單語를 아마 變形된(영어로 들어오면서 發音과 꼴이) 켈트어 單語일 것이다라고 되어 있다.

言語的 特徵 [ 編輯 ]

語彙 [ 編輯 ]

셸他語 語彙는 隱語에서 흔히 쓰이는 "뒤집기"또는 "거꿀말"같은 方式으로 種種 語源이 되는 낱말에서 만들어진다. (例를 들어 키스를 뜻하는 셸打 gop은 아일랜드語 낱말인 pog를 그냥 거꾸로 뒤집은 것이다) 여기에 音을 덧붙이거나, 位置를 조금 바꾸기도 한다.

  • rodas(St)>doras(Ir)
  • lackeen(St)>cailin(Ir)

여기에 一部 롬語에서 빌려온 語彙도 있다. dadje(非流浪民) kushti(좋은) 種種 잘못 알기 쉽지만, 流浪民들은 人種的으로는 롬人들과 聯關性이 없다.

다른 言語로의 影響 [ 編輯 ]

셸打 語彙의 一部는 英語에 吸收되어 쓰이기도 하였다.(주로 俗語)19世紀 中盤에 bloke(사람, 놈)란 表現이 자주 쓰였는데, 셸他語 由來이며, 窮極的으로는 아일랜드語 buachaill(소년)에서 비롯되었다.

같이 보기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