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세 원숭이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세 원숭이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日本 닛코視 同調宮 의 세 원숭이
印度 아마다바드 사바르마티 아슈람 에 있는 마하트마 간디 의 세 원숭이 彫刻像 模型.

세 원숭이 ( 日本語 : 三猿 )는 日本의 格率 로, " 惡을 보지 말고, 악을 듣지 말고, 惡을 말하지 말라 "라는 俗談 을 나타내고 있다. [1] 各各의 세 원숭이의 이름과 뜻은 다음과 같다.

  • 미자루 ( 日本語 : 見猿 )는 눈을 가리고 있으며 惡을 보지 않는다.
  • 키카자루 ( 日本語 : 聞か猿 )는 귀를 막고 있으며 악을 듣지 않는다.
  • 이瓦子루 ( 日本語 : 言わ猿 )는 입을 막고 있으며 惡을 말하지 않는다. [2]

세 원숭이가 뜻하는 意味는 다양하다. 假令 좋은 마음을 가지고, 좋은 말을 하고, 좋은 行動을 할 것을 뜻하기도 하며, 不義를 보고서도 눈을 돌리는 不適切한 行動을 하는 사람들을 가리킬 때 使用되기도 한다. [3]

日本 以外의 國家들에서 원숭이들 全體의 이름을 미자루, 미카자루, [4] 마자루 [5] 라기도 하기도 한다. 뒤의 두 이름은 元來 日本語 이름이 歪曲된 것이다. [6] [7] 원숭이들은 日本에 흔한 種인 日本원숭이 이다.

起源 [ 編輯 ]

세 원숭이 그림이 大衆化된 것은 17世紀 닛코 同調宮 의 門에 만들어진 彫刻이다. 同調宮의 彫刻을 만든 것은 히다리 晉鼓로 (左 甚五?)이며 孔子 의 行動 守則을 원숭이를 利用해 比喩하여 그려낸 것으로 여겨진다. 同調宮 조각에는 여덟 個의 板이 있는데, 세 원숭이의 그림은 두 番째 판에 있다.

中國語 에는 세 원숭이와 비슷한 句節이 存在한다. 하나는 紀元前 4世紀에서 2世紀頃 쓰인 孔子 論語 에 나오는 "禮가 아니거든 보지도 말고, 듣지도 말고, 말하지도 말고, 움직이지도 말아라"(非禮勿視,非禮勿聽,非禮勿言,非禮勿動)이다. [8] 또 다른 句節은 紀元前 3世紀頃 쓰인 荀子 에 나오는 "눈으로는 옳지 않은 것을 보려 하지 않고, 귀로는 옳지 않은 것을 들으려 하지 않고, 입으로는 옳지 않은 것을 말하려 하지 않고, 마음으로는 옳지 않은 것을 생각하려 하지 않아야 한다."(使目非是無欲見也,使耳非是無欲聞也,使口非是無欲言也,使心非是無欲慮也)이다. [9] [10] 이러한 中國의 著述이 日本에 傳來된 以後 세 원숭이의 모티브가 된 것으로 생각된다.

美나카타 驅魔구스 에 따르면 靑面金剛 과 원숭이의 關係는 印度를 起源으로 하고 있다. 또한 靑面金剛은 라마야나 說話의 主人公인 라마의 本體인 비슈누 神이 變身한 것이며, 세 원숭이는 라마를 섬기는 하누만 의 變形이다. [11] [12] 한便 更新信仰 에서는 사람의 惡을 監視하여 喪制에게 報告하는 세 마리의 벌레인 三時衝 을 막기 위해 惡行을 보지 않고, 듣지 않고, 말하지 않는 세 마리의 원숭이를 냈다는 說이 있다. 에도 時代 中期에 出版된 화한삼재도회 의 '更新'(庚申) 項目에는 세 원숭이의 揷畵가 그려져 있다. [13]

變形 [ 編輯 ]

네 원숭이의 彫刻像. 네 番째 원숭이는 自身의 性器를 가리고 있다.

世子루 라고 하는 네 番째 원숭이가 같이 表現된 境遇가 있다. 이 원숭이는 論語 原文에도 나와 있던 "악을 行하지 말라"라는 句節을 象徵한다. 普通 팔을 交叉시키고 있거나 性器를 가리고 있다. [14] 한便 네 番째 원숭이가 코를 막고 있어 "악을 맡지도 말라"를 뜻하기도 한다. [3]

유니코드 [ 編輯 ]

유니코드 에는 세 원숭이를 나타낸 이모지 가 存在한다. [15]

  • 미자루 : U+1F648 🙈 see-no-evil monkey
  • 키카자루 : U+1F649 🙉 hear-no-evil monkey
  • 이瓦子루 : U+1F64A 🙊 speak-no-evil monkey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Wolfgang Mieder . 1981. "The Proverbial Three Wise Monkeys," Midwestern Journal of Language and Folklore , 7: 5- 38.
  2. Oldest reference to the correct monkey names in English. Source:
  3. Pornpimol Kanchanalak (2011年 4月 21日). “Searching for the fourth monkey in a corrupted world” . 《The Nation》. Thailand. 2015年 8月 28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7年 6月 19日에 確認함 .  
  4. “Mikazaru - Google Search” . 《www.google.com》.  
  5. Oldest reference of the incorrect Mazaru in Google Books. Source:
  6. Worth, Fred L. (1974). 《 The Trivia Encyclopedia 》. Brooke House. 262 쪽. ISBN   978-0-912588-12-4 .  
  7. Shipley, Joseph Twadell (2001). 《The Origins of English Words: A Discursive Dictionary of Indo-European Roots》 .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49 쪽. ISBN   978-0-8018-6784-2 .  
  8. 原文: 論語 (中國語) , Analects (英語)
  9. 原文: Sibu Congkan , "Vol. 312". pages 32 - 33 of 156
  10. Xun Kuang (2014). 《Xunzi - The Complete Text》. 飜譯 Eric L. Hutton.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8쪽.  
  11. 南方熊楠『十二支考』「?に?する??」 ?空文庫 ]
  12. 中村禎里『日本動物民俗誌』 海鳴社、1987年。 9-14ペ?ジ
  13. 寺島良安 『倭漢三才??』(漢文による復刻版)、中外出版社、1901(明治34)年。 [1]
  14. 江藤守總 (2000). “三猿と「やる?」”. 《日本農???誌》 25 : 187-188.  
  15. Unicode 6.0.0 characters in Emoticons block : SEE-NO-EVIL MONKEY ???? , HEAR-NO-EVIL MONKEY ???? and SPEAK-NO-EVIL MONKEY ????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