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세노 구미라 阿只다르마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세노 구미라 阿只다르마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세노 구미라 阿只다르마, 2017年

세노 구미라 阿只다르마 (Seno Gumira Ajidarma, 1958年 6月 19日 , 매사추세츠주 보스턴 -)는 인도네시아 作家 , 저널리스트 , 寫眞家 이다. 短篇 小說 , 長篇 小說 , 에세이 , 映畫 대본 等을 쓴다. 1997年 東南아시아 作家賞 을 受賞하였고, 2004年 , 2005年 連續으로 下툴리스티와 文學賞 을 受賞하였다. 有名한 短篇 作品으로는 〈房의 人間(Manusia Kamar, 1988)〉, 〈奇妙한 銃잡이(Penembak Misterius, 1993)〉, 〈目擊者(Saksi Mata, 1994)〉, 〈浴湯에서 노래하지 마시오(Dilarang Menyanyi di Kamar Mandi, 1995)〉, 〈사랑에 對한 하나의 質問(Sebuah Pertanyaan untuk Cinta, 1996)〉, 〈惡魔는 決코 죽지 않는다(Iblis Tidak Pernah Mati, 1999)〉 等이 있다. 16歲 때부터 小說 을 쓰기 始作하였으며, 19歲가 되던 해부터 저널리스트 活動을 始作하였다. 新聞 에 실린 短篇 小說들로 有名해진 1980年代 以來 30卷 以上의 冊을 썼다. [1]

세노는 短篇을 통해 日常에 對한 文學的 記錄을 遂行함과 同時에 現代의 社會的, 政治的 條件에 對한 批判의 날을 세운다. 세노는 言論과 出版의 自由에 對한 꾸준한 擁護者로서, 東티모르 에서의 軍事的 暴力行爲 같은 敏感한 主題도 短篇 〈目擊者〉와 長篇 《재즈, 鄕愁, 事件(Jazz, Parfum dan Insiden, 1996)》에서 다루기를 躊躇하지 않는다. 세노가 다룬 또 다른 社會的 主題로는 1980年代 初 東部 者와에서 벌어진 '不可思議한' 殺人 事件과 아체 地域의 不安定性 等이 있다.

세노의 信條는 다음과 같다. "저널리즘이 沈默할 때, 文學은 말해야 한다. 저널리즘은 事實을 말하지만, 文學은 眞實을 말하기 때문이다." [2]

세노의 스타일은 르포르타주 부터 寫實主義 , 幻想 文學 까지 다양하다. 2001年 세노 本人에게 職業이 저널리스트, 短篇 作家, 是認 , 政治 論評家 中 무엇인지, 또 作品 스타일이 超現實主義 , 魔術的 寫實主義 , 幻想 文學, 포스트모던 저널리즘 中 무엇인지에 對한 質問이 있었을 때, 세노는 이렇게 對答했다. "願하는 대로 부르세요. 그게 내가 하는 거니까요." [3]

作品 目錄 [ 編輯 ]

短篇集 [ 編輯 ]

  • 《수캅 世界(Dunia Sukab)》
  • 《奇妙한 銃잡이(Penembak Misterius)》
  • 《안개의 땅(Negeri Kabut)》
  • 《스트립 댄서의 죽음(Matinya Seorang Penari Telanjang)》
  • 《惡魔는 決코 죽지 않는다(Iblis Tidak Pernah Mati)》
  • 《밤의 이름에 關하여(Atas Nama Malam)》
  • 《죽음이여 이리 오라(Aku Kesepian Sayang, Datanglah menjelang Kematian)》
  • 《도니 오즈먼드의 죽음(Kematian Donny Osmond)》
  • 《浴湯에서 노래하지 마시오(Dilarang Menyanyi di Kamar Mandi)》
  • 《目擊者(Saksi Mata)》
  • 《사랑에 對한 하나의 質問(Sebuah Pertanyaan Untuk Cinta)》
  • 《말들(Linguae)》

長篇 小說 [ 編輯 ]

  • 《재즈, 鄕愁, 事件(Jazz, Parfum dan Insiden)》
  • 《黃昏의 땅(Negeri Senja)》
  • 《現 없는 바이올린(Biola Tak Berdawai)》
  • 《넌센스(直譯- 쓸모없는 말)의 서(Kitab Omong Kosong)》
  • 《칼라티다(Kalatidha)》
  • 《逃亡者 位相그니(Wisanggeni Sang Buronan)》
  • 《나街浮靡(Nagabumi I & II)》

논픽션 [ 編輯 ]

  • 《저널리즘이 沈默할 때 文學은 말해야 한다(Ketika Jurnalisme Dibungkam Sastra Harus Bicara)》
  • 《말의 스크린(Layar Kata)》
  • 《눈(眼) 이야기(Kisah Mata)》
  • 《팔메라에서 온 便紙(Surat Dari Palmerah)》
  • 《아홉 왈리 [4] 와 셰이크 시티 즈나르(Sembilan Wali dan Syekh Siti Jenar)》
  • 《頭蓋骨 旗발: 討論 속의 文化(Panji Tengkorak: Kebudayaan dalam Perbincangan)》

各州 [ 編輯 ]

  1. Fuller, Andy, “Writing Jakarta in Seno Gumira Ajidarma’s Kentut Kosmopolitan,” ARI Working Paper, No. 160, August 2011, www.nus.ari.edu.sg/pub/wps.htm
  2. Ketika jurnalisme dibungkam, sastra harus bicara , Yogyakarta: Yayasan Benteng Budaya: 1997, p1
  3. Allen, Pam, "Seno Gumira Ajidarma: Conscience of the People," New Zealand Journal of Asian Studies 4 , 2 (December 2002): 177-182
  4. 後見人, 行政의 우두머리 - 안영호, 《포켓 인도네시아語-韓國語 韓國語-인도네시아語 辭典》, 三知事, 2009, 224쪽.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