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끼 고양이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生後 6週의 고양이
生後 8週의 고양이

새끼 고양이 또는 子猫 (子猫), 猫兒 (猫兒)는 고양이 의 새끼로 哺乳動物 이다. 成長이 進行 中인 고양이다.

出生과 成長 [ 編輯 ]

한 배(litter)의 새끼 고양이는 普通 5마리다. 受精한 지 64~67日 지나서 태어나고 平均 66日이다. [1] 그들은 羊膜이라 불리는 一種의 주머니 속에 들어 있어서 태어날 때 어미 고양이가 羊膜을 씹어서 먹어치운다. [2] 처음 몇 週 동안 새끼 고양이는 어미가 刺戟하지 않으면 大小便을 볼 수 없다. 또한 3週 동안은 體溫을 調節할 수 없어서, 태어날 때 體溫이 27度 以下인 새끼 고양이들은 어미가 體溫으로 덥히지 않으면 죽을 수 있다.

어미 고양이가 어린 고양이에게 젖을 먹이고 있다.
한 배의 새끼들을 어미가 돌보고 있다.

어미의 은 그들의 營養과 알맞은 成長에 매우 重要하다. 이 젖은 그들에게 抗體 를 傳達해서 傳染病 [3] 으로부터 保護해 준다. 갓난 고양이는 濃縮된 오줌을 만들지 못하므로 水分 要求量이 대단히 높다. [4] 새끼들은 태어난 지 7日에서 10日 사이에 눈을 뜬다. 처음에 網膜이 제대로 發達되지 않아서 視力은 형편없다. 10週가 되기까지 다 큰 고양이만큼 볼 수 없다. [5] 그들은 2株에서 7週 사이 매우 빨리 자란다. 그들의 敏捷性과 힘이 좋아지고 兄弟들과 장난치고 보금자리 밖 世界를 探險하기 始作한다.

어떤 고양이는 태어나자마자 눈을 뜬다.

그들은 스스로와 다른 고양이들을 씻는 法을 배우고 사냥놀이와 숨바꼭질을 즐겨서 捕食者의 天性을 보여준다. 이들의 타고난 技術은 어미나 다른 어른 고양이가 살아있는 먹이를 보금자리에 가져다주면서 발달시킨다. 그 뒤에 어른 고양이들이 사냥 技術을 示範하여 새끼들이 흉내 내도록 한다. [6]

태어난 지 3, 4週에 이르면 그들은 漸次 젖을 떼고 고형식을 먹기 始作한다. 젖을 떼는 것은 6株에서 8週 사이에 끝난다. [7] 그들은 젖을 뗀 後 主로 고형식으로 살지만 어미와 떨어지기 前까지 때때로 젖을 빤다. 一部 語尾는 이르면 3個月부터 새끼들을 떼어놓지만 다른 語尾들은 性的으로 成熟해질 때까지 繼續 돌보기도 한다.

好奇心 많은 새끼 고양이

새끼의 性別은 普通 6株에서 8週면 쉽게 區別할 수 있다. 수컷의 小便 구멍은 둥근 反面, 암컷은 길게 째진 것 같다. 다른 識別點은 肛門과의 距離인데 수컷에서 더욱 멀다. 새끼들은 매우 社會的이라서 깨어 있는 時間 大部分을 周圍의 動物들과 相互 作用하고 장난을 친다. 다른 새끼들과의 놀이는 태어난 지 3, 4個月 만에 最高潮에 達하고 以後에 單獨 사냥과 숨바꼭질이 絶頂이 達하는 데 5個月 무렵이다. [8]

새끼들은 쉽게 攻擊을 받는데 普通 숨을 때 어두운 데로 달아나서다. 그런 行動은 注意 깊게 살피지 않는다면 때때로 致命的이다. 어린 집고양이들이 普通 6株에서 8週에 새 집으로 보내지지만 6株에서 12週 使에는 어미와 兄弟들과 지내는 게 社會成果 行動 發達에 좋다고 勸한다. 고양이를 飼育하는 사람들은 12週가 안 된 새끼들은 普通 팔지 않으며 여러 法令에서 8週가 안 된 새끼들을 주는 건 不法이다. [9]

새끼 집고양이 돌보기 [ 編輯 ]

大部分의 獸醫師는 태어난지 2, 3個月이 되면 一般 疾患 백신을 맞히는 것을 勸奬한다. 混合 백신은 고양이 바이러스性 鼻器官炎(FVR), 고양이 칼리시 바이러스(C), 고양이 汎白血球 減少症(P)을 豫防하여 FVRCP로 불린다. 8株와 12週에 接種하고 16週에 狂犬病 豫防 接種을 한다.

고양이들은 大略 7個月에 中性化한다. 많은 獸醫師 는 7週의 어린 고양이라도 大略 1kg에 達하면 中性化한다. 이 施術은 動物保護所에서 特히 一般的이다. [10] 이런 早期 中性化가 어떠한 長期的 健康上 危險度 招來하지 않는 것으로 보이고 수컷에게는 더욱 좋은 것으로도 보인다. [11] 태어난 지 4週가 될 무렵엔 蛔蟲 救濟를 해야 한다.

새끼 고양이는 省墓보다 더욱 高蛋白의 높은 칼로리 食事가 必要하다. [12] 젖을 떼고 生後 1年까지 새끼 고양이龍 特別 飼料를 먹여야 한다. 어미가 없는 새끼 고양이로서 고형식을 먹기엔 너무 어릴 境遇, 2時間에서 4時間마다 고양이 젖 代替品을 먹여야 한다. 一般 牛乳는 必須 營養素를 具備하지 못해서 먹이지 말아야 한다. [13]

고양이는 普通 雪糖을 받아들이지 못하므로 雪糖이나 젖糖이 모두 消化가 안 돼서 묽은 辯이나 泄瀉를 招來한다. [14] 어미가 없는 새끼 고양이로서 大小便을 못 보면 따뜻하고 젖은 행주 같은 것으로 꼬리가 始作되는 脊椎의 基底 部位를 每番 食事 後마다 문질러서 刺戟해 주어야 한다. [15] 이것은 새끼 고양이의 生存에 決定的이다.

사람 손으로 키운 새끼 고양이는 매우 愛情이 깊고, 다 자라서도 사람에게(사람 손에 자라지 않은 境遇에 비해) 더욱 依存的이지만, 性質이 변덕스럽고 攻擊的일 수도 있다. [16] 새끼 고양이가 설사하면 獸醫師에게 보이는 게 가장 좋다. 어린 고양이는 6-8週에 驅蟲하고 2週 뒤 다시 苟充해야 할 수도 있다.

같이 보기 [ 編輯 ]

伴侶動物

各州 [ 編輯 ]

  1. Tsutsui T, Stabenfeldt GH (1993). "Biology of ovarian cycles, pregnancy and pseudopregnancy in the domestic cat". J. Reprod. Fertil. Suppl. 47: 29?35. PMID 8229938 .
  2. Miglino MA, Ambrosio CE, dos Santos Martins D, Wenceslau CV, Pfarrer C, Leiser R (2006). "The carnivore pregnancy: the development of the embryo and fetal membranes". Theriogenology 66 (6?7): 1699?702. doi:10.1016/j.theriogenology.2006.02.027. PMID 16563485 .
  3. Casal ML, Jezyk PF, Giger U (1996). "Transfer of colostral antibodies from queens to their kittens". Am. J. Vet. Res. 57 (11): 1653?8. PMID 8915447 .
  4. Phillips C, Rochlitz I (2005). Animal Welfare Volume 3: The Welfare of Cats. doi:10.1007/1-4020-3227-7_9. page 243
  5. Tootle JS, Friedlander MJ (1989). "Postnatal development of the spatial contrast sensitivity of X- and Y-cells in the kitten retinogeniculate pathway". J. Neurosci. 9 (4): 1325?40. PMID 2703879 .
  6. Poirier FE, Hussey LK (1982). "Nonhuman Primate Learning: The Importance of Learning from an Evolutionary Perspective". Anthropology & Education Quarterly 13 (2): 133?148. doi:10.1525/aeq.1982.13.2.05x1830j.
  7. Phillips C, Rochlitz I (2005). Animal Welfare Volume 3: The Welfare of Cats - Nutrition and Welfare. doi:10.1007/1-4020-3227-7_9. page 244
  8. Crowell-Davis, S (2005). Animal Welfare Volume 3: The Welfare of Cats - Cat Behaviour: Social Organization, Communication and Development. doi:10.1007/1-4020-3227-7_1. page 18
  9. Sunquist, Mel; Fiona Sunquist (2002). Wild Cats of the World.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SBN   0-226-77999-8 .
  10. Olson PN, Kustritz MV, Johnston SD (2001). "Early-age neutering of dogs and cats in the United States (a review)". J. Reprod. Fertil. Suppl. 57: 223?32. PMID 11787153 .
  11. Spain CV, Scarlett JM, Houpt KA (2004). "Long-term risks and benefits of early-age gonadectomy in cats". J. Am. Vet. Med. Assoc. 224 (3): 372?9. doi:10.2460/javma.2004.224.372. PMID 14765796 .
  12. Rogers QR, Morris JG (1979). "Essentiality of amino acids for the growing kitten". J. Nutr. 109 (4): 718?23. PMID 430271 .
  13. Guilford WG (1994). "Nutritional management of gastrointestinal tract diseases of dogs and cats". J. Nutr. 124 (12 Suppl): 2663S?2669S. PMID 7996263 .
  14. Kienzle E (1994). "Blood sugar levels and renal sugar excretion after the intake of high carbohydrate diets in cats". J. Nutr. 124 (12 Suppl): 2563S?2567S. PMID 7996238 .
  15. Feline How-to Manual from Pawprints and Purrs, Inc, on feeding newborn cats Feline How-To Manual: Feeding the Cat - Including Newborn Kitten Feeding ~ Pawprints and Purrs, Inc. at www.sniksnak.com
  16. Heath, S (2005). Animal Welfare Volume 3: The Welfare of Cats - Behaviour Problems and Welfare. doi:10.1007/1-4020-3227-7_4. page 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