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韓國의 産後調理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韓國의 産後調理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産後調理院 에서 넘어옴)

韓國 産後調理 (産後調理, Postpartum care)는 女性 이 아기를 낳은 後 허약해진 몸과 마음을 특별한 飮食, 活動, 또는 居處 等의 보살핌을 통해 妊娠 前의 健康狀態로 回復하기 위한 休息 期間을 稱한다.

槪要 [ 編輯 ]

韓國에서는 産母가 出産 前에 맡고 있었던 집안일 이나 家族의 돌봄 或은 育兒 等과 같은 다양한 役割遂行의 責任을 免除 해 주고, 나아가 産母가 태어난 아이와 自身의 身體的, 心理的 回復에 專念할 수 있도록 家族이 中心이 되어 産母를 돌보아 주는 韓國 社會가 公認하는 돌봄의 形態이다. 또한 結婚과 함께 出嫁外人으로 認定되던 딸이 社會的 偏見 없이 親庭 에 머무르면서 親庭어머니나 家族의 돌봄을 받을 수 있는 특별한 期間이기도 하였다. [1] [2]

西洋系 女性의 骨盤은 圓形이며 넓은 便이라 比較的 아이를 出産하기에 좋은 構造를 가져 出産時 會陰部 節槪 또한 잘 하지 않는다. 反面 東洋系 女性의 骨盤은 楕圓形의 좁은 構造를 가지고 있어 아이를 낳을 때에 比較的 身體의 變形으로 因한 無理가 간다. 勿論 사람에 따라 差異가 있으며 西洋 女性이라도 出産 後 回復에 힘이 들수도 있으며 東洋 女性이라도 出産 後 卽時 日常生活이 可能할 수 있다. 英語로는 Sanhujori라고 表記한다. 各 나라마다의 風習과 傳統, 身體의 特徵에 따라 各各의 方法과 飮食으로 産後調理를 하며 (집을 訪問하여 케어해주는 시스템 또는 業體, 施設로 들어가 케어받는 시스템) 大體로 期間은 짧게는 1週 길게는 3,4週 程度이다. 이를 回復하기 위해서는 무거운 物件을 絶對 들면 안된다. 하지만 너무 덥거나 運動이 不足할 境遇 오히려 해가 되는데 하루 30分 以內의 가벼운 걷기는 膀胱, 骨盤 筋肉이 回復되는데 도움을 준다. 甚한 더위로 인한 땀은 體溫을 떨어뜨리고 細菌의 繁殖을 活潑히 하는데 이때는 溫度를 낮추지 말고 땀을 닦아 보송보송하게 만들고 속옷을 자주 갈아입어 淸潔을 維持해야만 한다. 産後調理期間에 속옷은 하루에 5~6回 以上 갈아입어 주는 것이 좋다.

期間 및 場所 [ 編輯 ]

産後調理院 [ 編輯 ]

産後調理院은 産後調理 期間 동안 産母와 아기 모두를 爲한 맞춤型 서비스를 提供하는 私設 센터이다. 1998年 말까지 産後調理院의 需要는 供給을 超過했고 産後調理院의 單純한 開設은 大槪 成功을 保障했다. 結果的으로, 質이 낮고, 資格이 없는 센터들은 2000年 以前에 생겨났다. 以後 不實한 管理와 火災 事件 等으로 資格 未達 센터가 大擧 門을 닫았지만 最近 産後調理院이 漸次 增加하고 있다. [3] 全國的인 調査에 따르면, 2012年 에 韓國의 全體 女性 人口의 約 50%가 出産 後에 이러한 産後調理院을 利用한 것으로 推定되었다. 이 서비스에는 皮膚 治療, 身體 마사지, 新生兒 24時間 年中無休 케어 等이 包含된다. 一部 센터에서는 産後憂鬱症 豫防을 爲한 꽃꽂이 敎育과 웃음治療 프로그램을 提供한다. [4]

産後調理社 [ 編輯 ]

産後調理사는 産母의 집을 訪問하여 産後調理를 위한 訪問 서비스를 提供하는 돌봄 勞動者의 한 類型이다. 産後調理社 勤勞者는 크게 時間制 勤勞者와 同居 勤勞者로 區分된다. 仲介業所와 엄마들의 要求에 따라 産後調理 서비스 自體와 함께 빨래, 房 淸掃, 다른 家族들의 돌봄 等 多樣한 집안일을 遂行한다. 요즘은 世界化와 大規模 移住勞動者 流入의 結果로 東北地方에서 移住하는 朝鮮族 移民者들이 産後調理社 雇用市場의 가장 큰 比重을 차지하고 있다. 公共部門에서는 YMCA, 地方自治團體, 保健所 等이 專門 産後調理社 養成을 위한 敎育 프로그램을 少額 또는 無料로 提供하고 있다. 한便, 民間 部門에서는 韓國資格開發院(KQDC)李 敎育 프로그램을 成功的으로 履修하고 그 자리를 위한 資格 試驗에 合格한 사람들에게 資格證을 授與하고 있다. [5]

이 職業은 英語로 月刊 看護師로 알려져 있었으나, 只今은 産後 둘라 , 産母 看護師, 新生兒 專門 看護師 等으로 불린다.

男便에 依한 産後調理 [ 編輯 ]

出産 後 男便은 出産 初期의 産母를 扶養한다. 産母가 産後調理를 始作하기 위해 가장 必要한 것은 男便의 따뜻한 關心과 보살핌이다. 男便의 情緖的 支援은 스트레스가 많은 狀況에서 産後 女性의 身體的, 精神的 要求를 충족시키고, 産後 憂鬱症을 낮추고, 家族 關係를 結束시키며, 母性 役割 轉換을 돕는다. 産後調理는 긴 過程이 될 수 있고, 男便이 産後調理에 參與할 수 있기를 願할 때, 그는 많은 어려움에 直面하게 될 것이다. 硏究에 따르면 많은 아버지들이 産後調理에 對한 知識이 낮기 때문에 아버지는 처음부터 産後調理에 參與하지 않는다. [6]

歷史 [ 編輯 ]

韓國의 미역국

過去 [ 編輯 ]

朝鮮時代 産後調理는 一般的으로 遂行해야 할 處方條項과 하지 말아야 할 禁忌條項으로 6가지 基本原理가 있었다. [1]

  1. 몸을 따뜻하게 하고 찬 것을 避한다. 이는 産母가 기운을 내도록 돕는 方法으로 따뜻한 飮食을 먹고 찬 것을 避하여 기운을 回復하게 한다.
  2. 身體的, 精神的으로 쉰다. 身體的인 일을 하지 않고 弛緩된 狀態를 維持하여 本來의 身體 狀態를 回復 할 수 있게 하며, 情緖的으로는 念慮나 근심, 不安이 없는 狀態로 精神的으로 休息한다.
  3. 産母를 爲해 特別히 準備된 飮食을 잘 먹는다. 飮食의 種類나 性質, 頻度, 期間, 量 等을 含蓄하는 意味로 産母뿐만 아니라 아기를 위해서도 必要한 原理다.
  4. 無理하게 힘을 쓰지 않고 몸을 保護한다. 이는 움직이지 않고 누워만 있으라는 意味는 아니고, 몸의 어느 한 部分을 지나치게 使用하여 몸의 回復을 늦추거나 沮害하게 하지 않는다.
  5. 淸潔 維持다. 淸潔維持는 回復을 위한 衛生的인 要素로 다른 原理들과의 調和와 均衡을 이룬다.
  6. 精誠껏 돌보기다. 周圍의 모든 사람이 産母를 精誠껏 돌본다는 것을 뜻하며 特히 山冠者의 役割과 活動指針의 基本이 된다. 이러한 基本原理 속에는 東洋哲學의 陰陽槪念(Oriental paradigm)李 影響을 준 것으로 理解된다.

現代式 産後調理 方法 [ 編輯 ]

  1. 補養食 먹는다고 몸이 回復되는 것은 아니다. 보양食을 지나치게 攝取할 境遇 肥滿을 불러올 수 있다.
  2. 寒氣가 들어서는 안된다고 無條件 몸을 따뜻하게 하는 産後條理가 퍼져있지만 자칫하면 脫水症을 불러올 수 있다. 自身의 몸에 맞게 몸調理 한다.
  3. 스트레스 받지 말고 安定을 取한다.
  4. 스트레칭이나 가벼운 體操 或은 30分 散策을 하면 效果的이다.
  5. 슈로스 運動과 같은, 産後 骨盤 벌어짐을 矯正할 수 있는 骨盤敎正 運動을 每日 30分 內外로 해주면 産後 骨盤 疾患을 豫防하는데 效果的이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김연정, 정미라 (2012年 6月). “韓國 産後調理 文化의 變化에 關한 硏究”. 《아시아文化硏究》 第26輯 .  
  2. 硫銀鑛 (2001.4). “産後調理院의 役割과 制度 整備를 위한 方案”. 《韓國帽子保健學會 第9次 2001年度 春季學術大會 蓮堤집》.  
  3. Hyun, Soon-Cheol (2000). “A study on the realities and improvements of postpartum care centers in Korea” . 《Master's Dissertation in Kyung-Hee University》: 1?95.  
  4. “Casebook of Cost Estimates for 2012 Amendment of Corporate Income Tax Law” .  
  5. Nam, Ji-Ran (2011). “A Study of Satisfaction Degree of the Postpartum Care Services of 'Postpartum Caretaker ' . 《Journal of Public Welfare Administration》 21 (2): 137?164.  
  6. Eun Kyung Joo, & Eun Kwang Yoo. (2015). Husbands’ Awareness of Sanhujori, Needs for Education and Family Strength. Yeoseong Geon-Gang Ganho Hakoeji, 21(2), 93?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