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사카老우에노 다무라마로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사카老우에노 다무라마로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사카老우에노 다무라마로

사카老우에노 다무라마로 ( 日本語 : 坂上 田村麻呂 )는 헤이안(平安) 時代 의 無冠이다. 漢字 表記로 田村? 로 적기도 하며, 官位는 種3位, 職責은 다이羅곤(大納言) 兼 牛筋위大將(右近衛大將) 兵部卿(兵部卿). 勳(?)2等. 事後 種2位로 追贈되었다.

生涯 [ 編輯 ]

사카노우에 氏는 다무라마로의 할아버지인 사카老우에노 이누카이(坂上犬養)나 아버지 가리다마로(?田麻呂) 때 이미 모두 武藝로 世上에 이름을 떨친 집안이었다. 덴표호지(天平寶字) 2年( 758年 )에 태어난 [1] 다무라馬로는 일찍부터 中央에서 近位部(近衛府)의 武官으로 勤務했다.

이 무렵부터 무쓰(陸奧) 國 에서는 現地의 土着勢力인 에미視(蝦夷) 와의 戰爭이 激化되고 있었고, 엔랴쿠( 延?) 8年(789年)에는 정동대將軍 기노 枯死美(紀古佐美)가 이끌던 官軍이 에미市의 指導者 아테루이(阿?利爲) [2] 가 이끌던 에미市郡에 대패하기도 했다. 엔랴쿠 11年( 791年 )에 다무라馬로는 세이이타이쇼군(征夷大將軍) 오오토모노 오토마로(大伴弟麻呂)를 補佐하는 네 名의 貞洞府使(征東副使) 가운데 한 名으로 任命되어, 엔랴쿠 12年( 793年 )에 에미詩와의 戰爭을 위해 出廷했다. 이때의 戰爭에 對해서는 《 油臭局社 》에 "정동부將軍(征東副將軍) 사카老우에노 誤오스쿠네(坂上大宿?) 다무라마로(田村?) 以下가 에미詩를 征伐하였다."고만 記錄되어 있으며, 이때 다무라馬로는 네 名의 府使(不將軍)의 한 名이면서 中心的인 役割을 完遂했다고 여겨진다.

以後 엔랴쿠 15年( 796年 )에는 무쓰의 按察使(按察使), 무쓰老카미, 眞髓將軍(鎭守將軍)을 兼任하는 等 거의 前方에서 戰爭을 指揮하는 官職을 아우르게 되었고, 이듬해인 16年( 797年 )에는 오토마로의 後任으로 세이이타이쇼군이 되어 에미詩와의 戰爭을 總指揮해, 엔랴쿠 20年( 801年 )에 敵對關係에 있던 에미詩를 降伏시키는 데에 成功했다. 勝利한 뒤 暫時 교토로 돌아왔다가 앞서 自身이 確保한 地域에 理事와(?澤) 城을 쌓기 위해 802年 에 다시 무쓰로 돌아왔고, 그곳에서 에미市의 指導者 아테루이와 모레(母禮) 等 5百餘 仁義 降伏을 받아들였다. 다무라馬로는 그들을 교토로 데리고 돌아와, 本據地로 돌려보내어 남은 에미詩들의 마음을 돌리게 하자며 調整에 救命을 呼訴했지만, 교토의 貴族은 "이리와도 같은 그들의 野心은 飜覆을 자주 하므로 믿을 수 없다"며 反對, 結局 두 사람을 處刑하고 말았다. 엔랴쿠 22年( 803年 )에는 시바(志波) 城을 쌓았다.

엔랴쿠 23年( 804年 )에 다시 세이이타이쇼군으로 任命되어 세 番째의 遠征을 準備했지만, 이 해에 후지와라노 誤쓰구(藤原?嗣)가 "軍士를 일으키는 一과 土木工事로 百姓이 負擔을 느끼고 있다"며 反對했고, 干舞 天皇 (桓武天皇)도 이를 받아들이면서 遠征은 中止된다. 活躍할 機會를 잃었음에도 本來 臨時職에 不過했던 '세이이타이쇼군'이라는 稱號를 그 뒤로도 몸에 繼續 지닐 수 있었으며, 專攻에 힘입어 엔랴쿠 24年( 805年 )에는 參議(參議)의 班列에 올랐다. 다이土(大同) 元年( 806年 )에 주나곤(中納言) , 다이土 2年( 807年 )에는 藕根위大將에 任命되었다. 헤이제이 天皇 (平城天皇)의 名으로 다이土 元年( 806年 ) 후지산 모토미野 아사마 다이샤(富士山本宮淺間大社)를 지었으며, 또한 교토에 기요미즈데라 (?水寺)를 지었다고 傳해지는데, 이는 事實로 여겨지긴 하지만 절을 짓게 된 仔細한 事情에 對해서는 여러 가지 傳說이 있어 確實하지 않다.

고닌(弘仁) 元年( 810年 )에는 다이羅鯤鮞 되었다. 헤이제이(平城) 狀況 社가 天皇( 嵯峨天皇)李 對立하게 되자 다무라馬로는 狀況으로부터 헤이조(平城) 로의 環刀를 目的으로 한 操弓社(造宮使)에 任命되었지만, 以後 구스코(藥子)의 便에서는 社가 天皇을 도와, 아들 사카老우에노 히로노(坂上廣野)가 天皇의 名으로 오미 國의 關門을 封鎖하기 위해 派遣된 사이에 다무라馬로는 미노의 길을 따라, 헤이조쿄에서 脫出한 狀況이 도고쿠로 가서 軍士를 모으지 못하도록 邀擊하는 任務를 맡았다. 이때 다무라馬로는 天皇에 依해 獄에 갇혀 있던 옛 部下 勳야노 와타마로(文室綿麻呂)를 함께 데리고 갈 것을 天皇에게 奏請하여 許諾받았다. 結局 야마토(大和) 國 小에카美(添上) 君의 코시다노무라(越田村)에서 다무라마로에 依해 도고쿠로 갈 길이 막힌 것을 안 狀況은 結局 抛棄하고 헤이조쿄로 돌아와 出嫁한다.

고닌 2年( 811年 ) 5月 23日에 54歲의 나이로 病死했다. 社가 天皇 은 슬퍼하며 하루 동안 政務를 보지 않으면서 다무라마로를 기리는 漢詩를 지었다고 한다. 事後 種2位가 追贈되었다. 墓所는 只今의 日本 교토시 야마시나(山科) 區의 니시老야마(西野山) 告廟(古墓)로 推定되고 있는데, 야마시나 區 교토市立 卷數小學校의 北쪽에 '사카老우에노 다무라마로의 墓(坂上田村麻呂の墓)'라 새긴 碑石이 세워져 있으며 周邊은 公園으로 整備되고 있다.

헤이안 時代를 통틀어 뛰어난 武人으로서 尊崇되어 後代에 여러 가지 傳說을 낳았고, 日本에서는 敗戰 前까지 文(文)의 스가와라노 미치자네(菅原道眞) , 무(武)의 사카老우에노 다무라마로를 들며 文武의 象徵的 存在로 여겼다.

子息으로는 맏아들 오오노(大野)와 히로櫓를 비롯해 시즈노(淨野), 마사노(正野), 시게노(滋野), 쓰舊노(繼野), 쓰舊誤(繼雄), 히로오(廣雄), 다카오(高雄), 다카오카(高岡), 다카미치(高道)가 있었으며, 딸 하루코(春子)는 干舞 天皇의 비(妃)로서 街道이(葛井) 親王을 낳았다. 시게노나 쓰舊노, 쓰舊誤, 다카오, 다카오카는 《사카가미氏 啓導》에만 보이는데, 地方에 살면서 後世의 武士와 같은 者(字) [3] 를 自稱했다고 하지만 이는 後世의 加筆일 可能性이 있다. 교토에 살던 다무라마로의 子孫은 名法博士(明法博士)나 게比耳時代위(檢非違使大尉)로 任命되었다.

年譜 [ 編輯 ]

日本 年號 西曆 날짜 나이 事件
好키(寶?)
11年
780年 23歲 近位長감(近衛將監)이 되다.
엔랴쿠(延?) 4年 785年 11月 25日 28歲 情6位相(上)에서 種(從)5爲하(下)로 官位가 오름.
엔랴쿠 6年 787年 3月 22日 30歲 內臟兆(?匠助)를 겸하다.
9月 17日 30歲 近衛少將(近衛少將)이 되다.
엔랴쿠 7年 788年 6月 26日 31歲 에치고노스케(越後介)를 겸하게 되다.
엔랴쿠 9年 790年 3月 10日 33歲 에치고노카미(越後守)를 겸하다.
엔랴쿠10년 791年 1月 18日 34歲 軍士와 兵器의 點檢을 위해 도카이道(東海道) 에 派遣되다.
7月 13日 34歲 貞洞府使(征東副使)가 되다.
엔랴쿠 11年 792年 3月 14日 35歲 種5位相으로 官位가 오르다.
엔랴쿠12년 793年 2月 17日 35歲 貞洞府使가 정이부社(征夷副使)로 改稱되다.
2月 21日 36歲 戰爭을 앞두고 天皇을 謁見하다.
엔랴쿠 13年 794年 6月 13日 37歲 사카老우에노 다무라마로 以下가 에미時를 치러 나서다.
10月 28日 37歲 오오토모노 오토마로가 全勝을 報告하다.
엔랴쿠 14年 795年 2月 7日 38歲 種4威嚇로 오르다.
2月 19日 38歲 木工두(木工頭)를 겸하다.
엔랴쿠 15年 796年 1月 25日 39歲 무쓰ㆍ데와(出羽)의 按察使에 무쓰老카미를 겸하다.
10月 27日 39歲 眞髓將軍을 겸하다.
엔랴쿠 16年 797年 11月 5日 40歲 세이이타이쇼군이 되다.
엔랴쿠 17年 798年 尹5月 24日 41歲 種4位相으로 官位가 오르다.
7月 2日 41歲 교토에 기요미즈데라를 세우다.
엔랴쿠 18年 799年 5月 42歲 近位권중장(近衛權中將)이 되다.
엔랴쿠 19年 800年 11月 6日 43歲 여러 쿠니에 옮겨진 이父(夷?)를 檢校하다.
엔랴쿠 20年 801年 2月 14日 44歲 竊盜(節刀)를 下賜받다.
9月 27日 44歲 에미時를 쳐서 降伏시켰음을 報告하다.
10月 28日 44歲 교토로 돌아와 竊盜를 返還하다.
11月 7日 44歲 種3位로 오르다.
12月 44歲 近位中將이 되다.
엔랴쿠 21年 802年 1月 9日 45歲 무쓰에 理事와 城을 쌓기 위해 派遣되다.
1月 20日 45歲 道字(度者) 한 사람을 내려받다.
4月 15日 45歲 아테루이와 모레 等 5百餘 人이 降伏해오다.
7月 10日 45歲 아테루이와 모레를 데리고 교토로 들어오다.
엔랴쿠 22年 803年 3月 6日 46歲 지바 城을 쌓기 위한 使臣으로 派遣되기에 앞서 謁見하다.
7月 15日 46歲 兄夫頃(刑部卿)이 되다.
엔랴쿠 23年 804年 1月 28日 47歲 다시 세이이타이쇼군이 되다.
5月 47歲 敍事(西寺)를 짓는 公使의 長官(長官)을 兼任하다.
8月 7日 47歲 이즈미(和泉) 國 셋쓰(攝津) 國 에 行窮地를 定하기 위한 目的으로 미시마노 나쓰구(三島名繼) 等과 함께 派遣되다.
10月 8日 47歲 이오이노(藺生野)의 사냥에 시종하여 사냥한 것을 바치고 面(綿) 2百 斤을 받다.
엔랴쿠 24年 805年 6月 23日 48歲 酸氣의 班列에 오르다.
10月 19日 48歲 기요미즈데라의 땅을 下賜받다.
11月 23日 48歲 사카모토(坂本) 親王(親王)의 元服하는 자리에 參席해 옷을 下賜받다.
다이土 元年 806年 3月 17日 49歲 干舞 天皇의 崩御를 슬퍼하며 일어나지 못하는 皇太子를 다무라마로와 後자와라노 街道노마로(藤原葛野麻呂)가 부축해 내려오다.
4月 1日 49歲 후지와라노 오토모(藤原雄友)를 따라 干舞 天皇을 哀悼하는 腦(?)를 바치다.
4月 18日 49歲 주나곤이 되다.
4月 21日 49歲 中位大將(中衛大將)을 겸하다.
10月 12日 49歲 무쓰ㆍ데와에 臨時로 郡誌(郡司)와 君의(軍毅)를 임명할 것을 請하여 허락받다.
다이土 2年 807年 4月 22日 50歲 羽根위大將이 되다.
8月 14日 50歲 始終(侍從)을 겸하다.
11月 16日 50歲 兵部卿을 겸하게 되다.
다이土 4年 809年 3月 30日 52歲 情3位가 되다.
고닌 元年 810年 9月 6日 53歲 헤이조쿄의 操弓社(造京使)가 되다.
9月 10日 53歲 다이羅鯤鮞 되다.
9月 11日 53歲 구스코의 變을 鎭壓하기 위해 출격하다. 다음날 狀況이 도고쿠로 가는 것을 沮止하고, 蘭은 終結되다.
10月 5日 53歲 기요미즈데라에 人(印)을 내리다.
고닌 2年 811年 1月 17日 54歲 孫子 街道이 親王의 활 쏘는 技藝를 稱讚하다.
1月 20日 54歲 渤海(渤海) 의 使臣을 兆집원(朝集院)에서 맞아 잔치를 열다.
5月 23日 54歲 야마시로(山城) 國 의 구리타(粟田) 別宅(別宅)에서 死亡하다.
5月27日 야마시로 國 우지(宇治) 君의 詩齒槽쿠리타니시리(七條?田西里) 쿠리스무라(栗栖村)에 묻히다. 種2位에 追贈되다.
10月17日 墓를 쓸 땅으로 3梃(町)을 받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사카노우에씨계도(坂上氏系圖)》에는 둘째 아들, 《다무라마로電氣(田邑麻呂傳記)》에는 셋째 아들로 記載되어 있다,
  2. 阿?流爲라고 적은 것도 있다.
  3. 例를 들면 시게노가 '아다치故로(安達五郞)'를 自稱했다는 것 等이다.

外部 링크 [ 編輯 ]

前任
오토모노 오토마로
程頥大將軍
797年 ~ 801年 / 804年 ~ 810年
後任
勳야노 와타마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