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슴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사슴
말사슴(Cervus elaphus)
말사슴 ( Cervus elaphus )
生物 分類 ??
界: 動物界
文: 척삭動物門
江: 哺乳岡
목: 禹題目/境遇題目
亞目: 反芻亞目
과: 사슴과 (Cervidae)
Goldfuss, 1820
亞科
사슴의 分布

사슴의 分布

사슴 사슴과 (Cervidae) 動物의 總稱으로, 哺乳岡 禹題目/境遇題目 의 한 를 이룬다. [1] 一般的으로 사슴이라고 불리는 動物 外에도 노루 , 馴鹿 , 四不像 等이 사슴科에 包含된다. 韓半島에는 白頭山사슴 (와파티사슴의 滿洲亞種), 大陸사슴 (꽃사슴, 日本사슴), 노루 , 고라니 等 4種이 棲息한다.

[ 編輯 ]

몸의 크기는 몸길이 約 30cm, 어깨높이 約 20cm의 小型種에서부터, 몸길이 3.1m, 어깨높이 2.35m의 大型種까지 여러 가지이다( 붉은사슴 몸 250cm, 어깨 150cm, 무게 250kg). 다리는 길고 가늘며, 걸음이 빠르고 步幅도 넓어 잘 달린다. 발은 두 個의 가운데 발가락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덮개로 덮여 있다. 또 退化한 또 다른 발가락이 두 個 있는데 발굽보다 위쪽에 位置하고, 달릴 때는 全혀 쓰이지 않는다. 사슴은 소보다 머리가 좁고, 코와 입이 多少 작다. 입술은 쉽게 움직일 수 있어 입술로 먹이를 문다. 사슴은 大部分 앞니가 아래에만 있고, 위에는 거친 皮膚로 된 두꺼운 판이 있어 앞니를 代身한다. 잎이나 가지를 뜯을 때 아랫니가 이 두꺼운 판을 누르게 된다. 위아래의 어금니는 끝이 날카롭게 많이 갈라져서 먹이를 씹기에 좋다.

時刻은 좀 떨어지지만 聽覺과 嗅覺이 銳敏하여 危險을 잘 捕捉한다. 귀는 크고 곧게 서 있어 어떤 方向에서 오는 소리도 들을 수 있고, 소리나는 方向을 알아낼 수 있다. 사슴은 먹이를 먹을 때나 쉴 때 恒常 바람이 부는 쪽을 向하는데, 이는 바람에 실려 오는 捕食者의 소리를 듣고, 냄새를 맡기 위해서이다. 가지가 많은 수컷의 뿔은 사슴類의 큰 特徵의 하나이며, 소의 뿔과는 크게 다르다. 사슴의 뿔은 每年 4~5月 무렵 寄附의 뿔자리로부터 떨어져 나가고, 그 자리에서 새로운 對角이 돋아난다. 大覺은 벨벳模樣의 짧은 털로 덮인 皮膚에 싸여 있으며, 속에는 수많은 血管이 分布해 있다. 뿔이 發育하여 角質化가 끝나면 나무 等에 문질러 皮膚를 벗겨낸다. 뿔의 크기와 엄니의 發達과는 聯關이 있는 듯하다. 張大한 엄니를 갖는 고라니는 뿔을 갖지 않으며, 어떤 種은 뿔이 있어도 짧다. 다만 南아메리카에 分布하는 몇몇 種은 뿔이 작은데도 엄니의 發達이 나쁜 것도 있다.

生活 [ 編輯 ]

棲息地는 森林 · 濕地 · 草原 · 툰드라 等으로 다양하고, 부드러운 풀, 나무껍질, 작은 나뭇가지, 어린싹 等을 먹는다. 먹이는 充分히 씹지 않고 삼킨다. 사슴의 위는 네 部分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 中 하나는 飮食을 貯藏할 수 있어 많은 量의 먹이를 빨리 먹을 수 있다. 그리고 安全한 場所로 옮긴 後 貯藏한 먹이를 공처럼 덩어리로 꺼내 다시 씹은 後 먹이를 삼켜서 위의 다른 房으로 보낸다. 사슴은 銳敏한 感覺과 自身의 行動役에 對한 事前知識, 그리고 재빠른 行動으로 捕食者를 避한다. 健康한 사슴은 큰곰 , 虎狼이 , 豹범 , 스라소니 , 캐나다스라소니 , 퓨마 , 재규어 , 아시아獅子 , 유럽獅子 , 늑대 , 승냥이 等의 天敵보다 빠르다. 또한 놀라지 않는 限 사슴은 움직이지 않고 서서 捕食者가 지나가기를 기다린다. 사슴은 自身의 모습이 눈에 잘 띄지 않는 숲 周圍에서 새벽녘과 땅거미가 질 무렵에만 먹이를 찾아나선다. 大槪는 무리를 지어 살며, 아침·저녁으로 먹이를 取하고 낮에는 展望이 좋은 곳에서 休息한다. 危險이 닥칠 때는 궁둥이의 흰 털을 세워 다른 수컷에게 信號를 보내어 警告한다. 繁殖期에는 수컷끼리 뿔을 맞대고 激烈한 싸움을 벌이는데, 이 싸움에서 이긴 수컷은 數十 마리의 암컷을 거느리고 하렘을 形成한다. 種에 따라 6-9個月의 妊娠期間을 거쳐 한배에 한두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암컷은 새끼를 낳기 위해 다른 사슴 무리와 떨어진 곳에 隱身處를 定한다. 새끼 사슴은 걸어서 어미를 따라다닐 수 있을 때까지 그 곳에 숨어서 지낸다. 새끼는 生後 1年 동안 어미와 함께 生活한 뒤 獨立한다. 主로 北아메리카 , 南아메리카 , 아시아 , 유럽 全域에 分布한다.

利用 [ 編輯 ]

옛날부터 사람들은 사슴을 잡아 고기는 먹고, 털가죽으로는 옷을 해 입었다. 그러나 1980年代 後半에 들어 20種이 넘는 사슴이 滅種 危機에 處하게 되었다. 콜롬비아 흰꼬리사슴 , 키사슴 , 늪사슴 과 우리나라의 사슴을 包含한 아시아의 사슴들이 그렇다. 따라서 많은 나라에서 사슴 사냥을 禁止했고, 사냥禁止區域을 定했다. 그러나 사슴이 사는 많은 地域이 農地나 집터로 開發되고 있어 오늘날에는 사슴의 自然 棲息處를 破壞하는 것이 사슴 集團을 威脅하는 가장 큰 要因이다. 사슴고기 는 담백하고 軟하며, 별다른 냄새도 나지 않으므로 예로부터 食用으로 愛用되어 왔다. 고기맛은 가을부터 初겨울에 걸쳐 맛이 最高이고 主로 불고기·로스구이·전골料理를 해서 먹는다. 사슴의 뿔, 特히 大覺은 鹿茸 (鹿茸)이라 하는데 피를 돕고, 心臟을 剛하게 한다고 하여 韓方에서는 强壯劑로 貴重하게 쓰인다.

象徵 [ 編輯 ]

週期的으로 떨어지고 다시 솟아나는 수사슴의 뿔은 "生命의 나무"와 같다. [2] :15 그것은 自然의 法則을 反映하여 再誕生, 長壽, 性慾, 빛과 太陽 等을 뜻하는 普遍的인 象徵이다. [2] :15 핀란드의 民族敍事詩 〈 칼레발라 〉부터 켈트족 , 佛敎 , 中國 , 獨逸 , 스칸디나비아 , 스키타이 傳說, 그리스 神話 로마 神話 에 이르기까지 수사슴은 여러 文化의 神話에 登場하는 强力한 象徵이다. [2] :15

下位 分類 [ 編輯 ]

사슴과는 約 150種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目錄은 Randi, Mucci, Claro-Hergueta, Bonnet and Douzery (2001); Pitraa, Fickela, Meijaard, Groves (2004); Ludt, Schroeder, Rottmann and Kuehn (2004); Hernandez-Fernandez and Vrba (2005); Groves (2006); Ruiz-Garcia, M., Randi, E., Martinez-Aguero, M. and Alvarez D. (2007); Duarte, J.M.B., Gonzalez, S. and Maldonado, J.E. (2008) 等의 硏究를 바탕으로 作成되었다. 사슴과(Cervidae)는 다음과 같이 나뉜다:

系統 分類 [ 編輯 ]

다음은 2009年 스폴딩(Spaulding) 等의 硏究에 기초한 系統 分類이다. [3]

禹題目/境遇題目

駱駝科

前竄流
돼지亞目

페커리과

멧돼지科

警반추류
반추류

작은사슴과

眞반추류

가지뿔營養과

麒麟과

사슴과

小科

麝香노루과

敬賀馬形類/輕擾緇流

하마과

고래類

다음은 2012年 핫사닌(Hassanin) 等의 硏究에 기초한 系統 分類이다. [4]

사슴과
노루亞科
말코손바닥사슴族

말코손바닥사슴속

노루族

고라니속

노루속

흰꼬리사슴족

馴鹿속

남방푸두 ( 푸두속 )

팜파스사슴속

灰色마자마사슴 ( 마자마사슴속 )

안데스사슴속

늪사슴속

아마존褐色마자마사슴 ( 마자마사슴속 )

에콰도르붉은마자마사슴 ( 마자마사슴속 )

북방푸두 ( 푸두속 )

흰꼬리사슴속

마자마사슴속

사슴亞科
門着足

솔기머리사슴속

門착속

사슴足

바라싱加速

液시스사슴속

다마사슴속

四不像속

엘드사슴속

사슴속

各州 [ 編輯 ]

  1. Grubb, P. (2005). “FAMILY Cervidae” .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英語) 3板. 존스 홉킨스 大學校 出版社. ISBN   978-0-8018-8221-0 . OCLC   62265494 .  
  2. 主戰너 어르도 저, 이현철 驛, 《헝가리: 큐리어스 시리즈 47》휘슬러(2005), ISBN   89-90457-76-9
  3. Michelle Spaulding, Maureen A. O’Leary und John Gatesy: Relationships of Cetacea (Artiodactyla) Among Mammals: Increased Taxon Sampling Alters Interpretations of Key Fossils and Character Evolution. PlosOne 4 (9), 2009, S. e7062
  4. Alexandre Hassanin, Frederic Delsuc, Anne Ropiquet, Catrin Hammer, Bettine Jansen van Vuuren, Conrad Matthee, Manuel Ruiz-Garcia, Francois Catzeflis, Veronika Areskoug, Trung Thanh Nguyen und Arnaud Couloux: Pattern and timing of diversification of Cetartiodactyla (Mammalia, Laurasiatheria), as revealed by a comprehensive analysis of mitochondrial genomes. Comptes Rendus Palevol 335, 2012, S. 32?50

外部 링크 [ 編輯 ]

  • 위키生物種에 Cervidae 關聯 資料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