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브루스터 各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브루스터 各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브루스터 角으로 表面에 入射된 빛의 偏光.

브루스터 各 (또는 偏光角 )은 스코틀랜드의 物理學者 데이빗 브루스터 (Sir David Brewster, 1781年 ~ 1868年 )의 이름을 딴 光學 現象이다.

빛이 屈折率 이 다른 두 매질 사이를 지날 때, 普通 그 境界面에서 反射 가 일어난다. 하지만, 어떤 偏光 狀態의 빛이 特定한 入射角 으로 入社되면 境界面에서 反射되지 않는데, 이 特定한 入射角이 브루스터 各 이다.

이 角度에서는 偏光된 빛의 電氣場이 入社되는 平面과 나란하기 때문에 反射되지 않는 것이다. 이 偏光狀態의 빛은 p-偏光(p-polarized) 狀態라고 하는데, 入社되는 平面과 平行(parallel)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빛이 入射된 平面과 垂直한 狀態로 偏光되어 있다면 s-偏光(s-polarized) 狀態라고 하는데, 手織하다는 意味의 獨逸語 senkrecht에서 由來한 것이다. 따라서 무偏光 狀態의 빛이 브루스터각으로 入社되면, 反射된 빛은 恒常 s-偏光 狀態가 된다.

같이 보기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