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보어 戰爭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보어 戰爭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보어 戰爭(1880年 12月 20日 ~ 1881年 3月 23日, 1899年 10月 11日 ~ 1902年 5月 31日)
參戰國
英國
보어 共和國
캐나다
濠洲

보어 戰爭 ( 英語 : Boer Wars ) 또는 英國-보어 戰爭 ( 英語 : Anglo-Boer Wars )은 아프리카에서 宗團 政策을 推進하던 大英帝國 과 當時 南아메리카地域에 定着해 살던 네덜란드系 步語族 사이에 일어난 戰爭이다. 當時 英國의 植民地 膨脹에 맞서 일어난 아프리카너 들의 抵抗 中 代表的인 事例이다. 아프리카에서 벌어진 葛藤 中에 白人들 間의 葛藤에서 勃發된 戰爭이었다는 特徵이 있다.

背景 [ 編輯 ]

보어人 들은 南아메리카 地域에 移住해 온 네덜란드系 白人들이었다. 그러던 中 1795年 英國은 프랑스革命 中에 네덜란드로부터 보어의 땅을 빼앗았다. [1] 이로인해 1857年頃에는 南아메리카에서 유럽人이 統治하는 政治的 統合體가 8個가 存在하게 된다. 오라녜 自由國 , 트랜스발 의 南아메리카 共和國, 라이덴버그, 위트레흐트, 죠禹판스버그의 5個는 보어人들의 國家였고, 나머지 3個 地域의 케이프植民地, 나탈 , 英國領 카피라리아는 英國人들이 統治하였다. 英國 政府의 努力으로 1858年 라이덴버그와 위트레흐트가 統合되고 죠禹판스버그도 統合을 受諾하면서 1860年에는 조그만 共和國들이 남아프리카공화국에 統合되었다. 그러나 케이프 植民地의 조지 그레이 總督은 南아메리카의 聯邦化에 對한 積極的인 支持를 담은 報告書를 提出하고 英國政府의 應答을 기다리지도 않고 케이프 植民地 議會가 聯邦參與를 위한 오랜지 自由國의 要求를 友好的으로 받아들일 것을 要求했다. [2] 이런 獨斷的인 決定으로 財政 赤字를 걱정하던 英國 植民地 事務所의 上官들은 憤怒했으며 結果的으로 英國 政府의 統合 政策은 難關에 부딪힌다. [3]

나탈 地域의 境遇 英國 政府에 依해 보어人들의 憤怒를 일으킨 事例이다. 英國 政府의 支配를 받고있던 보어人들은 南아메리카의 原住民들과 摩擦을 일으키게 된다. 英國은 移住民들을 無視하는 政策으로 紛爭에 對한 負擔을 줄이려 하였고 이는 보어人들이 혼란스러운 狀況에 놓이게 하였다. 그리고 나탈에 있던 移住者들은 共和國 組織을 構成하였으나 領土 問題와 土地 分配에 對해 問題를 가지고 있었고 이로인해 英國 當局의 介入을 歡迎하게 되었다. 보어人들은 英國 政府와 英國 法律을 認定하는 한便 統治權을 維持한다는 妥協案을 締結하였으나 英國의 約束 不履行으로 1845年 나탈은 合倂되었다. 이로 인해 많은 보어人들은 失望하며 떠나게 되었다. [2]

英國과 보어人들의 關係는 南아메리카 共和國 合倂으로 더욱 惡化되었다. 1877年 4月 正式으로 合倂이 이루어지자 보어人들은 어느때 보다 더욱 不安해 하고 곤란해졌다. 1879年 12月 6000名 以上의 보어人들은 班데르폰테인에서 英國 當局과 協力한 者에 對한 反對, 合倂 前 共和 國旗揭揚 그리고 國民議會가 開催되어야 한다는 決定을 내린다. 그러나 빅토리아 女王이 英國의 統治地域 抛棄를 强力하게 反對하였고 黨의 博愛主義者들이 아프리카人들이 보어人들의 抑壓과 統治를 받는 것을 反對하며 보어人들의 不滿이 深化된다. [2]

結局 1880年 트랜스발 獨立戰爭이 일어나면서 보어 戰爭이 勃發한다.

보어 戰爭의 進行 [ 編輯 ]

第1次 보어 戰爭 [ 編輯 ]

마주바 戰鬪

英國 帝國 步語族 사이의 첫 紛爭으로 第1次 英國-보어 戰爭 또는 트란스발 戰爭으로도 불린다. 1880年 12月 16日 에 勃發하여 1881年 3月 23日 에 平和條約이 締結되면서 終戰되었다. 平和條約에 따라 英國은 1852年 1854年 에 세워진 트란스발 共和國 오라녜 自由國 (Oranje Vrystaat)의 獨立을 認定하였다. 相對的으로 規模가 크지 않은 局地戰 이었다. 步語族은 트란스발 共和國과 오라녜 自由國 을 만들어 定着하였고 以後 이곳에서 다이아몬드와 금이 多量 發見되었다. 代表的인 戰爭으로는 마주바 戰鬪가 있다. 마주바 戰鬪로 인해서 英國軍은 134名이 부상당하고 92名이 死亡한다. 이 戰鬪 以後 英國 政府는 協商에 應했다. [2]

第2次 보어 戰爭 [ 編輯 ]

理智 판 者일

1次 보어 戰爭 으로 獨立이 認定된 트란스발 共和國 오라녜 自由國 (Oranje Vrystaat)의 聯合軍이 英國 帝國 과 싸운 戰爭 이다. 英國 帝國은 第1次 보어 戰爭을 통해 트란스발 共和國과 오라녜 自由國 에 對해 獨立을 認定하였는데, 以後 트란스발 共和國과 오라녜 自由國 地域에서 다이아몬드 鑛山과 光이 發見되면서 英國과 紛爭이 發生하고, 보어人이 先制 攻擊한 1899年 10月 11日 에 勃發하여 1902年 5月 31日 에 英國 帝國이 勝利함으로써 終結되었다. 이 戰爭의 結果로 트란스발 共和國과 오라녜 自由國 의 領土는 英國 帝國의 植民地 가 되었다. 第1次 보어 戰爭에 比해 相對的으로 大規模로 치러진 戰爭이며 波及 效果도 컸기 때문에, 一般的으로 '보어 戰爭'은 이 戰爭을 가리키는 境遇가 많다. 第2次 보어 戰爭에서는 英國의 보어人들에 對한 殘酷한 行爲가 나타난다. 英國은 焦土化 政策을 施行하면서 强制收容所를 設置한다. 焦土化 政策으로 인하여 보어人들의 居住 및 普及 基盤을 除去하였고 더불어서 집에 남아있던 보어人 婦女子들을 强制收容所에 집어넣은 것이다. 에밀리 홉하우스 는 强制收容所의 劣惡함과 悲慘함을 目擊하고 報告書를 作成하여 英國에 퍼뜨린다. 이 過程에서 그女는 理智 판 자일이라는 어린 少女가 죽어가는 모습을 담게되었고 英國을 비롯해 國際 社會에 큰 反響을 일으켰다.

結果 및 意義 [ 編輯 ]

보어 戰爭으로 인해서 結局 트랜스발 共和國과 오라녜 自由國 모두 英國에게 倂合된다. 結果的으로는 英國의 勝利였지만 피로스의 勝利 라고 할 수 있는 結果였다. 英國은 보어 戰爭을 勝利했지만 엄청난 死傷者와 資本 支出이라는 代價를 치뤘다. 나아가 英國 兵士들의 초라한 成果는 本國에서 英國人의 身體的 健康에 對한 論難을 惹起했다. 이 걱정은 1904年 議會가 體力 低下를 다룰 部處 間 合同 委員會를 設置할 程度로 深刻했다. [4]

보어 戰爭 自體는 南아메리카 變更에서 種族 間에 벌어진 싸움이었다. 그러나 英國과 아프리카너 의 衝突이 單純히 局地的인 意味만을 가지지 않고 全 世界에 影響을 미치는 衝突이라는 點을 많은 사람들이 분명하게 認識했다.

이 戰爭을 英國 聯邦의 國家들은 大體로 英國 帝國을 위해 奉仕할 機會로 여겼다. 實際로 캐나다와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出身의 白人 兵士들은 英國軍과 함께 싸웠다. 그러나 아일랜드에서는 自身들을 聯邦의 一部가 아닌 植民地로 認識했기 때문에 英國의 兵力募集에 反對하는 運動이 일어나기도 하였다. 게다가 南아메리카에 居住했던 아일랜드人들 多數는 아프리카너들과 함께 英國에 맞서 싸웠다. 이러한 아프리카너의 民族主義는 明白히 프로테스탄트의 神學的 土臺를 지녔음에도 1920年代와 그 以後까지도 아일랜드 民族主義에 影響을 준 重要한 準據點이었다. [4]

英國에 抵抗한 아프리카너의 奮鬪는 러시아와 獨逸의 民族主義者, 프랑스語圈 캐나다의 分離主義者, 카를 카우츠키 같은 著名한 마르크스주의자의 支持를 얻었다. 러시아는 1899年 諜報員을 南아메리카로 派遣했고 아프리카너 軍隊에 對해 러시아 將校들이 願하는 情報를 蒐集했다. 또한 中國에도 아프리카너의 熱望이 큰 影響을 미쳤다. 이러한 鬪爭은 中國人 觀察者들이 滿洲國의 性格과 中國人다움의 民族的 性格, 政治와 國家 間의 關係를 熟考할 수 있는 政治的 거울 役割을 하였다. [4]

英國은 이 戰爭으로 인해 世界 輿論의 攻擊을 받았다. 하지만 南아메리카는 세실 로즈 의 白人 優越主義를 이어받아 아파르트헤이트(Apartheid)라는 人種差別政策을 維持했다.

各州 [ 編輯 ]

  1. “보어戰爭 火焰 뒤에서 웃은 ‘죽음의 武器商人’” . 2019年 10月 12日 . 2022年 10月 20日에 確認함 .  
  2. 김윤진 (2006年 3月 13日). 〈7〉. 《南아메리카의 歷史》. 명지出版社. 165-168,193-195,쪽.  
  3. “Sir George Grey | South African History Online” . 2022年 10月 20日에 確認함 .  
  4. Emily S. Rosenberg (2021年 10月 30日). 〈3〉. 《A World Connecting: 1870?1945 (A History of the World)》. Belknap Press: An Imprint of Harvard University Press. 445-448쪽.  

기타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