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生成文法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生成文法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變形生成文法 에서 넘어옴)

生成文法 (生成文法, 英語 : generative grammar ) 또는 變形生成文法 (變形生成文法, 英語 : Transformational Generative grammar )은 統辭論 의 여러 理論 中 하나이다. 이는 形式言語 의 接近法을 統辭論 硏究에 適用한 것으로 露巖 촘스키 에 依해 始作되었으며 形式文法 理論의 影響을 받았다. 生成文法은 自然語 의 이미 만들어진 表現들을 繼續的으로 "만들어내는"(specify or generate) 一種의 規則들의 集合이다.

生成文法은 1950年代 末에 노엄 촘스키 가 創案하였다. 初期에 이 理論은 變形文法(Transformational Grammar)이라고 불리었고, 只今도 촘스키의 學說에 限해 變形文法으로 通稱되는 境遇가 있다. 現在 生成文法이라는 名稱은 여러 對立하는 學說의 總稱으로 쓰이고 있다. 촘스키의 現在 學說은 최소주의 (Minimalism)라고 불린다. 그 外에 核中心句構造文法 (Head-drive Phrase Structure Grammar), 語彙機能文法 (Lexical Functional Grammar), 範疇文法(Categorial Grammar), 關係文法(Relational Grammar), 連結文法(Link Grammar), 수形接合文法(Tree-Adjoining Grammar) 等이 흔히 擧論되는 生成文法의 主要 學說이다.

촘스키는 生成文法의 主要 構成要素들이 "內在的" 普遍文法 의 構成要素라고 主張한다. 生成文法家들은 大部分 文法의 여러 屬性들이 意思疏通의 便宜나 言語 習得 環境과 無關하게 人間이 生得的으로 가지고 있는 認知能力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觀點은 認知文法 이나 機能主義 및 行動主義 言語學의 觀點과는 對立되는 것이다.

生成文法家들은 文章이 正門 아니면 碑文의 두 가지로 兩分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하여 生成文法의 規則들은 어떤 文章이 正門인지 아닌지를 豫測하고 判別하는 알고리듬을 提供하는 것을 目標로 하게 된다. 이러한 立場은 文法性을 連續的인 範疇로 把握하는 推計文法家(Stochastic Grammarian)들의 생각과 크게 對立된다. 다만 브레즈넌 等의 一部 生成文法家는 推計적 接近法을 使用한 硏究를 試圖하기도 한다.

理論 틀 [ 編輯 ]

生成文法의 테두리 안에는 여러 다양한 理論 틀이 存在한다. 이들은 一定 數의 規則 或은 原理의 集合으로 自然言語의 모든 適格한 文章을 算出하는 것을 目標로 한다는 共通點이 있다. 生成文法이라는 槪念 안에는 大體로 다음과 같은 學說들이 包含된다.

  • 變形文法(Transformational Grammar, TG)
    • 標準 理論(Standard Theory, ST)
    • 擴大 標準 理論(Extended Standard Theory, EST)
    • 修正 擴大 標準 理論(Revised Extended Standard Theory, REST)
    • 原理와 媒介變因 理論(Principles and Parameters Theory, P&P)
      • 支配 結束 理論(Goverment and Binding Theory, GB)
      • 최소주의 프로그램(Minimalist Program, MP)
  • 單層位的(非變形) 文法
    • 關係文法(Relational Grammar, RG)
    • 語彙機能文法 (Lexical Functional Grammar, LFG)
    • 一般化句構造文法(Generalized Phrase Structure Gramamr, GPSG)
    • 核中心句構造文法 (Head-driven Phrase Structure Grammar, HPSG)
    • 範疇文法(Categorial Grammar)
    • 수形接合文法(Tree-Adjoining Grammar, TAG)


生成文法의 歷史的 變遷 [ 編輯 ]

生成文法論은 1950年代 後半부터 硏究가 始作되었으며 規則과 表示法에 많은 變化를 겪었다.

標準 理論(1957-1965) [ 編輯 ]

標準 理論이란 촘스키(1965)가 提案한 模型을 가리킨다. 標準 理論에서는 文章의 標示 層位를 深層 構造와 表層 構造로 兩分하였다. 深層 構造의 文章은 變形 規則에 따라 表層 構造의 文章으로 導出된다.

擴大 標準 理論(1965-1973) [ 編輯 ]

擴大 標準 理論에서는 다음과 같은 槪念들이 使用되었다.

  • 通史的 制約
  • 一般化 舊 構造 (엑스-바 理論)

修正 擴大 標準 理論(1973-1976) [ 編輯 ]

修正 擴大 標準 理論에서는 다음과 같은 槪念들이 使用되었다.

  • 엑스-바 理論의 制約
  • 補文子(COMP)
  • 알파 移動

關係 文法(1975-1990) [ 編輯 ]

關係文法은 촘스키注意 理論에 對抗하여 주어, 直接目的語, 間接目的語 等의 文法關係를 核心的인 槪念으로 使用하여 硏究된 文法이다.

一般化句構造文法(1978-1987) [ 編輯 ]

一般化舊構造文法은 촘스키注意 理論에 對抗하여 變形規則 없이 句構造規則만으로 모든 適格한 文章이 算出 可能하다는 假說에 立脚하여 硏究된 文法이다.

支配 結束 理論(1981-1990) [ 編輯 ]

支配 結束 理論은 修正 擴大 標準 理論의 後身으로 放漫하게 提案되었던 規則의 數를 整理하고 限定된 數의 下位 部門으로 最大限 많은 文法現象을 說明하고자 하는 試圖였다. 支配 結束 理論의 下位 部門들은 다음과 같다.

  • 엑스-바 理論
  • 支配 理論
  • 結束 理論
  • 意味役 理論
  • 格 理論
  • 統制 理論
  • 許可 理論

語彙機能文法(1982-現在) [ 編輯 ]

語彙機能文法 은 촘스키注意를 벗어나 成分構造에 모든 文法機能을 反映하여 解釋하는 觀點 代身 文法機能救助(f-structure)와 成分構造(c-structure)를 서로 다른 層位에서 바라보는 觀點을 採擇한 文法이다.

核中心句構造文法(1987-現在) [ 編輯 ]

核中心句構造文法 은 一般化句構造文法의 後身으로 語彙部(lexicon)와 構文(construction)의 機能을 더욱 强調하게 된 것이 特徵이다.

최소주의 프로그램(1990-現在) [ 編輯 ]

최소주의 프로그램은 支配 結束 理論의 後身으로 完壁性(perfection)과 經濟性(economy)을 文法 技術의 目標로 하는 文法 技術 試圖이다. 여기서는 支配 結束 理論의 槪念들이 다음과 같이 修正되었다.

  • 엑스-바 理論이 範疇 未標示 舊 構造(Bare Phrase Structure)로 變更
  • 深層 構造와 表層 構造 區別의 廢棄
  • 支配 槪念의 廢棄
  • 論理形式部와 音聲形式富의 統合(Spell-Out)
  • 局面(Phase) 槪念의 導入

같이 보기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