氾濫原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氾濫原 (氾濫原)은 沖積地型 中에서 가장 普遍的인 地形이다. 氾濫原은 河川의 兩쪽의 平坦하고 낮은 地形으로 構成物質은 上流에서 바다로 運搬되다가 河川의 汎濫에 依해 一時的 또는 永久的으로 現在의 位置에 쌓여 있게 된 것이다. 넓은 氾濫原은 大槪 河川의 下流에 發達한다. 韓半島 沖積平野의 大部分은 氾濫原이며 後氷期 海水面 上昇과 더불어 빙기의 浸蝕谷이 河川의 土沙로 매립되어 發達하였다. 그래서 沖積層은 매우 두껍고 沖積地의 海拔高度는 5~10m로 매우 낮으며 自然堤防과 背後濕地가 뚜렷하게 나타난다. 氾濫原은 거의 논으로 利用되고 있으며, 밭, 果樹園, 牧場, 林野 等으로 利用되고 있는 周邊 丘陵地와는 뚜렷하게 區別된다.

自然堤防과 背後濕地 [ 編輯 ]

氾濫原은 河川의 汎濫과 密接한 關係가 있는 地形이다. 洪水時에 하도를 넘어 汎濫한 물은 流速이 激減하여 運搬하던 物質을 그 자리에 쌓게 되는데 于先 모래와 실트 같이 粒子가 比較的 크고 무거운 物質을 河川 量案에 쌓아 知面이 若干 높은 自然堤防을 形成한다. 自然堤防의 뒤에는 相對的으로 高度가 낮은 背後濕地가 形成되는데 主로 粘土가 堆積되어 있다. 넓은 氾濫原은 背後濕地가 自然堤防보다 훨씬 넓은 面積을 차지한다. 氾濫原은 河川의 下方 浸蝕이 衰弱하여 平坦해진 오랜 縱斷面型 地形에서 곧잘 나타난다. 이 境遇 물줄기가 자주 바뀌면 하중도 牛角湖 等의 地形이 되기도 한다.

自然堤防은 比較的 높고 모래와 실트 成分이 많아 洪水의 被害가 적고, 排水가 잘 되므로 일찍이 밭·果樹園 等으로 利用되고 聚落이 發達하였다. 그래서 氾濫原 中에서 自然堤防만 農耕地로 利用되는 곳이 적지 않다. 뒤쪽의 背後 濕地는 地帶가 낮아 洪水 가 나면 이내 沈水되고, 粘土로 構成되었을 뿐 아니라 地下水位가 높아 排水가 잘 되지 않는다. 背後濕地는 元來 水草가 자라는 늪으로 이루어져 있어 農耕地로 利用되는 自然堤防과는 그 景觀이 쉽게 區別된다. 그러나 우리나라와 같은 人口稠密地域에서는 人工的으로 拜手하고 堤防을 쌓아 洪水를 防止하면서 大部分 肥沃한 農耕地로 開墾되었다. [1]

後氷期 海水面의 上昇과 氾濫原의 形成 [ 編輯 ]

大部分의 氾濫原은 그 沖積層의 두께가 洪水時에 河床이 파일 수 있는 깊이보다 훨씬 두껍다. 特히 河川 下流에서는 氾濫原의 너비가 河川이 曲流하면서 側方浸蝕 및 側方堆積에 依해 넓혀질 수 있는 너비보다 훨씬 넓은 것이 普通이다. 이는 汎世界的인 現象으로 빙기에 海水面이 下降하였을 때 夏穀이 깊이 파인 다음 後氷期의 海水面 上昇과 더불어 夏穀이 沖積層으로 埋立되면서 形成되었기 때문이다. 最後 빙기가 絶頂에 達했을 때의 海水面은 現在보다 100m 以上 낮았으며, 約 18,000年 前부터 다시 上昇하기 始作하였다.

氾濫原의 自然堤防과 背後濕地는 後氷期 海水面 上昇과 더불어 氷河의 浸蝕谷이 沖積層으로 埋立되는 過程에서 形成된 것이다. 約 18,000年 前부터 海水面이 上昇하면서 洪水가 자주 일어나게 되었고 이에 따라 氾濫原이 漸次 위로 成長할 때 河川 量案을 따라서는 土沙의 集中的인 堆積으로 紙面이 빨리 높아져 自然堤防이 形成되고, 土沙의 流入이 적은 背後는 高度가 낮아 濕地로 남게 된 것이다. [2]

背後濕地의 開墾 [ 編輯 ]

背後濕地는 一般的으로 大河川 下流로 流入하는 작은 支流의 골짜기에 發達한다. 이러한 背後濕地는 常習 沈水地域으로 洪水時에 大河川에서 물이 逆流하여 土沙를 運搬 堆積한다. 韓江의 境遇 뚝섬은 全體的으로 自然堤防, 그 뒤에 있는 중랑천 下流의 장안평은 背後濕地로 常習沈水地域이었다. 海拔高度는 뚝섬이 10~12m, 長安坪이 8~9m였다. 韓半島의 背後濕地는 20世紀에 들어와서 開發되어 自然狀態로 남아있는 것을 찾아보기가 어려워졌다. 曲流하던 河川을 直講化하고 大河川 本流와 만나는 곳에는 빗물펌프場 設置로 洪水時 逆流를 防止하여 背後濕地를 農耕地나 다른 用途로 開墾한 것이다.

다만, 韓半島의 自然的인 內陸 濕地 中에서 가장 넓은 慶南 昌寧의 우포는 過去에 비하여 相當히 줄어들었지만 아직 保存狀態가 良好한 便이다. 우포는 討平千 골짜기의 背後濕地로서 洪水時에는 洛東江의 물이 逆流한다. 隣近에 철새의 渡來地로 알려진 주남 貯水池는 背後濕地를 利用하여 灌漑用 또는 排水用 貯水池로 만든 것이다. [3]


各州 [ 編輯 ]

  1. 권혁재 (1995). 《自然地理學》. 법문사. 395쪽. ISBN   89-18-25012-5 |isbn= 값 確認 必要: checksum ( 도움말 ) .  
  2. 권혁재 (1991). 《地形學》. 법문사. 118쪽.  
  3. 권혁재 (1996). 《韓國地理 總論便》. 법문사. 70쪽. ISBN   89-18-25022-3 .  

參考 資料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