反實在論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分析哲學 에서의  反實在論 (反實在論)이라는 말은 어떠한 事物의 客觀的 實在性을 否定하는 立場, 또는 檢證超越的인 言明의 眞僞를 묻는 것을 否定하는 立場을 가리키며 쓰인다. 後者의 立場은 때때로 「P에 對해서 眞僞를 묻는 行爲에 關한 事實 따위는 없다」라는 形態로 表現된다. 그렇기에, 他人의 마음, 過去, 未來, 普遍 , (自然水 같은) 數學的 實體, 倫理的 範疇, 物質的 世界, 또는 事故(思考)에 對해서조차 反實在論을 論할 수 있다. 위의 두 가지 說明은 分明히 다르다고 할 수 있지만, 種種 混同된다. 이를테면, 他人의 마음의 存在를 否定하는 「反實在論者」(獨我論子·幼兒論者)는 「觀測不可能한 他人의 마음의 存在를 묻는 形便에 對해서 事實 따위는 없다」라는 「反實在論者」(論理的 行動主義者)와는 조금도 닮지 않는다...

哲學 [ 編輯 ]

이 말은, 마이클 더밋 이 「實在論」이라는 論文 속에서  唯名論 , 槪念實在論 觀念論 현상주의  따위를 包含하는 古典的 哲學議論을 再檢討하는 過程에서 導入된 것으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더밋이 考案해낸 이 手法의 斬新함은  數理哲學  分野에서 直觀主義 와  플라톤주의 (플라톤的 觀念實在論) 中 어느 쪽에 서야하는가를 둘러싸고 벌어졌던 論爭과 이러한 論議를 比較的으로 본 데 있었다. 直觀主義者(數學的 對象에 關한 反實在論者)들에 따르면, 數學的 言明의 眞理性은 스스로가 그것을 證明할 수 있는 能力에 依存하며, 플라톤주의者(實在論者)들에 따르면, 수할적 言明의 眞理性은 客觀的 實在와의 一致에 依存한다. 그렇기에, 直觀主義者들에게 있어서는 「P 또는 Q」라는 形態의 言明은 스스로가 P를 證明할 수 있는지, 또는 Q를 證明할 수 있는 境遇에만, 참으로 한다. 이것은  宣言 (選言)的 性質( 英語 : disjunction property )이라고 불린다. 特히, 言明 P를 證明도 反證도 할 수 없는 境遇가 있기 때문에, 一般的으로 「P 또는 P가 아님」은 참이다( 排中律 )를 主張하는 것은 不可能하다. 마찬가지로, 直觀主義者들은 古典論理 에서의 存在性質( 英語 : existence property )의 缺如(φ가 內包하는 言辭 t의 例를 하나도 들 수 없다고 해도 ∃x,φ(x)를 證明할 수 있음)에 反對한다. 더밋은 古典的 形態에서의 여러 反實在論의 根底(根底)에는  眞理 에 對한 直觀主義的人 思考方式이 潛在하여 있다고 論한다. 그는 이 反實在論이라는 思考方式을 利用하면서 現象注意를 再解釋하여, 그것이 (擁護할 수 없다고 種種 여겨지는)  還元主義 라는 形式을 갖추지 않아도 成立한다고 主張한다.

科學哲學 에서는 反實在論은 主로  電子 와 같은 「觀測不可能한」 實體의 非實在性에 關한 主張에 適用되고 있다. 그들의 實體는 人間의 一般的 感覺器官으로는 검指할 수 없음에도, 大部分의 사람들은 그것들이 實在한다고 主張한다.  아가사 (阿迦舍)에는 이러한 反實在論과 實在論을 比較한 簡潔한 의론이 있다. [1]   이언 해킹  亦是 이와 같이 定義하고 있다. [2]  科學哲學에서 反實在論者의 立場은 때때로 道具主義 , 卽 觀測不可能한 (또는 間接的으로만 觀測可能한) 實體의 存在에 對하여 單純히 機能主義 的인 觀點을 取하는 立場이라고 생각된다. 機能主義的인 觀點을 取하면, X는 理論Y 內部에서 作用하는 範圍에서만 存在하며, 그 範圍를 넘어 무언가 存在論 敵人 主張을 해서는 안된다.

文藝 [ 編輯 ]

文藝 ( 視覺藝術 文學 , 音樂,  따위의)에서는 反實在論이나 反寫實主義(反寫實主義)라는 말은 위의 哲學的 表現 中 어느 하나의 意味로 쓰이거나, 또는 單純히 實在論, 寫實主義(그것이 어떠한 意味이든)와의 比較로서 쓰이는 境遇가 있다. 그렇기에 視覺藝術에서의  超現實主義 에는 反實在論的인 傾向이 있으며, 또한 1960年代에 美國에서 자주 보인  사이키델릭 밴드는 「反實在論的」이었다. 이들의 述語(術語)는 藝術에 應用될 때에는 哲學的인 것에 對해서 이야기하는 境遇와 比較해서는 正確함에 있어서는 뒤떨어진다고 여길 수 있다. 反실재性이라는 말도 이 뜻으로 쓰일 때가 있으나, 또다른 뜻으로 쓰이는 일도 있다.

各州 [ 編輯 ]

  1. Samir Okasha (2002). Philosophy of Science: A Very Short Introduction . Oxford University Press, ch. 4.
  2. Ian Hacking (1999). The Social Construction of W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