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박영희 (僧侶)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박영희 (僧侶)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박영희 (朴暎熙, 日本式 이름: 赫田元雄, 1893年 ~ 1990年 2月 6日 )는 大韓民國 佛敎 僧侶 獨立運動家 이다. 법명 응송 (應松)이다.

生涯 [ 編輯 ]

全羅南道 莞島 出身이다. 大韓帝國 軍隊 解散 에 反撥했다가 莞島로 流配온 軍人 황준성 을 만난 것을 契機로 義兵 運動에 뛰어들었다. 內亂 嫌疑로 類型 10年을 宣告받은 황준성은 1908年 流配地에서 義兵을 일으켰다. 朴英熙는 이때 16歲의 나이로 황준성 部隊에 加擔했다. 그러나 義兵은 日本軍 에 敗退하였으며 황준성은 逮捕, 處刑되었고, 朴英熙는 몸을 避해 살아남았다.

2年 동안 避身 生活을 하던 中 1910年 海南郡 大興寺 에서 出嫁했다. 大興寺 共匪生으로 서울의 中央學林에 留學해 있을 때인 1919年 3·1 運動 이 勃發했다. 朴英熙는 3月 1日 擧事 當日 탑골 公園 示威에 앞장섰다. 全南 地域으로 내려가 故鄕 莞島에서도 示威를 組織할 수 있도록 準備하는 等 積極的인 加擔이었다.

3·1 運動 騷擾 事件 嫌疑者로 指目되면서 다시 몸을 避해 이番에는 滿洲 로 갔다. 滿洲에는 武裝 鬪爭을 위한 新興武官學校 가 세워져 있었는데, 朴英熙는 中央學林의 學歷을 인정받아 1個月의 特別 敎育을 거쳐 將校로 任官했다. 그러나 魔的과의 戰鬪 中 負傷을 입고 歸國했다.

歸國 後 1920年 부터 約 8年間 大興寺에서 設立한 私立學校인 長春普通學校에서 夫人과 함께 敎師로 勤務했다. 1928年 에는 2年 後 中央佛敎專門學校 로 昇格되는 佛敎傳受學校에 入學하였다. 朴英熙는 이 學校에 在學하면서도 佛敎界의 代表的인 獨立運動 組織으로 한용운 을 따르는 靑年 僧侶들이 組織한 滿堂 에 加入해 黨員이 되는 等 獨立運動의 뜻을 꺾지 않았다.

1931年 中央佛敎專門學校 第1回 卒業生으로 學校를 卒業하고 大興寺로 돌아와 監務를 맡았다. 1936年 朝鮮佛敎中央敎務員 理事로 選出되었으며, 이 무렵부터는 中央 佛敎界의 幹部를 두루 맡으면서 朝鮮總督府 의 政策에 協助하는 親日 僧侶로 變身했다. 當時 總督 우가키 가즈시게 는 心田開發 運動이라는 이름으로 皇民化 前段階의 洗腦 作業을 試圖했다. 이때 朴英熙는 全南 地域에서 心田開發 巡廻講演을 벌이며 이 運動을 支援했다.

1937年 에는 大本山 大興寺의 住持로 就任하였고, 그해 中日 戰爭 이 勃發하자 곧바로 國威宣揚 務安裝具 起源 法要라는 時局 行事를 두 次例에 걸쳐 擧行했다. 募金 運動도 竝行하여 1938年 4月 1日 까지의 集計에 따르면 315원 38錢과 慰問袋 12個를 獻納했다. 朴英熙는 佛敎界가 日本軍을 慰問하러 派遣한 北支皇軍위文壇에게 直接 祝電을 보내기도 했다.

中日 戰爭이 繼續되면서 1周年, 2周年을 期해 大興寺에서는 慰問金을 獻納하는 等 戰爭 支援은 繼續되었다. 太平洋 戰爭 末期인 1944年 에는 佛敎界가 힘을 합쳐 日本軍에게 두 番째 飛行機를 바치자는 決定이 내려졌다. 全國의 査察이 總動員되어 飛行機값 마련을 위한 募金 運動에 나섰으며, 이때 大興寺 본·말사는 1,512원을 모아 納付했다.

光復 後에도 中央監察院長을 맡는 等 佛敎界의 元老로 活動했다. 1954年 帶妻僧 과 比丘僧의 葛藤이 불거지자 大興寺 곁에 白花蛇라는 작은 절을 짓고 起居하며 比丘僧 側과 對立했다. 文化 硏究와 著述로 餘生을 보내다가 1990年 光州 의 庵子에서 98歲의 나이로 死亡했다.

事後 [ 編輯 ]

獨立有功者로 認定을 받아 1990年 建國訓長 애족장을 받았으며, 大田 國立墓地에 安葬되었다.

2005年 民族問題硏究所 에서 친일인명사전 에 收錄하기 위해 整理한 친일인명사전 收錄豫定者 名單 中 宗敎 部門에 選定되었다.

賞勳 [ 編輯 ]

같이 보기 [ 編輯 ]

參考資料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