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박술희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박술희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박술희
(朴述熙/朴述希)
在位 901~918
在位 918~945
이름
술喜(述熙,述希)
시호 嚴의(嚴毅)
廟號 未詳
身上情報
出生日 871年
出生地 彗星群
死亡日 945年 10月 24日
死亡地 江華郡
父親 博得의 (朴得宜)
母親 未詳
配偶者 未詳
子女 박정원 (朴精元)
宗敎 佛敎
軍事 經歷
忠誠 對象 高麗
主君 太祖 (太祖)
服務 高麗軍

박술희 (朴述熙/朴述希 [1] , 871年 ~ 945年 10月 24日 ( 陰曆 9月 16日 ) [2] )는 新羅 末期~ 高麗 初期의 武臣으로, 本貫은 免賤 이며, 免賤 朴氏 의 始祖이다. 諡號는 嚴의(嚴毅)이다. [3]

行跡 [ 編輯 ]

家族關係·性向 [ 編輯 ]

《高麗史》에서는 아버지는 大勝(大丞) 博得의(朴得宜)이며, 天性으로 勇敢했으며, 肉食을 좋아해 땅강아지 두꺼비 , 개미 라도 먹었다고 記錄되어 있다. 아들로는 박정원(朴精元)이 있다. [3]

軍隊 經歷 [ 編輯 ]

彗星(現在의 忠淸南道 唐津市 면천면 )의 豪族 出身으로 18살 때인 889年 弓裔 의 護衛兵이 되고, 뒤에 王建 의 麾下로 들어와 그를 섬겨 많은 功을 세워 두터운 信任을 얻어 對光(大匡)李 되었다. [3] 王建의 아들 왕무 를 정윤(王太子)로 冊封할 때, 莊和王后 가 王建의 意中을 박술희에게 傳達하게 하여, 왕무가 정윤이 되었으므로, 박술희가 왕무의 後見人이 되었다는 點을 알 수 있다. [3] [4]

935年 에는 甄萱 을 탈출시키기 위한 作戰의 一環으로 보이는 羅州 奪還 作戰에 鴻儒 와 더불어 支援하였으나 百姓의 마음을 얻기 힘들다는 것을 理由로 王建은 그들 代身, 유금필 을 派遣하였다. [5] 943年 太祖 가 死亡하기 直前에 太祖로부터 軍國大事(軍國大事)를 付託받고, 訓要十條 (訓要十條)를 傳授받았으며, [6] 自身의 軍事 力을 바탕으로 惠宗 의 强力한 後援者가 되었다.

權力 鬪爭 [ 編輯 ]

그러나 以後 豪族 勢力과 王權, 그리고 왕규의 亂 사이에 얽힌 複雜한 權力 鬪爭은 政治家가 아니라 軍人이었던 박술희에게는 버거운 것이었다. 惠宗의 勢力 基盤은 微弱하였고, 異腹同生인 定宗 光宗 은 外할아버지의 勢力인 忠州 豪族 勢力과 왕식렴 을 中心으로 한 書經 勢力의 支援을 받아 强力한 勢力을 갖고 있었다. 여기에 外戚 왕규 도 王位를 奪取하려 했다. 太祖 가 아니면 維持되기 힘들었던 高麗 初期의 不安한 政治 狀況은 박술희에게 影響을 주었다. 權力 鬪爭의 過程에서 박술희는 正宗과 그를 支持하는 書經 勢力에 依해 强化 甲串으로 귀양을 가게 되어, 얼마 後 調整의 密命을 받은 刺客에 依해 殺害당했다. [2]

賞勳과 追慕 [ 編輯 ]

事後 太史 三重大匡(太師三重大匡)에 追贈되었으며, [3] 惠宗 의 廟庭(廟庭)에 配享되었다. [7]

박술희가 登場한 作品 [ 編輯 ]

電氣 資料 [ 編輯 ]

  • 《高麗史》 卷92, 〈列傳〉5, 박술희

各州 [ 編輯 ]

  1. 《高麗史》에서 두 表記가 混用되고 있다.
  2. 《高麗史節要》 卷2, 惠宗 2年(945年) 9月 16日(己酉)
  3. 《高麗史》 卷92, 〈列傳〉5, 박술희
  4. 《高麗史》 卷88, 〈列傳〉1, 長靴王后 吳氏
  5. 《高麗史》 卷92, 〈列傳〉5, 유금필
  6. 《高麗史》 卷2, 〈勢가〉2, 太祖 26年(943年) 4月
  7. 《高麗史》 卷3, 〈勢가〉3, 成宗 13年(994年) 4月 23日(甲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