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바라타族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바라타族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바라타族
바라타族을 包含한 初期 리그베다 部族의 印度 移住를 描寫한 指導.
民族 印度아리아人
地域 라비강
後裔 쿠루族
言語 베다 산스크리트語
宗敎 브라만교
近緣 不足 야다바族

바라타族 ( 산스크리트語 : ???? ??? )은 紀元前 第2千年期 後期에 存在했던 初期 베다 不足이다. [1] [2] [3]

바라타族이 가장 初期에 言及된 場所는 아프가니스탄 南部의 첫 番째 사라스바티江 에 있었다. 部族의 王 디보다使가 이끄는 바라타族은 힌두쿠시山脈 을 통해 移動하여 삼바라를 패배시켰다. 디보다사의 後孫인 수다스 푸壘族 이 이끄는 聯合과의 十王戰鬪 에서 이겼고, 그 後 리그베다 讚歌들의 初期 編輯이 遂行되었다. 戰鬪 後에, 바라타族과 다른 푸壘族은 마침내 印度 歷史上 最初로 證明된 國家인 쿠루 王國 을 形成했다.

어원 [ 編輯 ]

바라타(Bharata)라는 이름은 "運搬子"를 意味하는 印度이란語派 單語에서 由來하였다. [4] [5]

歷史 [ 編輯 ]

두 바라他人인 데바스라바 바라타와 데바바타 바라타는 아파야, 사라스바티江 과 드리사드바티江 隣近에 살고 있는 것으로 言及된다. [6]

데바바타의 아들 스린자야 다이바바타는 투르바사族을 무찌렀고, 바라시카의 브리키反트族을 무찌른 아브野바르틴 車야마나와 함께 言及된다. 이 戰鬪는 오늘날 아프가니스탄 東部의 하리乳皮野江과 野브야바티강(오늘날의 조브강)에서 일어났다. [6] [7] [8] [9] [10] [11] [4] 사라스바티 에게 보내는 讚歌에 따르면, 그女는 바드리야스바를 도와 인색한 사람, 外國人, 神들의 侮辱子, 險談子, 그리고 브리사야의 아들들을 물리쳤다고 한다. 비첼은 브리사野라는 이름이 非印度아리아 系統의 이름이라고 指摘하고, [12] [4] 파르폴라는 그 이름이 박트리아-마르기아나 考古學的 複合體 의 言語에서 왔다고 提示한다. 그는 브리사野가 이 地域의 世襲 王政이었으며 알렉산드로스 大王 時代까지 存在했다고 主張한다. [13] 게다가, 詩人은 사라스바티江 을 떠나지 않으려는 마음을 表現한다. [6] [7] [13] [14] 두 가지를 言及하는 두 讚歌 모두 바라드바자에 起因하고 있다. [7]

族長 디보다사 아티티그바가 바라타族을 이끌고 北西쪽에서 印度 亞大陸 과 隣接한 힌두쿠시山脈 을 通過해 移動했다. [9] [15] 디보다사는 遠征 40年째 가을에 原住民 山地 酋長인 샴哱囉의 요새 中 99個를 破壞한 後 이를 擊破했다. [9] [13] 디보다사 治下에서 바라타族은 野頭足 , 투르바蛇足과 敵對했으며, [16] 디보다사의 同盟으로는 프라스吐카, 아스바타 및 스린子夜의 아들이 있었다. 學者들은 스린子夜의 아들이 프라打쇼카 또는 아스바타와 다른 사람인지에 對해 意見이 紛紛하다. [6] [9] 몇몇 리그베다 詩人들은 디보다사와 바라드바자 사이의 後援者-顧客 關係를 言及한다. 守護트라 바라드바자의 讚歌에 따르면 바라드바자는 디보다사와 함께 삼바라와의 戰鬪에 參與했다. 또 다른 讚歌에서 가르가 바라드바자는 디보다사와 그의 同僚들이 바라드바자에 寄附한 膳物을 列擧하며, 그中에는 샴바라에서 掠奪한 戰利品의 一部도 包含되어 있다. [17] [7]

수다스 파이자바나 (디보다사의 後孫) [9] [6] 와 그의 푸로히타 비슈바미트라 街티나의 統治下에서 바라타族은 非파스江과 수투드리江(오늘날의 베아스강과 수틀레지江)을 건넜다. [9] 나중에 푸로히타의 자리는 비슈바미트라에서 바시슈打로 代替되었다. [7]

十王 戰鬪 [ 編輯 ]

이윽고 바시슈打는 푸壘族과 함께 바라他族에 對抗하여 싸웠지만, 수다스와 바시슈打의 指導 아래 트리秋-바라타 聯合이 다사라즈나 戰鬪에서 勝利한다. [18] 戰鬪의 첫 番째 段階는 쿠루크셰트라 西쪽 마累샤 近處의 파루쉬니강(只今의 라비강 ) 流域에서 벌어졌다. [18] [19] 主要 敵對者는 의심스럽고 [a] 戰鬪에 參與한 部族들의 이름은 이름의 音韻學的 變形으로 因해 推定하기 어렵다. [18] [21] [22] 바라타族과 싸운 不足 聯合의 有力한 勢力으로는 푸壘族 , 野頭足 , 야크手足, 마츠야족 , 드루遺族, 파크他族 , 발라나족, 알리나족, 비샤닌족, 시바族, 바이카르나족, 아누族 等이 있다. [18] [21]

讚歌에서 여러 番 强調되었듯이 數字로 보면 不平等한 戰鬪처럼 보이지만 수다스는 江에 있는 (自然的인) 堤防을 戰略的으로 뚫고 大部分의 敵들을 溺死시킴으로써 不足 同盟에 맞서 決定的으로 勝利했다. 베다 神話에 따르면 이 勝利는 바시슈打의 詩學에 依해 祝福이 確保된 바라타族의 守護神 인드라 의 慈悲와 戰略에 起因한다. [18] [22]

以後 全長은 아마도 야무나 江둑으로 옮겨갔고, 그곳의 地域 族長인 베다는 아자족, 時그라族, 야크手足 等 3個 部族과 함께 바라他族에게 敗北했다. [18] [22]

餘波 [ 編輯 ]

十王 戰鬪는 바라타族이 사라스바티講을 中心으로 한 푸壘 領土(西部 펀자브) 全體를 占領하고 東쪽으로의 移動을 完了하는 結果를 가져왔다. [18] 수다스는 北쪽과 東쪽, 西쪽에서 오는 敵들로부터 自由로운 領土의 樹立을 記念하기 위해 아슈바메다 儀式을 擧行하여 勝利를 自祝했다. 그는 如前히 南쪽의 칸다바 숲에 籍을 두고 있었는데, 그곳에는 蔑視받는 非人道아리아系 不足인 키카他族이 살고 있었다. [18]

푸壘族과 바라타族 사이의 政治的 再編成은 아마도 곧 뒤따랐을 것이며 不足 聯合의 다른 派閥도 包含했을 것이다. 이것은 리그베다의 核心 컬렉션이 兩側의 氏族 讚歌를 눈에 띄게 特徵으로 하는 方式에서 드러난다. [23] [18]

리그베다에는 수다스의 後孫이나 그를 繼承한 바라타 族長에 對한 明確한 言及이 없다. [24] 바라타族은 結局 쿠루 王國 으로 進化하였지만 리그베다 와 다른 베다 들 사이의 時間 差異로 인해 쿠루 王國으로의 履行에 對한 記錄은 없다. [25] [26]

後期 文學의 遺産 [ 編輯 ]

敍事詩 마하바라타에서 쿠루族의 祖上은 바라타 皇帝가 되며, 그의 統治者이자 王國은 바라타라고 불린다. [27] 마하바라타에 言及된 바라타族은 野頭足의 四寸인 푸壘族의 下位 氏族인 쿠루族이다. [28] 바라타는 오늘날 印度 共和國 의 正式 名稱으로 使用되고 있다. [29]

註解 [ 編輯 ]

  1. 카를 프리드리히 겔드너는 그것을 베다라고 잘못 생각했다. 비첼은 트라사다시유를 提示하며, 팔리하와다나는 트라사다시留意 아버지인 푸壘쿠타를 提示한다. [20]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 Thomson Gale   |題目= 이(가) 없거나 비었음 ( 도움말 )
  2. , Allen Lane; Penguin Press [Romila Thapar Romila Thapar] |url= 값 確認 必要 ( 도움말 )   |題目= 이(가) 없거나 비었음 ( 도움말 )
  3. [Michael Witzel Michael Witzel] |url= 값 確認 必要 ( 도움말 )   |題目= 이(가) 없거나 비었음 ( 도움말 )
  4. Witzel 1999 .
  5. Witzel, Michael (1999b). “Early Sources for South Asian Substrate Languages”. 《Mother Tongue》: 3.  
  6. Palihawadana 2017 .
  7. Jamison & Brereton 2014 .
  8. Macdonell, Arthur Anthony; Keith, Arthur Berriedale (1912). 《Vedic Index of Names and Subjects》. John Murray. 380쪽.  
  9. Witzel 1995a .
  10. Gonda, Jan (1975). 《A History of Indian Literature: I.1 Vedic literature (Sa?hit?s and Br?hma?as)》. Otto Harrassowitz. 130쪽.  
  11. Witzel, Michael (2000). 〈The Home of the Aryans〉. Hintze, A.; Tichy. 《Anusantatyai : Festschrift fur Johanna Narten zum 70. Geburtstag》. Dettelbach: Roll. 34쪽.  
  12. Witzel, Michael (2001). “Autochthonous Aryans? The Evidence from Old Indian and Iranian Texts.” (PDF) . 《Electronic Journal of Vedic Studies》 7 : 23. doi : 10.11588/ejvs.2001.3.830 .  
  13. Parpola 2015 .
  14. Velankar, H. D. (1942). “Divod?sa Atithigva and the other Atithigvas” . 《Annals of the Bhandarkar Oriental Research Institute》 23 (1/4): 659. JSTOR   44002604 .  
  15. Parpola, Asko (2015). 《The Roots of Hinduism: The Early Aryans and the Indus Civilization》 . Oxford University Press. 94쪽. ISBN   978-0-19-022693-0 .  
  16. Velankar 1942 .
  17. Sarmah, Thaneswar (1991). 《The Bharadv?jas in Ancient India》.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7?8쪽. ISBN   81-208-0639-5 .  
  18. Witzel, Michael (1995). 〈4. Early Indian history: Linguistic and textual parametres〉. Erdosy, George. 《The Indo-Aryans of Ancient South Asia: Language, Material Culture and Ethnicity》. Indian Philology and South Asian Studies (英語). De Gruyter. 85?125쪽. doi : 10.1515/9783110816433-009 . ISBN   978-3-11-081643-3 .  
  19. Brereton, Joel P.; Jamison, 編輯. (2020). 《The Rigveda: A Guide》. Oxford University Press. 34쪽. ISBN   9780190633363 .  
  20. Palihawadana 2017 , 51쪽.
  21. Schmidt, Hans-Peter (March 1980). “Notes on Rgveda 7.18.5?10”. 《Indica》 17 : 41?47. ISSN   0019-686X .  
  22. Brereton, Joel P.; Jamison, 編輯. (2014). 《The Rigveda: The Earliest Religious Poetry of India》 I . Oxford University Press. 880, 902?905, 923?925, 1015?1016쪽. ISBN   9780199370184 .  
  23. Witzel, Michael (1997). “The development of the Vedic canon and its schools: the social and political milieu” : 263, 267, 320. doi : 10.11588/xarep.00000110 . 2021年 8月 12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21年 4月 15日에 確認함 .  
  24. Witzel 1995a ; Palihawadana 2017 .
  25. Witzel 1995b .
  26. B. Kolver, 編輯. (1997). 《Recht, Staat und Verwaltung im klassischen Indien》 [Law, State and Administration in Classical India] (獨逸語). Munchen: R. Oldenbourg. 27?52쪽.  
  27. Julius Lipner (2010) "Hindus: Their Religious Beliefs and Practices.", p.23
  28. National Council of Educational Research and Training, History Text Book, Part 1, India
  29. Article 1 of the English version of the Constitution of India : "India that is Bharat shall be a Union of States."

參考 文獻 [ 編輯 ]

  • Jamison, Stephanie; Brereton, Joel (2014). 《The Rigveda: The Earliest Religious Poetry of India》. Oxford University Press.  
  • Palihawadana, Mahinda (2017). “The Indra Cult as Ideology: A Clue to Power Struggle in an Ancient Society”. 《Electronic Journal of Vedic Studies》 24 (2): 19?166. doi : 10.11588/ejvs.2017.2.2667 .  
  • Witzel, Michael (1995a). 〈?gvedic history: poets, chieftains and polities〉. Erdosy, George. 《The Indo-Aryans of Ancient South Asia: Language, Material Culture and Ethnicity》. De Gruyter.  
  • Witzel, Michael (1999). 〈Aryan and non-Aryan Names in Vedic India. Data for the linguistic situation, c. 1900-500 B.C〉. Bronkhorst, J.; Deshpande. 《Aryans and Non-Non-Aryans, Evidence, Interpretation and Ideology.》 3 . Harvard Oriental Series, Opera Mino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