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미하일 7歲 두카스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미하일 7歲 두카스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미카일 7歲 에서 넘어옴)

미하일 7歲
Μιχα?λ Ζ? Δο?κα?
로마인의 皇帝 및 前提者
在位 1071年 5月 22日 - 1078年 3月 24日
前任 로마노스 4歲
後任 니케抛루스 3歲
身上情報
出生日 1050年 頃
死亡日 1090年 (40歲)
家門 두카스 王朝
父親 콘스탄티노스 10歲
母親 에右度키兒 마크렌步리티社
配偶者 알라니아의 마리아
宗敎 東方 正敎會
미카엘 7歲 주화

미하일 7歲 두카스 ( 그리스어 : Μιχα?λ Ζ? Δο?κα?, 1050年 ? 1090年 )는 1071年 부터 1078年 까지 東로마 皇帝 였다. 別稱은 爬羅피나케스 ( Parapinak?s , 4分의 1이란 뜻)였다.

미하일 두카스는 콘스탄티노스 10歲 두카스 皇后 에右度키兒 마크렌步리티社 의 맏아들로 콘스탄티노스가 皇帝에 오르기 前에 1050年 頃에 태어났다. 아버지 콘스탄티노스가 1067年 죽자 그는 아직 스스로 帝國을 統治하기 힘든 나이였고 政治에 全혀 關心이 없었기 때문에 어머니 에右度키아가 代身 帝國을 다스렸다.

1068年 1月 1日 에右度키아가 로마노스 4歲 디오豫니스 와 結婚함으로써 로마노스가 皇帝가 되었고 미카엘은 다른 두 동생과 함께 名目上 共同 皇帝로 되었다. 1071年 여름, 로마누스가 滿池케르트 戰鬪 에서 알프 아르瑟란 이 이끄는 셀주크 帝國 君에게 大敗하고 捕虜로 잡혔는데 그의 三寸 요한네스와 스승인 미카엘 프셀로스 는 로마누스를 廢位하고 皇后 에右도키아를 修女院에 幽閉시킨후 미카엘을 正式 皇帝로 삼았다. 셀주크 투르크의 捕虜에서 풀려난 로마누스는 미카엘의 帝位를 認定하지 않고 軍隊를 모아 콘스탄티노폴리스 로 進擊했는데 結局 敗하고 實名의 刑罰을 받았고 그로 인해 생긴 傷處로 죽었다.

미하일의 治世는 처음부터 混亂의 連續이었다. 1072年 불가리아에서 叛亂이 일어난 것을 起點으로 곳곳에서 叛亂이 줄을 이었고 1073年 셀주크 투르크가 滿池케르트의 승리에 對한 補償을 要求하며 아나톨리아로 進軍해 들어왔다. 西方敎會 는 漸漸 더 帝國의 領土로 勢力을 擴張했고 帝國 本土의 物價는 엄청나게 올라서 貨幣價値가 1/4로 내렸기 때문에 미카엘의 別名이 "4分의 1"(爬羅피나케스)李 되었다.

미하일은 心弱하고 無能했고 宦官 니케捕吏체스의 손아귀에 左之右之 되었다. 니케捕吏체스는 프셀루스와 요한네스 두카스를 몰아내고 邪惡한 政治를 펼쳤다. 또한 노르만族 용병대장人 루셀이 叛亂을 일으켰는데 이를 沮止하기 위해 셀주크를 끌어들여 結局 셀주크의 아나톨리아 支配를 鞏固히 하게 만드는 失策을 저질렀다.

1077年 11月 將軍 니케포로스 브리엔니오스는 아드리아노폴리스 에서 皇帝를 自稱하고 거의 同時에 帝國의 東쪽에서도 니키포로스 洑타니아티스 도 아나톨리아에서 叛亂을 일으켰다. 이듬해 3月 치솟는 物價로 因해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暴動이 일어났고 미하일은 帝位에서 쫓겨나고 修道院에 幽閉되었다. 나중에 그는 에페소스 大主敎가 되었고 1090年 警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죽었다.

같이 보기 [ 編輯 ]

外部 링크 [ 編輯 ]

前任
로마노스 4歲 디오豫니스
(1068- 1071)
東로마 帝國의 皇帝
1071年 - 1078年
後任
니케抛루스 3歲
(1078 - 10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