묠니르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바이킹 時代 의 묠니르 펜던트. 크기는 約 4.6 센티미터이고 銀에 金鍍金을 했다. 스웨덴 욀란드섬 에서 發見되었다.

묠니르 ( 古代 노르드어 : Mj?llnir [?mj?ln??r] →박살내는 것 )는 노르드 神話 의 천둥神 토르 의 망치이다. 묠니르는 産을 平地로 만들 수 있는, 노르드 神話에서 가장 무시무시한 武器 中 하나이다. [1] [2] [3] 스노리 스투를루손 에 따르면 新드리 브록크 라는 드베르그 兄弟가 이 망치를 만들었다고 한다.

어원 [ 編輯 ]

노르드어 낱말 Mj?llnir 묠니르['mj?lːnir] 는 13世紀가 되면 古代 아이슬란드語 文獻에서 Mjøllnir 묄니르['mjœlːnir] 로 變한다. [4] 現代 아이슬란드語 形態는 Mjolnir 이며, 노르웨이와 덴마크에서는 Mjølner , 스웨덴에서는 Mjolner 라고 한다.

"묠니르"의 語源은 게르만 造語 *meldunjaz 이며, 그 語根은 "갈아 빻다"라는 뜻의 *malanan 이다. *melwan 은 "밀가루"라는 뜻이며, 古代 아이슬란드語로는 meldr, mj?ll, mj?l 이라고 한다. 노르드어 mala 말라 , 고트語·고대 高地獨逸語·고대 색슨語 malan 는 리투아니아語 mal?, malti , 라트비아語 maiu , 古代 敎會 슬라브語 melj? , ml?ti , 古代 아일랜드語 melim , 그리스어 μ?λλω , 라틴語 mol? 와 比較할 수 있으며, 이것들은 모두 "갈아 빻다"라는 뜻이다. 산스크리트語 ?????? 므르나티mr????ti 는 "박살내다, 으깨다, 쳐죽이다"라는 뜻이다. [5] 卽 "묠니르"는 "갈아 빻는 것, 박살내는 것"이라고 解釋할 수 있다.

出戰 [ 編輯 ]

엘머 보이드 스미스 의 1902年 그림. 두 드베르그가 묠니르를 만들고 있다. 戰警에는 굴린부르스티 스키드블라드니르 , 궁니르 가 보인다. 背景에서 웃고 있는 者는 로키 .

고 에다 [ 編輯 ]

토르는 두 마리 鹽素 탕그리스니르와 탕그뇨스트 가 모는 戰車 , 革帶 메깅要르드 , 무쇠 掌匣 野陵그레이프 를 가지고 있는데, 묠니르를 들어올리기 위해서는 野陵그레이프를 껴야 한다. 묠니르는 토르의 冒險談들 中 몇몇 境遇의 中心 素材가 된다.

이러한 事實은 《 고 에다 》 中 〈 스륌의 敍事詩 〉에 明確하게 言及된다. 巨人 스륌 이 묠니르를 훔쳐가서는 돌려받고 싶거들랑 女神 프레이야 를 自己 新婦로 내놓으라고 要求한다. 묠니르를 되찾아 오기 위해 로키 는 다른 에시르 와 共謀하여 토르를 프레이야로 變裝시키고 스륌에게 데려간다. 結婚式 披露宴 자리에서 스륌은 夫婦의 結合을 象徵하기 위해 "新婦"의 무릎에 묠니르를 올려놓는다. 그러자 토르는 變裝을 찢어발기고 묠니르를 집어들어 스륌을 비롯해 結婚式에 모인 巨人들을 모조리 쳐죽여 버렸다.

新 에다 [ 編輯 ]

묠니르의 起源에 對한 이야기는 《 新 에다 》 中 〈 詩語法 〉에 나온다. [6]

드베르그 理髮디의 아들들 오딘 의 窓 궁니르 , 프레이 의 倍 스키드블라드니르 를 만들었는데, 로키 가 다른 드베르그 新드리 (또는 에이트리 )와 브록크 兄弟를 만나 그들은 理髮디의 아들들의 發明品보다 더 멋진 物件을 만들어내지 못할 것이라고 壯談하며 自己 머리를 건다.

新드리와 브록크는 로키의 내기를 받아들여 作業을 開始한다. 新드리는 돼지 가죽을 로(爐)에 집어넣고 동생에게 自己가 그만하라고 할 때까지 繼續 풀무 質을 하라고 指示한다. 파리 로 遁甲한 로키가 브록크의 팔을 물어뜯으면서 妨害하지만 브록크는 繼續 풀무질을 했다.

그리하여 神드리는 빛나는 털을 가진 멧돼지 굴린부르스티 를 뽑다냈다. 그 뒤 新드리는 로 속에 黃金을 집어넣고 브록크에게 다시 같은 指示를 내린다. 파리로 遁甲한 로키가 다시 이番에는 브록크의 목을 물어뜯으며 妨害한다. 이番에도 브록크는 妨害를 뿌리치고 繼續 풀무질을 했고, 돌아온 申드리는 9日마다 여덟 倍로 불어나는 오딘의 半指 드라우프니르 를 뽑아낸다.

마지막으로 神드리는 무쇠를 로 속에 집어넣고 브록크에게 풀무질을 絶對 멈추지 말라고 指示한다. 세 番째로 찾아론 로키는 이番에는 브록크의 눈꺼풀을 물어뜯는다. 너무 세게 물어뜯은 나머지 피가 새어나왔고, 눈에 피가 들어간 브록크는 눈을 닦느라고 풀무질을 잠깐 멈추고 말았다. 暫時 뒤 돌아온 申드리는 로 속에서 묠니르를 꺼냈다. 그러나 브록크가 풀무질을 멈춘 바람에 묠니르의 손잡이가 너무 짧아져서 한 손으로밖에 들 수 없게 되었다.

망치 손잡이에 瑕疵가 있음에도 不拘하고 新드리 兄弟는 내기에서 이기고 로키의 머리를 가질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로키는 그들이 가진 것은 自身의 머리 뿐이지 목은 가지지 못했으므로 머리를 목에서 베어낼 수 없다고 우겼다. 그러자 브록크는 로키의 입을 꿰메어 그 입을 닥치게 만들었다.

遺物 [ 編輯 ]

스웨덴 禹플欄드 의 So 86 룬돌 에 나타난 망치 그림.

게르만족 大移動 時代 [ 編輯 ]

바이킹 時代 以前에 나타나는 묠니르의 痕跡은 民族 大移動 時代 알레만니 에 關한 記錄에서 나타난다. 로마인들은 알레만니의 度나르 神의 象徵을 헤라클레스의 棍棒 과 同一視했다. [7]

바이킹 時代의 符籍 [ 編輯 ]

노르웨이 호르달란 에서 發見된 망치 模樣 銀製 符籍.

스칸디나비아 全域에서 9世紀에서 11世紀 사이에 萬드렁眞 묠니르 符籍 50餘 個가 發見되었다. 이들이 가장 흔하게 發見된 곳은 基督敎 의 影響이 剛하게 미친 노르웨이 南部, 스웨덴 東南部, 덴마크 等地이다. [8] 묠니르는 基督敎의 十字架 와 類似하게 생겼기 때문에, 當代 스칸디나비아를 蠶食해 오던 基督敎에 對한 反抗的 行爲로 묠니르 符籍을 목에 매고 다니는 行爲가 流行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9]

英國 요크셔에서 發掘된 紀元後 1000年頃의 묠니르 펜던트는 言셜 自體 와 十字架가 새겨져 있는데, 이는 이 펜던트의 基督敎徒 主人이 게르만 異敎와 基督敎의 象徵物을 融合시켜 使用했음을 보여준다. [10]

덴마크 有틀欄드 에서 發見된 10世紀의 同席 거푸집은 十字架를 만들 수도 있고 묠니르를 만들 수도 있다. 이 거푸집을 使用한 대장장이는 基督敎도 顧客과 異敎徒 顧客을 모두 相對하면서 利文을 올린 것으로 보인다. [11] 아이슬란드 布施에서 發見되어 現在 아이슬란드 國立博物館 에 所藏 中인 銀으로 된 遺物은 十字架처럼 보이기도 하고 묠니르처럼 보이기도 한다. 特異하게도 이 遺物의 가늘고 긴 十字팔 끝은 짐승(아마 늑대로 推測됨)의 머리 模樣으로 마감되어 있다.

2014年 덴마크의 롤란드 섬에서 發見된 遺物에는 Hmar x is 라는 글字가 새겨져 있다. 이는 “이것은 망치다”라는 뜻으로, 이러한 種類의 펜던트가 망치를 表現한 것임을 正確히 알 수 있게 하는 情報가 담긴 最初의 遺物이다. [12] 다만 "망치"의 正確한 綴字는 hmar 가 아니라 hamar 이다. 이는 唯物의 製作者가 글을 제대로 깨우친 사람이 아니었음을 알 수 있게 한다. [13]

바이킹 時代의 名文 [ 編輯 ]

덴마크와 스웨덴 南部에서 發見된 몇 點의 巖刻畫 들과 룬돌 들 中에는 망치가 새겨진 것들이 있다. 그 例示로는 U 1161 , So 86 , So 111 , So 140, Vg 113 , Ol 1 , DR 26 , DR 48 , DR 120, DR 331 等이 있다. [14] [15] 망치가 새겨져 있지 않아도 토르 가 이 돌을 守護해 주실 것을 祈願하는 內容이 새겨진 룬돌들도 있다. 덴마크 非링에서 發見된 돌에는 þur uiki þisi kuml 투르 餘이키 티시 쿠믈 이라는 名文이 새겨져 있는데, 이는 토르에게 이 記念物을 바친다는 뜻이다. 類似한 內容의 名文이 새겨진 돌이 여러 個 있는데, 모두 토르에게 돌을 바친다거나 토르가 어떤 특정한 物件을 守護해 주시기를 祈願하는 內容이 새겨져 있다. 이러한 名門들은 하나님이 亡者를 保護해 주실 것을 祈願하는 基督敎徒들에 對한 對應의 次元에서 製作된 것들로 보인다. [16]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Højbjerg, Martin (2011?2014). “Norse Mythology: Items of the Gods and Goddesses” . Norse Mythology . 2014年 5月 21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4年 6月 17日에 確認함 . Mjolnir is one of the most fearsome weapons, capable of leveling mountains. Thor's hammer can hit any target. After the target is hit, the hammer will return to Thor's right hand all by itself. The hammer can send out lightning bolts.  
  2. Campbell, Hank (2013年 2月 19日). “Is Thor Mighty Or Just Magic?” . Science 2.0 . 2014年 6月 17日에 確認함 . Science 2.0 fave Dr. Neil Tyson recently tried to bring back the 'Thor is really strong' concept by stating 'If Thor's hammer is made of neutron-star matter, implied by legend, then it weighs as much as a herd of 300-billion elephants' which means only someone really strong could lift it. Of course, it also means it would be changing Earth's gravitational field...  
  3. Barnett, Laura (2011年 5月 22日). “Another View on Thor: Hammer supplier Amanda Coffman sizes up the mystical properties of Mjolnir in Kenneth Branagh's Thor” . 《 The Guardian 》 (London: Guardian News and Media) . 2014年 6月 17日에 確認함 . Mjolnir is so powerful it can level entire mountains. I can't imagine any of our hammers doing that, but some models are pretty strong: they're used for breaking up concrete, knocking paving slabs into place, and in the manufacture of cars and aeroplanes. There's a little leather strap on Thor's hammer, too, for attaching it to his wrist. I'm not sure why that's there, really. None of our hammers have that. Thor doesn't even use his.  
  4. mj?llnir in GKS 2367 4º ( Codex regius , early 14th century), 29 8 , 94 20 ; ed. Olafur Halldorsson 1982, Finnur Jonsson 1931. Dictionary of Old Norse Prose Archived 2015年 3月 7日 - 웨이백 머신 (University of Copenhagen).
  5. Grimm, Deutsches Worterbuch ; Derksen (2008), Etymological Dictionary of the Slavic Inherited Lexicon , p. 307.
  6. The Prose Edda , translated by Arthur Gilchrist Brodeur (1916). Þa gaf hann Þor hamarinn ok sagði, at hann myndi mega ljosta sva stort sem hann vildi, hvat sem fyrir væri, at eigi myndi hamarrinn bila, ok ef hann yrpi honum til, þa myndi hann aldri missa ok aldri fljuga sva langt, at eigi myndi hann sækja heim hond, ok ef þat vildi, þa var hann sva litill, at hafa matti serk ser. En þat var lyi a, ar forskeftit var heldr skammt.
  7. Werner: "Herkuleskeule und Donar-Amulett". in: Jahrbuch des Romisch-Germanischen Zentralmuseums Mainz , Nr. 11, Mainz, 1966.
  8. Turville-Petre, E.O.G. Myth and Religion of the North: The Religion of Ancient Scandinavia . London: Weidenfeld and Nicolson, 1964. p. 83. A recent discovery of a specimen took place in 2012 in Denmark (part of the Strandby Hoard ); a pendant necklace in silver of Thor's Hammer discovered during an archaeological dig last year Danish museum officials said Thursday May 16, 2013 that an archaeological dig last year has revealed 365 items from the Viking era, including 60 rare coins. Associated Press Archived 2014年 8月 8日 - 웨이백 머신 , May 2013; strandbyskatten.dk/thors-hammer-fra-skatten Archived 2013年 12月 2日 - 웨이백 머신 .
  9. Ellis Davidson, H.R. (1965). Gods And Myths Of Northern Europe , p. 81, ISBN   0-14-013627-4
  10. [1] Schoyen Collection, MS 1708 Archived 2011年 7月 16日 - 웨이백 머신
  11. [2] [3]
  12. “保管된 寫本” . 2015年 2月 23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6年 2月 16日에 確認함 .  
  13. “保管된 寫本” . 2014年 7月 2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6年 2月 16日에 確認함 .  
  14. Holtgard, Anders (1998). 〈Runeninschriften und Runendenkmaler als Quellen der Religionsgeschichte〉. Duwel, Klaus; Nowak, Sean. 《Runeninschriften als Quellen Interdisziplinarer Forschung: Abhandlungen des Vierten Internationalen Symposiums uber Runen und Runeninschriften in Gottingen vom 4?9 August 1995》 . Berlin: Walter de Gruyter. 727쪽. ISBN   3-11-015455-2 .  
  15. McKinnell, John; Simek, Rudolf ; Duwel, Klaus (2004). 〈Gods and Mythological Beings in the Younger Futhark〉. 《Runes, Magic and Religion: A Sourcebook》 (PDF) . Vienna: Fassbaender. 116?133쪽. ISBN   3-900538-81-6 .  
  16. Turville-Petre, E.O.G. Myth and Religion of the North: The Religion of Ancient Scandinavia . London: Weidenfeld and Nicolson, 1964. p. 82?83.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