木刻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두루미 木刻 人形

木刻 (木刻)은 나무 를 利用해 彫刻하는 일을 말한다. 木造 (木彫)라고도 한다.

槪要 [ 編輯 ]

木造는 木材를 素材로 한 조각이다. 素材가 갖는 量感, 質感을 살리는 것이 木造의 生命이라 할 수 있다. 木造는 特히 만드는 사람의 精神과 技術 硏磨의 程度가 그대로 드러나게 마련이다. 卽 實在로서의 나무를 直接 使用하는 以上 素材의 長點, 短點을 잘 아는 것으로부터 始作된다. 나무의 耐久性에 對해서는 氣品도 높은 장목(樟木), 老松나무, 느티나무, 벚나무를 들 수 있다, 兩目(良木)에 對해서는 목절면(木切面)을 보자면 순조롭게 成長한 表示로서 審(芯)李 中央에 있고 나이테가 가늘고 뿌리 밑과 끝과의 差異가 極端的이지 않다. 겉材木(邊材)李 많은 木材는 光澤이 있다. 木材에는 目標(木表), 木理(木裏), 거꾸로결 等이 있고, 樹皮(樹皮)에 가까운 쪽의 目標는 收縮, 龜裂은 크지만 光澤面에서 保健 나뭇결의 아름다움에서 保健 木彫家는 目標를 正面에서 使用한다. 다만 自體(姿體)의 關係에서 곧은결을 正面으로 할 境遇도 있다.

購入한 木材는 반드시 枕木(沈木)을 놓아서 通風을 잘 하고 直接 볕에 쬐지 않도록 保存한다. 한便 握沐(惡木)에 對한 知識도 가지고 있어야 한다. 卽 心이 기울어져 있는 것, 보푸라기가 많은 나무는 제대로 자라지 못한 證據이다. 오랫동안 保存할 때에는 통나무를 잘라진 틈을 통하여 잘라 놓는다.

材料와 技術面에서 보자면 正面으로 곧은 결을 내는 便이 좋은 境遇와 널빤지의 結을 내는 便이 좋을 境遇가 있다. 다음에 나무결에 거슬러서 칼을 움직이면 거꾸로결이 되어서 칼을 움직일 수가 없게 된다. 거칠게 새길 境遇 거꾸로결이 생길 때는 옆으로 미는 方法으로 칼을 움직이도록 한다. 칼자국에 依하여 作品에 미치는 效果도 또한 크다. 거친 刀痕 等은 個性表現의 한 要素이기도 하다. 또한 刀痕은 時代를 識別할 수가 있는 重要한 造形要素이다. [1]

木造의 戀慕 [ 編輯 ]

木工用 延長으로 充分한데, 오랜 經驗과 專門家들의 硏究에 依하여 一般的으로 使用되고 있는 것을 記述하여 보겠다. 于先 必要한 것은 톱이다. 다음은 거칠게 파기 위한 끌칼, 둥근 끌 大小 여러個를 準備한다. 當然히 나무망치, 쇠망치가 必要하게 되고 창칼, 평칼의 對蘇 水疥를 마련한다. 숫돌은 人造숫돌, 거친 숫돌, 若干 거친 숫돌, 中齒 숫돌, 마무리 숫돌 等을 準備한다. 間接的으로 갖추어 둘 小道具로서는 대패, 까뀌, 金盤(金盤), 쇠자(직각자) 等을 必要로 한다.

톱을 于先 道具의 첫째로 든 理由는 木造는 새긴다는 말에서 '파고, 깎는다'는 생각이 앞서, 于先 칼을 使用하므로 祖上이 얕은 맛으로 빠져 버린다. 톱을 巧妙히 驅使하자면 兄을 强力하게 그리고 量으로서 커다랗게 面(面)으로서 捕捉하면 된다. 이러한 意味에서 칼이나 끌은 될 수 있는 대로 最後에 使用하도록 留意한다. 마무리는 道具는 창칼, 둥근칼, 평칼의 三從으로 거의 시종하게 된다.

옛부터 韻圖法(運刀法)이라고 하여 칼의 움직임이 形象과 美的인 感性을 잇는 도(道)로서 韓國은 勿論이거니와 이집트, 그리스에서도 激甚하게 弟子들을 硏磨, 습득시킨 例가 오늘날 遺品을 통하여 잘 나타나 있다. 木造에서는 特히 칼을 驅使하는 基礎로서 칼을 움직이는 方法, 칼 種類를 區別하여 쓰는 것을 演習하기 위하여 '널빤지 破棄(板彫)'를 시켰다. 창칼로 線을 잘라내는 練習, 둥근칼로 線을 고랑(홈)으로서 파는 練習, 이것들을 陰刻 또는 陽刻으로서 修鍊시켰다. 다음으로 '面과 麵의 이음매 破棄'의 韻圖法을 練習한다. 이 照法은 창칼, 평칼, 둥근칼의 세 가지 칼을 使用하여 至極히 두께가 옅은 扶助를 만드는 嚴格한 修鍊이 反復되었다. [1]

直接法 [ 編輯 ]

直接法(直接法)은 '바로 새기기'라고도 하여 木材에 直接 데생을 하고서 파나가는 方法이다. 于先 用材에 形象의 正面을 그린다. 다음으로 用材의 側面에 正面과 連繫된 形象의 데생을 그린다. 餘分이 되는 곳을 可能한 限 톱으로 잘라내고, 끌로 파나간다. 이 方法은 木造의 本디 姿勢이다. 따라서 木材의 取扱, 兄의 制約-動勢의 制約- 等이 있는데, 量感이나 材質感 따위를 充分히 發揮할 수 있는 方法이다. 이러한 木造의 特質로서 重量感, 緊張感, 充實感을 받게 된 것은 나무와 技巧와 作者의 詩魂(詩魂)李 交叉되는 바로 破棄(直彫)의 재주가 낳았다고 할 수 있다. [1]

눈어림잡기 方法 [ 編輯 ]

찰흙 또는 유토(油土)로 만든 原形을 목칙에 依하여 木材에 파나가는 方法이다. 그 原形은 어디까지나 最終 目的인 木造로서 만들어진 것이 아니어서는 안 된다. [1]

全詐欺에 依한 方法 [ 編輯 ]

찰흙 또는 石膏의 原形은 木造用으로서 製作됨이 要緊한 일이다. 卽 木造와 小組는 材料와 表現手段이 이미 다르게 되고 있고 瓢形 形式도 저절로 달라진다. 形象의 表面의 뉘앙스도 全혀 다른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처음부터 나무에 置換(置換)된 效果를 恒常 생각하면서 原形(찰흙으로)을 만들어 놓지 않으면 안 된다. 全詐欺(轉寫機)를 使用하는 目的은 原形의 形象을 가장 合理的으로 또한 正確하게 用材에 베껴내는 데 있다. 용재 中에는 形象을 찾아 不必要한 部分을 測定하고, 톱을 使用할 수 있는 部分은 될 수 있는 대로 톱을 使用하여서 잘라내어 兄을 좁혀 가는 合理的인 方法이다. 要컨대 全詐欺의 機能은 용재 中에서 原形을 再現시키는 機械이다. 그러나 最後의 마무리는 木彫家의 直觀(直觀)에 依하여 끌이나 창칼로 새겨나가는 것이다. [1]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