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모르간 르 페이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모르간 르 페이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모르간 르 페이 ( Morgan le Fay [?m?ːr??n l? ?fe?] [ * ] )는 브리튼 이야기 의 登場人物이다. 强力한 魔法師이며, 많은 境遇 아서왕 과 二部男妹之間인 것으로 設定된다.

初期 아서 文學에서 모르간은 女神적 魔女로서의 役割 以上으로 性格이 仔細히 說明되지 않으며, 一般的으로 아서 王의 魔術的 保護者인 힐러, 卽 先驛으로서 結末 部分에서만 登場했다. 그러나 아서 王 傳說이 發展함에 따라 모르간은 道德的 兩面性을 가진 存在로서 比重과 重要性이 增加했으며, 一部 텍스트에서는 아예 反動人物 이 되기도 하였다. 中世 以後 反復되는 모르간의 重要한 性格은 善惡 兩面에 潛在力을 가진 豫測不可能한 二重性이다.

모르간이라는 캐릭터는 웨일스 神話 및 다른 中世 傳說, 그리고 歷史的 人物들의 要素들로부터 비롯된 것일 수 있다. 모르간이 登場하는 最初의 텍스트는 몬머스의 제프리 가 쓴 『 멀린의 生涯 』(1150年頃)다. 여기서 모르간은 캄란 戰鬪 以後 致命傷을 입은 아서를 謝過 의 섬( 아발론 )으로 데려가는 아홉 女人들의 指導者로서 登場했다. 以後 크레티앵 드 트루아 等 初期 프랑스 記事武勳詩 作家들이 描寫한 모르간은 强力한 治癒社(healer)의 役割을 맡았다.

모르간은 12世紀부터 아서의 누나로 設定되기 始作했다. 13世紀에 定立된 散文詩들과 그에 基盤한 後代의 텍스트들(代表的으로 『 아서왕의 죽음 』) 에서 모르간은 아서의 어머니 이그레인 이 前男便 고를로이스 와의 사이에서 낳은 막내딸로 描寫된다. 모르간의 親언니 中에 모드레드 의 어머니인 오크니 女王이 있으므로 모르간은 모드레드의 姨母다. 그리고 이그레인과 迂書 의 아들인 아서는 모르간의 異父同生이 된다. 모르간은 우리엔 과 結婚해서 아들 이바인 을 낳았으나 이 結婚은 破綻나고, 멀린 의 弟子가 된다. 모르간은 아서의 아내 기네비어 에게 敵意를 품고 圓卓의 記事들과 對立한다. 이 後記 텍스트의 모르간은 性的으로 能動的이고 甚至於 加虐的이다. 토머스 말로리 가 定立한 아서 텍스트에서 모르간은 아서의 가장 큰 敵으로, 아서의 王位를 簒奪하려는 計劃을 세우고 아서의 죽음의 間接的 原因을 提供한다. 그러나 結末에는 結局 아서와 和解하고 아발론으로 아서를 데려가는 初期 텍스트의 役割을 維持한다.

20世紀 以後 아서왕 이야기가 再發掘되면서 모르간은 自己 언니와 役割이 融合되어서 모드레드의 어머니로 設定되기도 하지만, 中世 傳說에는 이런 內容이 없었다.

어원 및 起源 [ 編輯 ]

모르간은 1150年頃 쓰인 몬머스의 제프리 의 『 멀린의 生涯 』에 처음 登場했으며, 여기서의 綴字는 Morgen 이었다. 이 이름은 古代 웨일스語 또는 古代 브리튼어 Morgen에서 派生된 것으로 보이며, 그 意味는 “바다에서 태어난(sea-born)”이다. 더 거슬러 올라가면 *Mori-gen? 가 되고, 이것의 男性型은 *Mori-genos 다. 古代 게일어 미르긴(Muirgein) 과 같은 系統이다. 現代 웨일스語의 男性 이름 모건(Morgan) 과 헷갈리면 안 된다. 男性 이름 Morgan은 中世에는 모르칸트(Morcant)였다. [1] [2] “르 페이(le Fay)”는 15世紀에 토머스 맬러리 가 붙인 것으로, [3] “妖精”이라는 뜻을 意圖한 엉터리 프랑스語다. 프랑스語로는 元來 la fee라고 써야 한다.

몇몇 特徵들을 보면 모르간이라는 캐릭터는 켈트 神話 의 女神들의 殘滓였던 것으로 보인다. 一旦 이름의 語源을 볼 때, 웨일스의 물의 精靈 모르겐스 와 聯關되어 생각된다. [4] 또한 大陸 케트의 大지모신 데아 마트로나 에서 派生된 存在인 모드론 과의 關聯性도 指摘된다. [4] [5] 모드論은 프러데人섬의 芟除視 70番에서 우리엔 과의 사이에서 誤와인 이라는 아들과 모르버드 라는 딸을 낳았다고 한다. [6] 이 이야기는 페니아스 筆寫本 第147番에 보다 詳細히 記錄되어 있다. [7] 우리엔은 6世紀의 小王國 레게드 의 王으로, 아서왕 傳說에서는 모르간의 男便으로서 膝下에 이바인 이라는 아들을 두었다. 또 우리엔 王은 이웃나라 王 모르칸트 불크 와 同盟을 맺었는데 모르칸트에게 배신당해 암살당했다. 아서왕 傳說에서 모르간이 우리엔을 죽이려 하는 것과 비슷하다. [8] 뿐만 아니라 모드論은 “ 아발라흐 의 딸”이라고 불리는데, [9] 亞발라흐는 아발록(Avalloc)이라고도 하며 그 이름의 뜻은 “謝過의 場所”로 풀이된다. [10] 페니아스 筆寫本 147番에 記錄된 誤와인과 모르버드 男妹 이야기를 보면 모드論은 “ 아눈 의 王의 딸”이라고 불리는데, [11] 아눈이란 웨일스 神話의 別世界 다. 이런 點들은 모르간이 처음 登場했을 때부터 “謝過의 땅” 아발론 과 關聯되었다는 것과 一致한다.

한便, 1904年에 루시 앨렌 파턴(Lucy Allen Paton)은 [12] 아일랜드 神話 의 女神 모리안 과의 聯關性을 提起했다. [13] 로저 셔먼 루미스 等이 이 설을 支持했다. [14] [15] 하지만 語源이 다르기 때문에, 모르간의 캐릭터가 成立되는 過程에 모리안 女神이 影響을 미쳤을 수는 있으나 모리안 그 自體가 모르간이 되었다는 說은 否定된다. [16]

中世 텍스트에서의 行跡 [ 編輯 ]

제프리, 크레티앵 等 初期 텍스트 [ 編輯 ]

프랑스 散文詩 [ 編輯 ]

맬러리 텍스트 [ 編輯 ]

近現代 文化에서 [ 編輯 ]

各州 [ 編輯 ]

  1. Lot, Ferdinand, "Morgue la Fee et Morgan-Tud", in: Romania 28 (1899), pp. 321?28.
  2. Koch, John, Celtic Culture , ABC-CLIO, 2006, p. 16; 458; 537; 702; 1602.
  3. Dalecky, Elke (2008). 《Different Faces of Morgan le Fay: The Changing Image of the Sorceress in Arthurian Literature》 (PDF) . University of Vienna.  
  4. Carver, Dax Donald (2006). 《Goddess Dethroned: The Evolution of Morgan le Fay》 . Department of Religious Studies, Georgia State University, Atlanta.  
  5. Charlotte Spivack, Roberta Lynne Staples. "Morgan le Fay: Goddess or Witch?". The Company of Camelot: Arthurian Characters in Romance and Fantasy 保管됨 18 6月 2018 - 웨이백 머신 (Greenwood Press, 2000), pp. 32?45. [ {{{說明}}} ]
  6. Bromwich, Trioedd Ynys Prydein , p. 195.
  7. Preserved in Peniarth 147. See Bromwich, Trioedd Ynys Prydein , pp. 449?451.
  8. Guest, Charlotte (1877). 《The Mabinogion: From the Llyfr Coch O Hergest (the Red Book of Hergest) with an English Translation and Notes》 (英語).  
  9. Koch, John T.; Minard, Antone (2012). 《The Celts: A-H》 (英語). ABC-CLIO. ISBN   978-1-59884-964-6 .  
  10. Bromwich, Trioedd Ynys Prydein , pp. 274?275.
  11. Harward, Vernon J. (1958). 《The Dwarfs of Arthurian Romance and Celtic Tradition》 (英語). E. J. Brill, Leiden.  
  12. Enstone, Zoe Eve (2011). 'Wichecraft & Vilaine': Morgan le Fay in Medieval Arthurian Literature》 (PDF) . University of Leicester. 2017年 8月 9日에 原本 文書 (PDF) 에서 保存된 文書 . 2018年 6月 18日에 確認함 .  
  13. Fries, Maureen (1994). “From The Lady to The Tramp: The Decline of Morgan le Fay in Medieval Romance” (PDF) . 《Arthuriana》 4 : 1?18. doi : 10.1353/art.1994.0018 . S2CID   162377628 . 2015年 9月 19日에 確認함 .  
  14. Loomis, Roger Sherman (1958). “Objections to the Celtic origin of the "Matiere de Bretagne " . 《Romania》 (프랑스語) 79 (313): 47?77. doi : 10.3406/roma.1958.3112 . ISSN   0035-8029 .  
  15. Loomis, Roger S. (1945). “Morgain La Fee and the Celtic Goddesses”. 《Speculum》 20 (2): 183?203. doi : 10.2307/2854594 . JSTOR   2854594 . S2CID   161308783 .  
  16. Rosalind Clark (1990), The Great Queens: Irish Goddesses from the Morrigan to Cathleen Ni Houlihan (Irish Literary Studies, Book 34), pp. 21-23, 208n.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