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梅實나무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梅實나무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梅花 에서 넘어옴)

梅實나무
씨앗과피는장미
씨앗果皮는장미
生物 分類 ??
界: 植物界 薔薇
(未分類): 속씨植物群
(未分類): 鎭靜雙떡잎植物群
(未分類): 장미군
목: 장미목 씨앗
과: 薔薇科
속: 벚나무속
啞俗: 자두나무亞屬
種: 梅實나무
學名
Prunus mume
Siebold & Zucc.
Prunus mume

梅實나무 (梅實, 學名 Prunus mume )는 薔薇科 에 屬하는 나무로, 은 3~4月에 잎이 나기 前에 被告, 열매 는 6~7月에 동그랗게 익는다. 열매를 梅實 理라 하여 먹는다. 꽃말 은 充實이다. 梅實나무의 原産地는 中國의 四川省과 湖北省의 山間地로 알려져 있다.

梅實의 分類 [ 編輯 ]

收穫 時期別 [ 編輯 ]

꽃을 强調하면 梅花나무, 열매를 强調하면 梅實나무

收穫時期에 따라 靑梅와 黃梅로 나뉜다.

  • 靑梅 (靑梅): 6月 中旬∼7月 初旬에 딴 梅實로 果肉이 단단하며 色깔이 파랗고 신맛이 强하다.
  • 黃梅 (黃梅): 7月 中旬에 딴 노란 色의 梅實이다.

加工 方法別 [ 編輯 ]

  • 오매 (烏梅) : 덜 익은 靑梅의 껍질ㆍ氏를 벗긴 뒤 燻煙시켜(짚불 煙氣에 그슬려) 햇빛에 말려 검게 變한 것으로 까마귀처럼 까맣다고 해서 오매(烏梅)란 이름이 붙었다. 가래를 삭이고 嘔吐ㆍ渴症ㆍ痢疾ㆍ술毒을 풀어 주는 韓藥材로 널리 쓰인다.
  • 金매(金梅) : 靑梅를 蒸氣로 찐 뒤 말린 것으로, 술 담그는 데 主로 利用된다.
  • 白梅(白梅) : 靑梅를 묽은 소금물에 하룻밤 절인 뒤 햇볕에 말린 것으로, 입 냄새 除去에 有用하다.

文化 [ 編輯 ]

다양한 이름 [ 編輯 ]

梅實나무는 꽃이 일찍 핀다고 하여 조매, 추운 겨울에 핀다고 하여 동매, 寒梅, 눈 속에 꽃이 핀다고 하여 설중매, 雪中君子 等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1]

民間療法 [ 編輯 ]

食用, 觀賞用, 藥用으로 쓰이고 덜 익은 열매를 梅實酒 또는 生藥으로 오매 라 하여 製造하여 쓰인다. 韓方과 民間에서는 霍亂, 各其, 健胃, 살치, 祛痰, 嘔逆질, 駐獨, 解熱, 發한, 驛吏 等에 藥으로 쓰인다. 梅實을 藥으로 쓸 때는 普通 梅實엑기스, 每秒(梅草), 매燒酒(梅燒酒), 梅實 말랭이 等을 만들어 使用한다. 韓方에서는 九蟲(驅蟲), 健胃, 解熱, 發한(發汗)의 藥理 作用이 있다고 한다. [2]

씨앗 [ 編輯 ]

梅實 열매는 梅實 씨앗이 아미그달린이 含有되어 있어 덜 익은 梅實이나 이러한 梅實 씨앗을 攝取했을 境遇 시안配糖體가 腸內 酵素와 結合해 食中毒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攝取하지 않는 것이 좋다. 다만, 梅實이 자라서 씨앗이 단단해지면 梅實 열매에는 시안配糖體가 比較的 安定化되어 남아있지 않게 되거나 梅實 열매의 씨앗을 適切한 醱酵過程을 거치거나 熱을 加하는 等의 安定化가 可能하다. 이러한 一部 씨앗들에서의 自然毒性은 自體的인 生理活性物質 (BRM, Biological response modifiers) 로 植物의 保護忌祭 中 하나로 알려져 있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이광만, 소경자. 《田園住宅 庭園만들기》.  
  2. 김태정 (1994年 4月 30日). 《藥이되는 韓國의 山野草》. 국일文學史. 247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