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마가다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마가다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마가다
??????

紀元前 1100年 ~ 紀元前 345年
마가다의 최대강역.
마가다의 最大江域.
수도 기리브라자
( ~ BC 460年)
파탈리푸트라
(BC 460年 ~ BC 413年)
바이샬리
(BC 413年 ~ BC 395年)
파탈리푸트라
(BC 395年 ~ )
政治
政治體制 專制君主制
마하라자
紀元前 543年 ~ 紀元前 494年
紀元前 494年 ~ 紀元前 461年
紀元前 413年 ~ 紀元前 395年
紀元前 359年 ~ 紀元前 345年

빔비사라
아자타샤트루
時슈나가
마하難딘
立法府 사바
歷史
 ? 建國(神話上) 紀元前 1700年
 ? 滅亡 紀元前 345年
지리
位置 비하르 南部
人文
共通語 아르다마街多語
마가다어
데모님 마가다人
民族 印度아리아人
經濟
通話 파나
宗敎
宗敎 佛敎
자이나교
아지비카교
브라만교
기타
現在 國家 인도의 기 印度

마가다 (??????, 산스크리트語 : ???? )는 오늘날 東部 갠지스 平原 비하르주 南部(擴張 前)에 位置한 歷史的 地域 이자 두番째 都市化 期間(紀元前 600-200年) 동안 存在했던 十六大國 中 하나이다. 마가다는 브리하드라타 王朝 , 프라드요타 王朝 (紀元前 682年 ~ 紀元前 544年), 하리얀카 王朝 (紀元前 544年 ~ 紀元前 413年), 샤이슈나가 王朝 (紀元前 413年 ~ 紀元前 345年)가 다스렸다. 마가다의 마을은 그라마카(Gramaka)라고 불리는 地域 酋長 아래 自體 集會를 가졌으며, 이들의 行政府는 行政, 司法 및 軍事 機能으로 나뉜다. [1] [2]

마가다는 자이나교 佛敎 의 發展에 重要한 役割을 했다. [3] 印度 北部의 가장 偉大한 네 帝國人 난다 帝國 (紀元前 345-322景), 마우리아 帝國 (紀元前 322-185景), 숭가 帝國 (紀元前 185-78景), 굽타 帝國 (西紀 319~550年)李 마가다를 繼承했다. 또한 팔라 帝國 은 마가다를 統治하고 파탈리푸트라 를 皇室 居住地로 삼았다. [4] [5]

부다가야의 피티파티 王朝 는 스스로를 마가다디파티( Magadh?dipati )로 自稱하며 13世紀까지 마가다의 一部 地域을 統治했다. [6]

지리 [ 編輯 ]

擴張 以前의 마가다 王國의 領土는 江가(Ga?g?), 손(Son), 캄파(Camp?) 强에 依해 北쪽, 西쪽, 東쪽으로 各各 境界를 이루고 있었고, 빈디아山脈 의 東쪽 봉우리가 南쪽 境界를 이루고 있었다. 따라서 初期 마가다 王國의 領土는 오늘날 印度 비하르주 의 파트나區와 伽倻區에 該當한다. [7]

大麻가다 地域은 또한 갠지스 平原 東部의 이웃 地域을 包含했으며 獨特한 文化와 信念을 가지고 있었다. 2次 都市化 의 많은 部分이 紀元前 500年 以後 이곳에서 發生하였고 자이나교 와 佛敎가 이곳에서 創始되었다. [8]

歷史 [ 編輯 ]

初期 歷史 [ 編輯 ]

마가다의 移轉 首都인 라지기르를 둘러싸고 있는 라지기르의 키클롭스 壁 . 世界에서 가장 오래된 사이클롭스 石造物 中 하나이다.

一部 學者들은 리그베다 (3.53.14)에서 그들의 統治者 프라馬肝다와 함께 言及된 키카打 不足을 마가다族의 祖上으로 確定했다. 왜냐하면 키카타는 後記 文獻에서 마가다의 同義語로 使用되기 때문이다. [9] 아타르바베다 에서 描寫된 마가다와 마찬가지로 리그베다 에서는 베다 意識을 遂行하지 않은 印度 브라만교의 境界에 사는 敵對的인 不足으로 키카打를 말한다. [10]

마가다人들에 對한 最初의 言及은 아타르바베다 에서 찾을 수 있으며 秧歌 , 간다라 , 및 戊子바트와 함께 言及된다. 王國의 中心地는 갠지스江 南쪽의 비하르 地域이었으며, 첫 番째 首都는 기리브라자 (오늘날 라지기르)였다.

마가다의 初期 統治者에 對한 特定 情報는 거의 찾을 수 없다. 初期 마가다 歷史를 다룬 飼料로는 팔리어 佛經과 자이나교 經典 및 힌두敎 經典들이 있으며, 힌두敎 經典 中 하나인 마하바라타 에서는 브리하드라타 를 마가다의 첫番째 統治者로 부른다. 브리하드라타 王朝 의 마지막 王인 리푼자야가 臣下 풀리카에게 殺害되고 풀리카의 아들 프라드요타 가 새로운 王이 되면서 프라드요타 王朝 가 設立되었으며, 빔비사라 하리얀카 王朝 가 登場할 때까지 蕃盛했다.

하리얀카 王朝 ( 紀元前 544年 ~ 紀元前 413年 ) [ 編輯 ]

가장 重要한 出處인 佛敎의 팔리어 大藏經 , 자이나교의 아가마 및 힌두敎 푸라나 에 따르면 마가다는 紀元前 543年부터 413年까지 約 200年 동안 하리얀카 王朝 에 依해 統治된 것으로 推定된다. [11] 하리얀카 王朝 時期에 마가다는 밧지 秧歌 를 各各 征服하면서 大部分의 비하르地域과 벵골 을 合倂하며 領土를 擴張하였으며, [12] 結局 비하르 , 자르칸드 , 오리사 , 서벵골 , 東部 우타르프라데시 , 그리고 오늘날 방글라데시 네팔 地域을 다스리게 되었다. [13] 佛敎 의 創始者인 고타마 붓다 는 生涯의 大部分을 마가다 王國에서 살았다. 그는 부다가야 에서 깨달음을 얻었고 사르나트 에서 첫 說法을 했으며 라자그리하 에서 첫 番째 結集 이 열렸다. [14]

하리얀카 王朝의 開創者人 빔비사라는 紀元前 538年에 갠지스 江의 델타 地帶에 있는 重要한 港口國家인 秧歌 王國을 征服함으로써 갠지스 江의 航行(航行) 支配權을 掌握하였으며, 아들인 아자타샤트루 를 秧歌의 總督으로 派遣해 다스리게 하였다. 또한 同時期 人物들인 고타마 붓다 마하비라 等의 出家 修行者들이 活動하자 그들에게 뱃삮을 免除하는 命令을 내렸으며 고타마 싯다르타 側에게는 竹林精舍 等의 寺院들을 지어주는 等 修行者들에 對한 支援을 아끼지 않았다. 그 外에 마가다 王國의 同盟國들을 確保하기 위해 結婚 同盟을 자주 推進하였으며 코살라 王國 出身의 公主를 아내로 맞아들였을 때 코살라 王國 이 支配하던 都市인 바라나시 를 婚姻 持參金으로서 割讓받기도 하였다.

紀元前 494年 頃에 데바닷타 의 使嗾를 받은 아자타샤트루 秧歌 에서 마가다로 歸還한 後 빔비사라 를 監禁하며 王位에서 몰아낸 後 마가다의 王으로 卽位하였으며, 이웃 코살라 의 王이자 빔비사라의 妻男인 派勢나디 는 卽時 카시 地方을 再征服했다. 아자타샤트루는 아버지인 빔비사라 와 마찬가지로 佛敎 자이나교 等의 新興 宗敎들을 保護하는 政策을 推進하였으며, 리車費의 團結을 약화시키기 위해 3年 동안 臣下를 地域에 보낸 것으로 推定된다. 갠지스 江을 건너 攻擊을 始作하기 위해 아자타샤트루는 파탈리푸트라 마을에 要塞를 建設했다. 不一致로 찢겨진 리車費는 아자타샤트루 와 싸웠다. 아자타샤트루가 그들을 패배시키는데에는 15年이 걸렸다. 이와 同時에 마가다 王國의 軍事力을 增强시키기 위하여 古代 印度 中에서는 最初로 투석기 를 軍隊에 導入하였으며, 旣存의 電車에 낫을 달아 낫戰車 라는 新武器를 開發하기도 하였다. [15] 이 新武器들을 利用해 리車費 밧지 等의 36個의 小國들을 合倂시켜 國力을 强化한 마가다 王國은 當時 마가다 王國의 競爭國이었던 코살라 王國 을 攻擊하였으며 結局 紀元前 476年에 코살라 王國 을 征服하는데 成功하였다.

紀元前 460年頃 아자타샤트루 가 死亡하자 마가다의 王으로 卽位한 우다야바드라 는 아버지인 아자타샤트루 가 建設한 新都市이자 當時 商業의 中心地로 成長하던 파탈리푸트라 가 마가다의 領土 中心地에 가까워 統治에 수월하다고 생각해 파탈리푸트라 로 首都를 薦度하였으며, [16] 그 後 프라드요타 王朝 가 支配하는 아반티 와의 戰爭을 벌이다 紀元前 444年에 死亡하였다. [17]

우다야바드라 王 事後 마가다에는 王의 繼承權을 에워싸고 權力의 자리에 오르려 하는 몇몇 繼承權 柱杖子가 있었기 때문에 一連의 暗殺事件의 悲劇이 일어났다. 바라바르 丘陵의 鐵鑛山이나 多르와르와 新푸르 地方의 東, 鐵의 鑛山과 常備軍 德澤에 紀元前 5世紀에 繁榮의 極致에 達했던 이 王國도 王國 內部의 叛亂으로 混亂에 빠졌고 結局 紀元前 413年에 當時의 宰相(宰相) 샤이슈나가 가 王位에 오르면서 하리얀카 王朝 는 幕을 내렸다.

샤이슈나가 王朝 ( 紀元前 413年 ~ 紀元前 345年 ) [ 編輯 ]

마가다 王國의 세番째 王朝인 샤이슈나가 王朝 를 開創한 人物은 當時 마가다의 宰相이었던 샤이슈나가 로써, 그가 紀元前 413年에 하리얀카 王朝를 몰아내고 마가다의 王으로 卽位함으로써 샤이슈나가 王朝가 始作되었다. 王位에 오른 샤이슈나가 는 마가다의 首都를 옛 밧지 의 首都였던 바이샬리 로 遷都한 後 밧社 아반티 를 征服하여 領土를 擴張하였다. 紀元前 395年 샤이슈나가 가 死亡하자 샤이슈나가 王朝의 2代 王으로 卽位한 칼라쇼카 는 마가다의 首都를 다시 파탈리푸트라 로 薦度하였으며, 그의 在位 期間 途中인 紀元前 383年에 바이샬리 에서 열린 第3次 結集 을 後援하기도 하였다. 칼라쇼카의 事後 마가다의 王으로 卽位한 난디바르다나 는 兄弟들과 함께 마가다 地域을 事實上 分割 統治하였으며, 난디바르다나의 事後 마가다의 王으로 卽位한 마하難딘 王이 紀元前 345年에 마하파드마 난다 에 依해 殺害되면서 샤이슈나가 王朝 는 幕을 내렸다.

난다 王朝 ( 紀元前 345年 ~ 紀元前 321年 ) [ 編輯 ]

紀元前 345年에 샤이슈나가 王朝가 權力다툼으로 沒落한 後 마하파드마 난다가 王位에 오르면서 마가다 王國의 네番째 王朝인 난다 王朝 가 開創되었는데, 푸라나 에 따르면 난다 王朝의 始祖인 마하파드마는 마하難딘이라는 사람과 수드라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고 記錄되어 있는 反面 1世紀 그리스 出身의 로마의 歷史家로 《알렉산드로스 電氣》를 著述한 쿠르티오스 壘포스 의 記錄에서는 理髮師와 王妃 사이에서 난 아들이라고 적혀 있으며 이 두 記錄 모두 난다 王朝의 始祖인 마하파드마 난다가 下位 카스트 出身이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푸라나 文獻에 따르면 社이슈나가 王朝 를 몰아내고 마가다 王國 의 權力을 掌握한 마하파드마는 「모든 크샤트리아를 絶滅시키고 唯一한 王으로써 統一할 것이다.」라고 宣布하였다고 한다. 이는 當時 十六大國 國家들을 全部 마가다 王國 에 合倂시키겠다는 意味로 보이는데, 그리스인의 記錄에서도 알렉산드로스 大王 의 時代 印度는 파탈리푸트라 한 사람의 王에 依해 統治되고 있었다는 記錄으로 보아 적어도 난다 王朝 當時 마가다 王國 북인도 地域에 位置한 十六大國 國家들을 大部分 征服한 것은 確實한 것으로 보이며, 後世의 칼링가 王國의 傳承이나 쿤타라 脂肪(데칸 高原 西部)의 戰勝 및 碑文에 난다 王의 支配를 言及하는 部分이 있는 것으로 보아 이들 地域에도 어느 程度 影響力을 지녔던 것으로 推測된다. 이즈음 펀자브 地域의 파우라바 王國 알렉산드로스 3歲 에 依해 征服되었을 때 파우라바 의 王 抛루스 가 알렉산드로스에게 난다 王朝 가 步兵 20萬 名, 起兵 2萬 名, 戰車 2000代, 戰鬪 코끼리 3000마리 以上의 軍隊를 지닌다고 말하자 알렉산드로스 3歲 가 印度 侵攻을 中斷하고 撤收한 것으로 보아 난다 王朝 時代의 마가다 王國은 當時 世界에서 莫强한 軍事力을 지녔던 國家로 보이지만, [18] 紀元前 321年 警 思想家 카우틸랴 의 補佐를 얻어 印度 北西部에서 擧兵한 찬드라굽타 마우리아 에 依해 首都인 파탈리푸트라 가 陷落되면서 마가다 王國은 滅亡하였다. 帝國은 나중에 아소카 大帝 治下에서 印度 大部分으로 擴張되었는데, 그는 처음에는 '殘忍한 아소카'로 알려졌지만 나중에 佛者가 되어 ' 다르마 아소카'로 알려지게 되었다. [19] [20] 以後 마우리아 帝國이 끝나고 숭가 帝國과 카라벨라 帝國이 굽타 帝國 以前까지 마가다를 統治하였으며, 굽타 帝國은 마가다의 파탈리푸트라를 首都로 삼았다.

書記 11世紀에서 13世紀까지 마가다의 팔라 時代에 부다가야의 피티파티 王朝로 알려진 地域 佛敎 王朝가 팔라 帝國의 支流로서 마가다를 統治했다. [6]

宗敎 [ 編輯 ]

紀元前 6世紀 以前에 여러 슈라마나 運動 이 存在했으며, 이들은 印度 哲學의 아스티카와 나스티카 傳統 모두에 影響을 미쳤다. [21] 슈라마나 運動은 靈魂의 槪念을 받아들이거나 否認하는 것, 原子論, 律法廢棄論的 倫理, 物質主義, 無神論, 不可知論, 自由意志에 對한 宿命論, 極端的인 禁慾主義의 李相花, 家族生活에 對한 以上化, 暴力과 肉食의 許容 可能性에 對한 菜食主義, 嚴格한 아힘사 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異端的 信念을 불러일으켰다. [22] 마가다 王國은 이 運動의 中心地였다.

자이나교 는 數百萬 年 前에 最初의 자이나교 티르탕카라 리샤바나타 에 依해 내려진 古代 스라만 傳統의 哲學과 宣布를 綜合하고 復活시킨 마지막이자 24代 티르탕카라 로 여겨지는 마하비라 가 登場하며 다시 再建되었다. [23] 釋迦牟尼 는 마가다의 後援을 받으며 佛敎 를 創始했다.

마가다 王國 주화, c. 紀元前 430~320年 카르샤派나
마가다 王國 주화, c. 紀元前 350年 카르샤派나

印度學者 조나스 브로크호스트에 따르면 마가다의 文化는 印度아리아人 베다 王國과 根本的으로 달랐다. 그에 따르면, 슈라마나 文化는 " 大麻가다 "에서 發生했는데, 이는 印度아리아人이지만 베다圈은 아니다. 이 文化에서 크샤트리야 브라만 보다 더 높은 位置에 있었고 베다 權威와 意識을 拒否했다. [8] [24] 그는 釋迦牟尼 마하비라 가 살고 가르쳤던 大略的인 地理的 領域으로 定義되는 "大麻가다"라는 文化 領域에 對해 主張한다. [8] 이러한 區分을 暗示하는 一部 베다 및 베다 以後 意識에서 "마가다人"은 正式 非베다인 "野蠻人"이며 모든 非베다 民族의 存在를 代辯하거나 意識的으로 더러운 存在로 나타났다. [25]

붓다와 關聯하여 이 地域은 北西쪽에 있는 코살라 의 首都인 슈라바스티 에서 南東쪽에 있는 마가다의 首都인 라자그리하 까지 大體로 뻗어 있다. [8] 브로크호스트에 따르면 "문법학자 파탄잘리(ca. 150 BCE)와 그 以後까지 베다 文化와 눈에 띄게 區別되는 臺마가다의 文化가 있었다." [8] 佛敎學者인 알렉산더 윈은 베다 아리아인과 競爭하는 이 文化가 初期 佛敎 時代에 東部 갠지스 平野를 支配했음을 暗示하는 "壓倒的인 量의 證據"가 있다고 썼다. 따라서 正統 베다 브라만은 이 初期 期間 동안 마가다에서 少數였다. [26]

마가다 宗敎는 스라마나 傳統이라고 불리며 자이나교 , 佛敎 , 아지비카교 를 包含한다. 佛敎와 자이나교는 스레니카(Srenika), 빔비사라, 아자타샤트루와 같은 初期 마가다 王들이 奬勵한 宗敎였으며, 그 뒤를 이은 난다 王朝 (紀元前 345~321年)는 大部分 자이나교도였다. 이 스라마나 宗敎는 베다 神을 崇拜하지 않았고, 어떤 形態의 禁慾主義 冥想 을 實踐했으며, 둥근 古墳(佛敎에서는 스투파 라고 函)을 建設하는 傾向이 있었다. [8] 이 宗敎들은 또한 靈的 知識을 통한 再生과 카르마적 報復의 週期的인 循環으로부터 一種의 解放을 追求했다.

마가다의 宗敎的인 場所 [ 編輯 ]

復元 全義 부다가야 古代 마하보디 寺院

現在 마가다 地域에서 發見되는 佛敎 遺跡地에는 부다가야 마하보디 寺院 [27] 날란다 修道院과 같은 두 個의 유네스코 世界 文化 遺産 이 있다. [28] 마하보디 社員은 佛敎 世界에서 가장 重要한 巡禮地 中 하나이며 부처가 깨달음을 얻은 場所를 標示한다고 한다. [29]

言語 [ 編輯 ]

테라바다 註釋에서 始作하여 팔리어 는 마가다의 言語인 마가히어 와 同一視되었으며 이것은 또한 붓다가 生涯 동안 使用했던 言語로 看做되었다. 19世紀에 英國의 동양학자인 로버트 시저 漆더스 는 팔리어의 眞正한 이름 또는 地理的 이름은 마가다 프라크리트어 이며 팔리어는 "線, 줄, 시리즈"를 의미하기 때문에 初期 佛敎徒들은 이 用語의 意味를 "一連의 冊"이라는 意味로 擴張했다고 主張했으며, 따라서 팔리바使는 "텍스트의 言語"를 意味한다. [30] 그럼에도 不拘하고 팔리어는 마가디즘이라고 불리는 一部 東洋的 特徵을 維持한다. [31]

마가다 프라크리트어는 산스크리트語가 衰退한 後 登場한 세 가지 劇的인 프라크리트어 中 하나였다. 마가다와 隣近 地域에서 使用되었으며 나중에 마가히어 , 마이틸어 , 保持푸리어 와 같은 現代 桐인도아리아어群 으로 發展했다. [32]

歷代 君主 [ 編輯 ]

마가다의 注目할만한 두 名의 統治者는 빔비사라 와 그의 아들 아자타샤트루 였으며 佛敎와 자이나교 文學에서 붓다와 마하비라의 同時代 사람으로 言及되었다. 나중에 마가다의 王座는 印度 北部의 많은 地域을 征服한 난다 王朝 (紀元前 345~322年頃)의 創始者인 마하파드마 난다 에 依해 簒奪당했다. 난다 王朝는 마우리아 帝國 (紀元前 322~185年頃)의 創始者인 찬드라굽타 마우리아 에 依해 顚覆되었다.

마하파드마 난다 以前의 마가다의 正確한 年代記와 王의 繼承에 對해 많은 不確實性이 있다. 多樣한 古代 텍스트(모두 問題의 時代보다 數世紀 後에 記錄됨)에 對한 說明은 많은 點에서 서로 矛盾된다. 또한 一部 學者들이 選好하는 "긴 年代記"와 對照되는 "짧은 年代記"가 있는데, 이는 部處와 마하비라 의 不確實한 年代記와 不可分의 關係가 있는 問題이다. [33]

"짧은 年代記"의 支持者인 歷史가 존 키이에 따르면, 빔비사라는 BCE 5世紀 後半에, [34] 아자타샤트루는 BCE 4世紀 初에 統治했음에 틀림없다. [35] 그는 아자타샤트루 事後 王位 承繼에 對해 큰 不確實性이 있다고 말했다. 아마도 마하파드마 난다 登場 以前까지 宮廷 陰謀와 殺人 期間이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35]

다음 "긴 年代記"는 佛敎 마하밤사 에 따른 것이다. [36]

하리얀카 王朝 (c. 544 ? 413 BCE)
하리얀카 王朝 統治者 目錄
統治者 在位 (紀元前)
빔비사라 紀元前 544~491年
아자타샤트루 紀元前 491~461年
우다人 紀元前 461~428年
아니壘다 紀元前 428~419年
문다 紀元前 419~417年
다르샤카 紀元前 417~415年
나街다사카 紀元前 415~413年
샤이슈나가 王朝 (c. 413 ? 345 BCE)
샤이슈나가 王朝 統治者 目錄
統治者 在位 (紀元前)
샤이슈나가 紀元前 413~395年
칼라쇼카 紀元前 395~377年
크셰마다르만 紀元前 377~365年
크샤트라愚者 紀元前 365~355年
난디바르다나 紀元前 355~349年
마하難딘 紀元前 349~345年
난다 王朝 (c. 345 ? 322 BCE)
난다 王朝의 統治者 目錄
統治者 在位 (紀元前)
마하파드마 난다 紀元前 345~340年
판두카난다 紀元前 340~339年
팡後파티난다 紀元前 339~338年
부타팔라난다 紀元前 338~337年
라슈트라팔라난다 紀元前 337~336年
고비샤나카난다 紀元前 336~335年
다샤시닥카난다 紀元前 335~334年
카이바르타난다 紀元前 334~333年
카르非나타난다 紀元前 333~330年
다나 난다 紀元前 330~322年

마가다의 歷史的 人物 [ 編輯 ]

자이나교 第24代 티르탄카라 마가다의 王家에서 태어난 마하비라

古代 마가다 地域의 重要한 人物은 다음과 같다.

  • 사리푸트라 ? 마가다의 라자그리하 近處에 位置한 마을의 富裕한 브라만에게서 태어난 그는 마우두갈야야나 와 함께 부처님의 두 主要 男性 弟子 中 첫 番째로 看做된다. [37]
  • 마우두갈야야나 ? 마가다의 콜리打 마을에서 태어났다. 그는 부처님의 두 主要 弟子 中 한 사람이었다. 젊었을 때 그는 부처님을 만나기 前까지 靈的 放浪者였다. [38]
  • 마하비라 ? 자이나교 의 第24代 티르탕카라 . 現在 비하르주 의 바이샬里 地域에 있었던 王室 크샤트리야 家門에서 태어났다. 그는 30歲에 世上의 모든 所有를 버리고 修行者가 되었다. 그는 부처님보다 若干 나이가 많은 同時代 사람으로 看做된다. [39]
  • 마이트리파다 ? 마하무드라 電送과 關聯된 11世紀 印度 佛敎 마하싯다. 마가다의 自他까라니 마을에서 태어났다. 또한 날란다 및 非크라마실라 修道院과 關聯이 있다. [40]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引用株 [ 編輯 ]

參照週 [ 編輯 ]

  1. Keny, Liladhar (1943). “ " THE SUPPOSED IDENTIFICATION OF UDAYANA OF KAU??MBI WITH UDAYIN OF MAGADHA " ”. 《Annals of the Bhandarkar Oriental Research Institute》 24 (1/2): 60?66. JSTOR   41784405 .  
  2. Roy, Daya (1986). “SOME ASPECTS OF THE RELATION BETWEEN ANGA AND MAGADHA (600 B.C.?323 B.C.)”. 《Proceedings of the Indian History Congress》 47 : 108?112. JSTOR   44141530 .  
  3. Damien Keown (2004年 8月 26日). 《A Dictionary of Buddhism》 . OUP Oxford. 163쪽. ISBN   978-0-19-157917-2 .  
  4. Jhunu Bagchi (1993).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P?las of Bengal and Bihar, Cir. 750 A.D.-cir. 1200 A.D.》 . Abhinav Publications. 64쪽. ISBN   978-81-7017-301-4 .  
  5. Jha, Tushar; Tyagi, Satish (2017). “CONTOURS OF THE POLITICAL LEGITIMATION STRATEGY OF THE RULERS OF PALA DYNASTY IN BENGAL- BIHAR (CE 730 TO CE 1165)”. 《Proceedings of the Indian History Congress》 78 : 49?58.  
  6. Balogh, Daniel (2021). 《Pithipati Puzzles: Custodians of the Diamond Throne》 . British Museum Research Publications. 40?58쪽. ISBN   9780861592289 .  
  7. Raychaudhuri, Hemchandra (1953). 《Political History of Ancient India: From the Accession of Parikshit to the Extinction of Gupta Dynasty》. University of Calcutta . 110?118쪽.  
  8. Bronkhorst 2007 .
  9. Macdonell, Arthur Anthony; Keith, Arthur Berriedale (1995). 《Vedic Index of Names and Subjects》 (英語). Motilal Banarsidass Publishe. ISBN   9788120813328 .  
  10. M. Witzel. " Rigvedic history: poets, chieftains, and polities ," in The Indo-Aryans of Ancient South Asia: Language, Material Culture and Ethnicity. ed. G. Erdosy (Walter de Gruyer, 1995), p. 333
  11. Chandra, Jnan (1958). “SOME UNKNOWN FACTS ABOUT BIMBIS?RA”. 《Proceedings of the Indian History Congress》 21 : 215?217. JSTOR   44145194 .  
  12. Ramesh Chandra Majumdar (1977).
  13. Sinha, Bindeshwari Prasad (1977). 《Dynastic History of Magadha, Cir. 450-1200 A.D.》 . Abhinav Publications. 128쪽.  
  14. “Lumbini Development Trust: Restoring the Lumbini Garden” . 2014年 3月 6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7年 1月 6日에 確認함 .  
  15. Roy, Kaushik, 1971-. Military manpower, armies and warfare in South Asia. London. ISBN 978-1-315-65517-8 . OCLC 1082214357.
  16. Natubhai Shah 2004 , 42쪽.
  17. Kailash Chand Jain 1972 , 102쪽.
  18. Irfan Habib; Vivekanand Jha (2004). 《Mauryan India》 . A People's History of India. Aligarh Historians Society / Tulika Books . ISBN   978-81-85229-92-8 .  
  19. Tenzin Tharpa, Tibetan Buddhist Essentials: A Study Guide for the 21st Century: Volume 1: Introduction, Origin, and Adaptation , p.31
  20. Sanjeev Sanyal (2016), The Ocean of Churn: How the Indian Ocean Shaped Human History , section "Ashoka, the not so great"
  21. Ray, Reginald (1999). 《Buddhist Saints in India》. Oxford University Press. 237?240, 247?249쪽. ISBN   978-0195134834 .  
  22. Jaini, Padmanabh S. (2001). 《Collected papers on Buddhist Studies》. Motilal Banarsidass. 57?77쪽. ISBN   978-8120817760 .  
  23. Patel, Haresh (2009). 《Thoughts from the Cosmic Field in the Life of a Thinking Insect [A Latter-Day Saint]》 . Strategic Book Publishing. 271쪽. ISBN   978-1-60693-846-1 .  
  24. Long, Jeffery D. (2009). 《Jainism : an introduction》 . London: I.B. Tauris. ISBN   978-1-4416-3839-7 . OCLC   608555139 .  
  25. Witzel, Michael (1997). “Macrocosm, Mesocosm, and Microcosm: The Persistent Nature of 'Hindu' Beliefs and Symbolic Forms”. 《International Journal of Hindu Studies》 1 (3): 501?539. doi : 10.1007/s11407-997-0021-x . JSTOR   20106493 .  
  26. Wynne, Alexander (2011). “Review of Bronkhorst, Johannes, Greater Magadha: Studies in the Culture of Early India” . 《H-Buddhism》 . 2019年 8月 25日에 確認함 .  
  27. K.T.S. Sarao (2020年 9月 16日). 《The History of Mahabodhi Temple at Bodh Gaya》 . Springer Nature. 66?쪽. ISBN   9789811580673 .  
  28. Pintu Kumar (2018年 5月 7日). 《Buddhist Learning in South Asia: Education, Religion, and Culture at the Ancient Sri Nalanda Mahavihara》 . Lexington Books. ISBN   978-1-4985-5493-0 .  
  29. David Geary; Matthew R. Sayers; Abhishek Singh Amar (2012). 《Cross-disciplinary Perspectives on a Contested Buddhist Site: Bodh Gaya Jataka》 . Routledge. 18?21쪽. ISBN   978-0-415-68452-1 .  
  30. A Dictionary of the Pali Language By Robert Cæsar Childers
  31. Rupert Gethin (2008年 10月 9日). 《Sayings of the Buddha: New Translations from the Pali Nikayas》 . OUP Oxford. xxiv쪽. ISBN   978-0-19-283925-1 .  
  32. Beames, John (2012). 《Comparative Grammar of the Modern Aryan Languages of India: To Wit, Hindi, Panjabi, Sindhi, Gujarati, Marathi, Oriya, and Bangali》 .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doi : 10.1017/cbo9781139208871.003 . ISBN   978-1-139-20887-1 .   [ 깨진 링크 ( 過去 內容 찾기 )]
  33. Bechert, Heinz (1995). 《When Did the Buddha Live?: The Controversy on the Dating of the Historical Buddha》 . Sri Satguru Publications. 129쪽. ISBN   978-81-7030-469-2 .  
  34. Keay, John (2011). 《India: A History》 . Open Road + Grove/Atlantic. 141쪽. ISBN   978-0-8021-9550-0 .  
  35. Keay, John (2011). 《India: A History》 . Open Road + Grove/Atlantic. 149쪽. ISBN   978-0-8021-9550-0 .  
  36. Bechert, Heinz (1995). 《When Did the Buddha Live?: The Controversy on the Dating of the Historical Buddha》 . Sri Satguru Publications. ISBN   978-81-7030-469-2 .  
  37. Prasad, Chandra Shekhar (1988). “Nalanda vis-a-vis the Birthplace of ??riputra” . 《East and West》 38 (1/4): 175?188. JSTOR   29756860 .  
  38. Gunapala Piyasena Malalasekera (2007). 《Dictionary of P?li Proper Names》 . Motilal Banarsidass Publishe. 403?404쪽. ISBN   978-81-208-3022-6 .  
  39. Romesh Chunder Dutt (2013年 11月 5日). 《A History of Civilisation in Ancient India: Based on Sanscrit Literature: Volume I》 . Routledge. 382?383쪽. ISBN   978-1-136-38189-8 .  
  40. Tatz, Mark (1987). “The Life of the Siddha-Philosopher Maitr?gupta”. 《Journal of the American Oriental Society》 107 (4): 695?711. doi : 10.2307/603308 . JSTOR   603308 .  

參考 文獻 [ 編輯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