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트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여러 가지 류트.
바로크 류트.

류트 (lute)는 16世紀 에서 18世紀 까지 유럽 에서 널리 流行했던 기타 와 類似한 撥絃樂器이다. 줄의 數는 6줄, 8줄, 10줄, 13줄, 14줄 等 다양하며, 表記의 媒體로는 태블러처 (tablature)가 使用되며, 方法은 크게 이탈리아式과 英國式(프랑스式) 으로 나뉜다. 류트를 연주하는 사람을 壘티스트(Lutist), 或은 루트니스트(Lutenist)라하며, 製作者는 壘티어(Luthier)라고 한다.

歷史 [ 編輯 ]

류트는 16世紀와 17世紀에 유럽에서 가장 널리 쓰인 撥絃樂器(撥絃樂器)이다. 류트의 起源은 멀리 사산조 페르시아 의 바르바트(barbat)라는 樂器이다. 이것이 中國으로 傳播되어 琵琶가 되었고, 아랍, 北아프리카를 거쳐 西方으로 傳播된 것이 류트가 되었다. 10世紀에 아라비아 에서는 우드 (Al'ud, oud)라는 이름으로 使用되었다. 16世紀 初, 르네상스 時代 에 6줄로 發展되어 普及되었고, 그때부터 류트를 위한 曲들이 쏟아졌다. 漸漸 줄 수는 8줄, 10줄로 늘었고, 繼續된 發展의 結果 마침내 17世紀에 류트는 最高 全盛期에 들었다. 英國에서는 다울랜드 (J.Dowland)等의 作曲家들이 活躍하였다. 바흐 가 류트 組曲(Lute Suites)을 쓰기도 하였다.

18世紀 하이든 의 作曲 以後, 産業革命 의 發展으로 류트가 크게 消失되었었다. 그러나 20世紀 以後 美國과 英國의 復元者들의 努力으로 다시 現代에 이르러서는 류트 音樂을 稀微하게나마 들을 수 있게 되었다. 大韓民國의 壘티스트와 루티어로서는 김영익이 있다.

構造와 소리 [ 編輯 ]

류트의 構造上의 特徵은 복현이며 프렛이 있고, 줄감개집은 指板(指板)의 뒤로 굽었으며 앞板(響板)에는 아름다운 裝飾으로 된 둥근 울림구멍(響口, Rosette)이 있다. 古典的 류트의 줄은 르네상스와 아칠류트는 가장 높은 音을 내는 1코스, 바로크류트는 1, 2코스, 테오르보는 모든 코스가 斷絃이고 나머지는 복현으로 6코스 르네상스류트는 合計 11絃(1x1+2x5)이다. 르네상스 류트의 朝見(調絃)은 社-社, 다-다, 바-바, 가-가, 라1-라1, 社1이다.

같이 보기 [ 編輯 ]

外部 링크 [ 編輯 ]

이 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配布한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의 內容을 基礎로 作成된 글이 包含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