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罍머度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罍머度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罍머 溫度 (Rømer scale, 네덜란드語 [??œ?m?]) Romer 또는 Roemer 溫度로도 알려져 있으며 1701年 덴마크 天文學者 올레 크리스텐슨 罍머 의 이름을 딴 溫度 單位이다. 表記는 °Rø 로 標示한다. 이 溫度 單位의 基準에서는 純粹한 어는 點 을 7.5 道路, 物議 끓는點 을 60 度로 하고 있다.

다른 攝氏 , 華氏 , 絶對 溫度 等 다른 溫度와의 關係는 아래 表와 같다.

溫度 變換
罍머度 에서 罍머道路
攝氏 [°C] = ([°Rø] ? 7.5) ×  40 21 [°Rø] = [°C] ×  21 40  + 7.5
華氏 [°F] = ([°Rø] ? 7.5) ×  24 7  + 32 [°Rø] = ([°F] ? 32) ×  7 24  + 7.5
켈빈 [K] = ([°Rø] ? 7.5) ×  40 21  + 273.15 [°Rø] = ([K] ? 273.15) ×  21 40  + 7.5
란氏 [°R] = ([°Rø] ? 7.5) ×  24 7  + 491.67 [°Rø] = ([°R] ? 491.67) ×  7 24  + 7.5
드릴도 [°De] = (60 ? [°Rø]) ×  20 7 [°Rø] = 60 ? [°De] ×  7 20
뉴턴도 [°N] = ([°Rø] ? 7.5) ×  22 35 [°Rø] = [°N] ×  35 22  + 7.5
列氏 [°Re] = ([°Rø] ? 7.5) ×  32 21 [°Rø] = [°Re] ×  21 32  + 7.5

溫度 測定 [ 編輯 ]

이 尺度에서 0은 처음에 冷凍 鹽水 를 使用하여 設定되었다. 의 끓는點은 60度로 定義되었다. 그런 다음 罍머는 純粹한 물의 어는點이 이 두 點 사이의 大略 1/8(藥 7.5度)이라는 것을 알았고, 그래서 그는 溫度 스케일의 아래 고정점의 溫度를 물의 어는點으로 正確히 7.5度로 하여 再定義했다. 이러한 定義에 依하여 눈금이 크게 바꾸지지는 않았지만 純粹한 물을 基準으로 定義하여 쉽게 矯正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이 尺度의 單位 人 罍머 溫度는 켈빈 또는 攝氏 溫度의 100/52.5 =40/21이다. 記號는 때때로 °R로 標示되지만 列氏 溫度 란氏 溫度 에도 때때로 使用되기 때문에 다른 記號인 °Rø 가 選好되어 使用되고 있다.

重要性 [ 編輯 ]

罍머 스케일의 溫度는 더 以上 使用되지 않지만 歷史的으로 重要하다. 뉴턴 溫度와 함께 最初로 캘리브레이트 된 尺度이었다. 從前의 溫度計는 溫度가 上昇하는지 下降하는지에 對한 標示만 提供했으며 그렇지 않으면 매우 不正確했다. 例를 들어 溫度計의 上段 및 下端 標示는 一般的으로 現在 年度의 가장 더운 날과 가장 추운 날로 各各 設定되며 해마다 分明히 달라졌다. [1] 두 個의 基準點 사이에 同一한 間隔의 補正 標示가 있는 두 個의 基準點을 使用한다는 思想은 完全히 새로운 것이었다.

罍머는 갈릴레오의 溫度計에 익숙하여 溫度計가 溫度뿐 아니라 氣壓의 影響을 받기 때문에 正確度가 크게 떨어짐을 理解했다. 그는 토스카나의 페르디난트 2歲 의 壓力 變化에 影響을 받지 않도록 密封된 琉璃管에 液體를 넣는 아이디어를 따랐다. 罍머의 溫度計는 그가 使用한 流體의 改善이기도 했다. 그는 葡萄酒 形態로 便利하게 求할 수 있는 알코올과 물의 混合物을 使用했다. 이것은 純粹한 알코올의 낮은 끓는點과 純粹한 물이 어느點 近處에서 發生하는 큰 非線型性의 短點을 모두 回避할 수 있었다. [2] [3]

다른 溫度와의 關係 [ 編輯 ]

華氏 溫度計 를 發明한 다니엘 가브리엘 파렌하이트 는 罍머의 業績을 알게 되었고 1708年에 그를 訪問했다. 파렌하이트는 이 訪問에 依해서 스케일에 關한 着想을 借用했지만 분할 數를 늘렸다고 說明했다. [4]

뉴턴은 罍머와 같은 해에 뉴턴도 의 尺度를 發表했다. 뉴턴의 시스템에서는 물의 어는點(0度)과 人體 溫度(12度) 사이에서 캘리브레이션되었다. 뉴턴도는 罍머道에 비하여 더 거친 溫度 單位였고, 뉴턴도는 罍머의 溫度 스케일과 달리 日常的인 使用을 위한 것이 아니었다. 뉴턴의 關心은 液體 溫度計를 基盤으로 하는 罍머의 시스템으로는 쉽게 接近할 수 없는 金屬의 녹는點을 決定하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Don Rittner, A to Z of Scientists in Weather and Climate , page 53, Infobase Publishing, 2009, ISBN   1438109245 .
  2. Jonathan Shectman, Groundbreaking Scientific Experiments, Inventions, and Discoveries of the 18th Century , pp. 248?49,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3 ISBN   0313320152 .
  3. Susan Wills, Steven R. Wills, Meteorology: Predicting the Weather , pp. 19?21, The Oliver Press, Inc., 2003 ISBN   1881508617 .
  4. Roger W. Coltey, Survey of medical technology , University of Michigan, 1978, p.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