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로렘 입숨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로렘 입숨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로렘 입숨 (lorem ipsum; 줄여서 립숨, lipsum)은 出版 이나 그래픽 디자인 分野에서 폰트, 타이포그래피, 레이아웃 같은 그래픽 要素나 視覺的 演出을 보여줄 때 使用하는 標準 채우기 텍스트 로, 最終 結果物에 들어가는 實質的인 文章 內容이 채워지기 前에 디자인 프로젝트 模型의 채움 글로도 利用된다. 이런 用途로 使用할 때 로렘 입숨을 그리킹 (greeking)이라고도 부르며, 때로 로렘 입숨은 空間만 차지하는 무언가를 指稱하는 用語로도 使用된다.

로렘 입숨은 傳統 라틴語 와 닮은 點 때문에 種種 好奇心을 誘發하기도 하지만 그 以上의 意味를 담지는 않는다. 文書에서 텍스트가 보이면 사람들은 全體的인 프레젠테이션보다는 텍스트에 담긴 뜻에 集中하는 傾向이 있어서 出版社들은 書體나 디자인을 보일 때는 프레젠테이션 自體에 焦點을 맞추기 위해 로렘 입숨을 使用한다.

로렘 입숨은 英語 에서 使用하는 文字들의 典型的인 分布에 近接하다고도 하는데, 이 點 때문에 프레젠테이션으로 焦點을 移動하는 데에도 도움을 준다.

웹사이트 디자인의 提案에서 內容보다는 視覺的 要素에 좀 더 焦點을 맞추기 위해 로렘 입숨을 使用한 예

가장 一般的인 로렘 입숨 텍스트는 다음과 같다.

Lorem ipsum dolor sit amet, consectetur adipisicing elit, sed do eiusmod tempor incididunt ut labore et dolore magna aliqua. Ut enim ad minim veniam, quis nostrud exercitation ullamco laboris nisi ut aliquip ex ea commodo consequat. Duis aute irure dolor in reprehenderit in voluptate velit esse cillum dolore eu fugiat nulla pariatur. Excepteur sint occaecat cupidatat non proident, sunt in culpa qui officia deserunt mollit anim id est laborum.

由來 [ 編輯 ]

로렘 입숨은 키케로 의 《 最高善惡論 》( De finibus bonorum et malorum )로부터 由來한다. 原文의 文章은 다음과 같이 始作된다:

Neque porro quisquam est qui do lorem ipsum quia dolor sit amet, consectetur, adipisci v elit

(飜譯: 苦痛이 苦痛이라는 理由로 그 自體를 사랑하고 所有하려는 者는 없다.)

이 텍스트가 正確히 언제 現在의 標準的인 로렘 입숨의 形態로 들어가게 되었는지는 모른다. 이르면 (一部 若干의 修正이 뒤따르긴 하지만) 1500年代이거나 늦으면 1960年代로 推定한다.

이 句節은 버지니아州 햄프든-시드니 大學 의 라틴語 敎授 리처드 맥클린톡 이 古典 文學 作品 속에서 'consectetur'란 單語가 引用된 句節을 檢索하다가 發見 하였다. [ 出處 必要 ]

그 原文은 다음과 같다.(로렘 입숨 텍스트에서 拔萃한 部分을 볼드체로 强調하였음)

[32] Sed ut perspiciatis, unde omnis iste natus error sit voluptatem accusantium doloremque laudantium, totam rem aperiam eaque ipsa, quae ab illo inventore veritatis et quasi architecto beatae vitae dicta sunt, explicabo. Nemo enim ipsam voluptatem, quia voluptas sit, aspernatur aut odit aut fugit, sed quia consequuntur magni dolores eos, qui ratione voluptatem sequi nesciunt, neque porro quisquam est, qui do lorem ipsum , quia dolor sit, amet, consectetur, adipisci v elit, sed quia non numquam eius mod i tempor a incidunt, ut labore et dolore magna m aliqua m quaerat voluptatem. Ut enim ad minim a veniam, quis nostru m exercitation em ullam co rporis suscipit laborios am, nisi ut aliquid ex ea commodi consequat ur? Quis aute m vel eum iure reprehenderit, qui in ea voluptate velit esse , quam nihil molestiae c onsequatur, vel illum , qui dolore m eu m fugiat , quo voluptas nulla pariatur ? [33] At vero eos et accusamus et iusto odio dignissimos ducimus, qui blanditiis praesentium voluptatum deleniti atque corrupti, quos dolores et quas molestias exceptur i sint, obcaecat i cupiditat e non pro v ident , similique sunt in culpa , qui officia deserunt mollit ia anim i, id est laborum et dolorum fuga. Et harum quidem rerum facilis est et expedita distinctio. Nam libero tempore, cum soluta nobis est eligendi optio, cumque nihil impedit, quo minus id, quod maxime placeat, facere possimus, omnis voluptas assumenda est, omnis dolor repellendus. Temporibus autem quibusdam et aut officiis debitis aut rerum necessitatibus saepe eveniet, ut et voluptates repudiandae sint et molestiae non recusandae. Itaque earum rerum hic tenetur a sapiente delectus, ut aut reiciendis voluptatibus maiores alias consequatur aut perferendis doloribus asperiores repellat.

飜譯 [ 編輯 ]

키케로의 原文은 다음과 같다.

…neque porro quisquam est, qui dolorem ipsum quia dolor sit amet, consectetur, adipisci velit, sed quia non numquam eius modi tempora incidunt ut labore et dolore magnam aliquam quaerat voluptatem. Ut enim ad minima veniam, quis nostrum exercitationem ullam corporis suscipit laboriosam, nisi ut aliquid ex ea commodi consequatur? Quis autem vel eum iure reprehenderit qui in ea voluptate velit esse quam nihil molestiae consequatur, vel illum qui dolorem eum fugiat quo voluptas nulla pariatur?

H. 來컴이 1914年에 英語로 飜譯한 것은 다음과 같다.

Nor again is there anyone who loves or pursues or desires to obtain pain of itself, because it is pain, but because occasionally circumstances occur in which toil and pain can procure him some great pleasure. To take a trivial example, which of us ever undertakes laborious physical exercise, except to obtain some advantage from it? But who has any right to find fault with a man who chooses to enjoy a pleasure that has no annoying consequences, or one who avoids a pain that produces no resultant pleasure?"

이를 韓國語로 飜譯하면 다음과 같다.

亦是 마찬가지로, 單純히 苦痛이라는 理由 때문에 苦痛 그 自體를 사랑하거나 追求하거나 所有하려는 者는 없다. 다만 勞役과 苦痛이 아주 큰 즐거움을 膳賜하는 狀況이 때로는 發生하기 때문에 苦痛을 찾는 사람이 있는 것이다. 簡單한 例를 들자면, 某種의 利益을 얻을 수도 없는데 힘든 肉體的 努力을 기꺼이 할 사람이 우리들 中에 果然 있겠는가? 하지만 귀찮은 일이 뒤따르지 않는 즐거움을 누리는 것을 選擇한 사람, 或은 아무런 즐거움도 생기지 않는 苦痛을 回避하는 사람을 누가 탓할 수 있겠는가?

變形 [ 編輯 ]

標準的인 로렘 입숨과 差異가 나는 變形 表現들도 存在한다. 어떤 것은 元來의 로렘 입숨과 거의 닮지 않았다. 다른 버전에서는 라틴語에서 거의 使用하지 않는 k , w , z 文字를 利用해 zzril , takimata , gubergren 같은 意味없는 單語를 元來의 文句에다 追加해 英語의 글字 分布에 더욱 가깝게 한 것도 있다.

때로는 키케로의 첫 番째 《카틸리나 反駁文》( In Catilinam )의 文句도 組版 見本으로 쓰이기도 한다:

Quo usque tandem abutere, Catilina, patientia nostra? Quam diu etiam furor iste tuus nos eludet? . . . 

文書 編輯機 또는 編輯機에 附屬된 플러그인 모듈 等 다양한 소프트웨어에서 어느 程度 무작위한 로렘 텍스트 를 生成하는 機能을 支援하기도 한다. 이렇게 生成된 文章은 뒤죽박죽인 라틴語처럼 보이는 것 말고는 標準的인 變種과는 共通點이 거의 없다.

文化와 로렘 입숨 [ 編輯 ]

  • 재스퍼 포드 (Jasper Fforde)의 小說 Something Rotten 에서 女子 主人公의 두 살배기 아들 프라이데이는 거의 로렘 입숨 文章만을 말한다.

같이 보기 [ 編輯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