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런던탑의 두 王子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런던탑의 두 王子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1483年 런던탑의 두 王子 에드워드와 리처드》, 존 에버럿 밀레이 의 1878年 作品. 로열 홀러웨이 所長.

런던탑의 두 王子 (Princes in the Tower)는 리처드 3歲 에 依해 런던탑 에 갖혔다가 失踪된 에드워드 5歲 요크 工作 슈루즈베리의 리처드 를 가리키는 말이다. 에드워드 4歲 의 아들인 두 兄弟는 三寸이자 호국경 이었던 글로스터 工作 리처드에 依해 런던탑에 갇혔다가 行方을 알 수 없게 되었다. 失踪 當時 에드워드 5世는 12 歲, 요크共 리처드는 9歲에 不過하였다. 에드워드 5世는 戴冠式 을 앞두고 있었으나 失踪되어 王位는 리처드 3世에게 넘어갔다.

런던탑에서 두 少年에게 무슨 일이 있었는지는 確實히 밝혀진 것이 없다. 그러나 앞뒤의 情況을 보면 殺害當하였을 것으로 여겨진다. 當代에도 리처드 3世가 王位를 탐해 조카들을 죽였다는 所聞이 돌았다. 둘은 아마도 1483年 어느날 죽임을 當했을 것이다. 直接 殺害에 加擔한 사람에 對해서는 여러 가지 설만 있을 뿐이다. 그 中에는 第2代 버킹검 工作 헨리 스태퍼드 헨리 7歲 를 指目하는 說이 있다. 둘이 暗殺을 避해 脫出하여 身分을 숨긴채 살았다는 說도 있다.

두 少年이 暗殺을 避해 脫出하였다는 所聞은 叛亂의 名分이 되기도 하였다. 1487年 렘버트 審넬 은 自身이 요크共 리처드라 主張(나중에 第17代 워윅 伯爵 에드워드 플랜태저넷 이라고 바꿈)이라 主張하며 王位를 要求하였다 . 1491年 王位를 要求하다 1497年 사로잡힌 퍼킨 워벡 은 自身이 플랑드르로 亡命하였던 요크共 리처드라고 主張하였다. 두 王子의 고某였던 요크 貢女 마거릿 은 워벡이 自身의 조카가 맞다고 主張하기도 하였다.

1674年 런던탑에서 工事를 하던 人夫들이 두 어린 사람의 遺骨이 든 나무箱子를 發見하였다. 런던탑의 돌階段 밑에 있던 遺骨 箱子가 發見되자 當時 사람들은 이것이 두 王子의 것이라고 믿게 되었지만, 證明할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었다. 찰스 2歲 는 이 遺骨을 웨스트민스터 寺院 에 埋葬하였고, 오늘날에도 그곳에 묻혀있다.

背景 [ 編輯 ]

1483年 4月 9日 에드워드 4歲 가 3週 동안 앓다가 急逝하였다. [1] 當時 에드워드 4歲의 長子 에드워드 5世는 러들로 性 에 있었고, 에드워드 4歲의 동생인 글로스터 工作 리처드는 요크셔 미들햄 性 에 있었다. 國王이 急逝하였다는 消息이 글러스터 公爵에게 傳해진 것은 4月 15日 이었다. 리처드는 아마도 에드워드 4歲의 病勢를 알고 있었을 것이다. [2] 消息을 들은 글러스터 公爵은 요크 민스터 로 가서 "새 國王에 對한 忠誠"을 誓約하였다. [2] 크로이랜드 年代記 는 에드워드 4世가 죽기 前에 글러스터 工作 리처드를 호국경으로 임명하였다고 記錄하고 있다. [3] 에드워드 4歲의 命을 아무런 瑕疵가 없을 지 몰라도 " 헨리 5歲 의 前例를 볼 때 樞密院 은 숨을 거둔 國王의 遺言을 따르지 않는 境遇도 있었다." [2]

에드워드 5世와 글러스터 工作 리처드는 4月 29日 런던 北쪽 外郭인 스토니 스트랫퍼드 에서 만났다. 이날 아침 글러스터 公爵은 에드워드 5歲의 外三寸 第2代 리버스 伯爵 앤서니 우드빌 과 異腹兄弟 리처드 그레이 를 包含한 隨行員들을 拘禁하였다 [4] 이들은 요크셔 西部의 폰터프랙트 性 으로 보내졌고 6月 25日 斬首당했다. [2] 글러스터 公爵은 直接 에드워드 5歲를 自己 手中에 넣고 새 國王의 동생 요크共 슈르즈베리의 리처드는 두 少年의 母親인 엘리자베스 우드빌 이 데리고 있도록 하였으며, 에드워드 4世와 우드빌 사이의 딸들은 웨스트민스터 寺院으로 보내 비호 받도록 하였다. [2]

글러스터 工作 리처드는 에드워드 5世와 함께 런던에 入城하였지만, 에드워드 5歲의 戴冠式은 5月 4日에서 6月 25日로 延期되었다. [1] 1483年 5月 19日 에드워드 5世는 傳統的으로 國事犯을 가두던 런던탑 에 拘禁되었다. [5] 6月 16日 그때까지 庇護를 받아오던 요크共 리처드 亦是 兄과 함께 런던탑에 갖히게 되었다. [5] 이 즈음 에드워드 5歲의 戴冠式 準備는 三寸 글러스터 工作이 進行하고 있었다. 6月 22日 日曜日 세인트 폴 大聖堂 에서 이루어진 禮拜에서 글러스터 工作 리처드만이 요크 王家 의 正當한 後繼者라는 說敎가 있었다. 6月 25日 "한 무리의 貴族과 記事, 젠틀里"가 리처드 3歲를 새로운 王으로 推戴하였다. [2] 議會는 卽刻 두 王子의 地位를 不法的인 것이라 規定하였고, 이듬해인 1484年 티툴루스 레機우스 ( 라틴語 : Titulus Regius , 王室 作爲法)로 알려진 議會法을 制定하여 에드워드 4世와 엘리자베스 우드빌의 結婚이 無效라고 宣言하였다. [* 1] 이 法은 에드워드 4世가 엘리자베스 우드빌과 婚姻하기 前 이미 엘러너 탤벗 과 婚姻 約條가 있었기 때문에 엘리자베스 우드빌과의 結婚은 重婚을 禁止한 法令에 따라 無效라는 글로스터 工作 리처드의 主張을 正當化하였다. [2] 에드워드 4世와 우드빌의 結婚이 無效라면 그 子女 亦是 婚姻에 依한 赤字가 아닌 私生兒라는 意味가 되므로 에드워드 5世와 요크共 리처드의 王位 繼承權도 사라지게 된다. 7月 3日 글로스터 公爵은 戴冠式을 갖고 리처드 3歲 로 卽位하였다. [6] 로즈메리 好럭스는 이 法이 法理上 溯及立法禁止 를 違反하였다고 指摘한다. [1]

失踪 [ 編輯 ]

리처드 3歲 卽位 當時 잉글랜드에 머무르고 있던 이탈리아의 搜査 도미니크 마치니 는 後날 《리처드 3歲의 王位 簒奪》을 著述하였는데, 이 글에서 마치니는 한 醫師가 런던탑에 들어가 에드워드 5歲를 만난 뒤 傳한 이야기를 싣고 있다. 當時 에드워드 5世는 "犧牲당할 準備가 된 被害者와 같이 每日 告解聖事를 하며 自身의 罪를 懺悔하고 容恕를 求했는데 自身의 죽음이 臨迫했다고 믿었기 때문이었다." [7] 當時 醫師의 記錄으로는 라틴語로 쓰인 "아르젠티누스 메디쿠스"(Argentinus medicus)가 傳해 오는데 애初에 "스트라스부르에서 온 醫師"라고 飜譯되어 왔지만 D.E. 로데는 "醫師 아르젠틴"李 原題에 가까운 飜譯이라 提案하면서 이 記錄을 남긴 사람을 後날 킹스 칼리지 에서 敎授로 在職하고 헨리 7歲 의 長男 웨일스 공 아서 를 治療하기도 하였던 존 아르젠틴日 것으로 推定하였다. [5]

에드워드 5世는 동생 요크共 리처드를 다시 만난 뒤 런턴탑의 뜰에서 함께 노는 모습이 보이기도 하였지만 1483年 여름이 지난 뒤 아무도 그들의 모습을 보지 못하였다. [8] 이해 7月 말 둘을 脫出시키려는 試圖가 있었으나 失敗하였다. [1] 그 뒤 어찌 되었는 지는 如前히 수수께끼로 남아있다.

多數의 歷史學者들은 두 王子가 殺害되었을 것으로 推定한다. 殺害되었다면 그 時期는 아마도 리처드 3世가 卽位한 直後인 1483年 늦여름 쯤이 될 것이다. 英國의 中世史 專門 史學者였던 머리스 킨은 "에드워드 5世와 그의 동생을 求하려는 試圖는 너무 늦었다"며 리처드 3歲가 아닌 헨리 튜더 가 두 王子의 殺害에 某種의 關聯이 있다고 推測하였다. 그는 後날 헨리 7歲가 되는 헨리 튜더家 버킹검 工作을 끌어들여 저지른 일일 것이라고 主張했는데 "버킹검 公爵은 當時 런던탑에서 두 王子가 죽었다면 반드시 그 일을 알게 되는 位置"에 있었기 때문이다. [9] 앨리슨 웨어는 두 王子의 死亡日을 9月 3日 무렵으로 推定하였지만 [10] 이 主張은 "그 根據가 確實하지 않다"는 批判을 받았다. [11] 클레먼츠 마컴 은 1484年 7月까지는 두 王子가 살아있었을 것으로 보는데 리처드 3歲의 執事가 當時 "어린이는 반드시 함께 아침 食事를 해야 함"이라고 指示한 것을 根據로 삼고 있다. [12] 그러나 제임스 게어드너는 執事가 말한 어린이가 두 王子를 뜻하는 것인지 明確치 않다고 指摘하였다. [13] 當時 리처드 3歲는 두 王子 以外에도 第1代 클라렌스 工作 조지 플랜태저넷 의 아들 워윅 伯爵 에드워드 와 에드워드 4歲의 두 어린 딸 캐서린과 브리짓 亦是 따로 監督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2]

證據 [ 編輯 ]

19世紀 프랑스 浪漫主義 畫家 폴 델라老視 가 그린 《런던탑의 에드워드 5世와 요크共》. 에드워드 5世는 가터 勳章 을 單 모습으로 그려졌다. 런던탑의 두 王子는 19世紀 無辜한 어린이의 죽음이라는 主題로 자주 다루어졌다.

失踪이 곧 殺害를 의미한다는 어떤 證據도 없지만 [2] 두 王子가 사라지자 살해당했다는 所聞이 빠르게 퍼져나갔다. 런던탑의 두 王子에 對한 記錄은 도미니크 마치니의 것과 헨리 튜더의 것 둘 밖에 없는데, 마치니의 記錄은 1934年이 되어서야 發見되었기 때문에, 當代에서 只今까지 알려진 이야기는 튜더 王家 의 立場을 代辯하는 것이었다. [2]

런던탑에서 發見되어 웨스트민스터 寺院에 묻힌 遺骸 말고도 윈저 城 의 性 조지 禮拜堂에서 發見된 有害가 두 王子의 것이라는 主張이 있다. 2013年 웨스트민스터 寺院은 埋藏되어 있는 有害의 DNA 鑑識 要請을 拒否하였다. [14]

所聞 [ 編輯 ]

失踪 後 두 王子가 殺害되었다는 所聞은 當代부터 繼續되었다. 프랑스에서도 두 王子가 殺害되었다는 所聞이 돌았고, 1484年 1月 프랑스 大法官 길라움 드 로세포르는 失踪된 에드워드 5歲의 또래 나이로 當時 13歲였던 프랑스 王 샤를 8歲 의 安危를 念慮하여 三部會 를 召集하였다. [13] 로세포르를 비롯하여 召集된 프랑스 政治人들은 하나 같이 리처드 3歲가 에드워드 5歲를 殺害하고 王位를 簒奪했다고 여겼다. [2] 그러나 1500年 무렵 프랑스의 備忘錄에서는 두 王子를 直接 죽음으로 몰아넣은 人物로 버킹검 工作을 指目하고 있다. [15]

두 王子의 失踪 當時 作成된 記錄은 1483年 11月까지 런던에 머물렀던 마치니의 것이 唯一하고 [2] 크로이랜드 年代記는 事件이 있은 지 3年 뒤에, 그리고 프랑스의 備忘錄은 17年이나 지나서 作成된 것이다. 마치니의 記錄이 發見되자 마컴은 그 동안 알려져 왔던 記錄들이 잘못된 것일 수 있다고 보았다. 이를테면 리처드 3世가 直接 命令을 내렸다는 크로이랜드 年代記의 敍述은 캔터버리 大主敎 존 모턴의 推測이 反映된 것이라는 것이다. [12]

初期 文獻 [ 編輯 ]

리처드 3歲
그대가 내 親舊를 죽였나?
티렐
예 陛下;
그러나 제가 죽인 것은 陛下의 敵입니다.
리처드 3歲
왜 그 둘은 至毒한 敵이 되어,
내 休息을 妨害하고, 잠조차 깊이 들수 없게 하였는가.
내가 處理하라고 한 대로 되었나?
티렐, 塔에 있는 그 새끼들 말이야.

? 윌리엄 셰익스피어 리처드 3歲 》, 4幕 2張

16世紀 布木商 로버트 派비얀 이 쓴 《런던 年代記》는 두 王子의 失踪이 있은 지 30年이 지나 作成된 것으로 리처드 3歲가 둘을 죽였다고 記錄하고 있다. [16]

튜더 王朝 時期 政治家인 토머스 모어 는 1513年 무렵 쓴 《리처드 3歲 時期의 歷史》에서 리처드 3歲의 命을 받아 두 王子를 殺害한 者의 이름이 제임스 티렐이었다고 적었다. 리처드 3歲의 王室 下人이었던 티렐은 1502年 反逆罪로 處刑되면서 두 王子를 自身이 죽였다고 自白하였다. 모어는 티렐이 마일스 포레스트와 존 디턴을 帶同하고 두 王子의 寢室에 들어가 베개로 눌러 질식시켜 죽인 다음 "城郭의 돌階段 아래 묻었다"가 祕密裏에 다른 곳으로 옮겨 埋葬하였다고 記錄하였다. [17]

이탈리아의 인문학자 폴리도르 베르길 도 1513年 무렵 著述한 《잉글랜드의 歷史》(Anglica Historia)에서 티렐이 두 王子를 죽였으며 이는 리처드 3歲의 命令에 依한 것이라고 썼고, 리처드 3歲가 "反對者들을 落膽시키기 爲해" 所聞을 퍼뜨렸다고 보았다. [18]

16世紀 後半 作成된 《홀린세드의 年代記》 亦是 리처드 3歲의 命令으로 두 王子가 殺害되었다고 記錄하고 있으며, 後날 윌리엄 셰익스피어 는 이 年代記를 土臺로 戱曲 《 리처드 3歲 》를 執筆하였다. 《리처드 3歲》 4幕 2章에서 두 王子는 리처드 3歲의 命을 받은 티렐에 依해 殺害된다. 英國의 中世史學子 A. J. 폴라드는 셰익스피어의 戱曲이 創作物임은 말할 것도 없고, 그 바탕이 된 年代記 亦是 歷史的 事實의 記錄이라기 보다는 政治的 煽動을 目的으로 한 글이라고 여겼다. [2] 모어의 咀嚼 亦是 歷史를 거울삼아 道德을 지켜야한다는 趣旨에서 이 事件을 言及 한 것으로 [19] 셰익스피어는 모어의 글 亦是 戱曲의 素材로 參考하였다.

屍身 [ 編輯 ]

런던탑 [ 編輯 ]

1675年 런던탑 을 改築하던 人夫들이 작은 人間의 遺骸가 담긴 나무箱子를 發見하였다. 遺骸는 화이트 타워 의 禮拜室로 이어지는 돌階段 밑에 10 피트 깊이로 埋藏되어 있었다. 런던탑에서 어린이의 遺骸가 發見된 일이 처음은 아니었지만 城郭 아래 함께 묻힌 두 어린이의 屍身이란 點을 勘案할 때 에드워드 5世와 요크共 리처드의 狀況과 잘 들어맞았다. 폴라드는 이 遺骸를 두 王子의 것이라 確定할 수 있다고 敍述하였다. [2] 이 有害가 두 王子의 것이라는 根據는 母語가 敍述한내용과 一致하기 때문이지만, 모어는 나중에 移葬되었다는 말도 덧붙였다. [20] 作成者를 알 수 없는 報告書에는 人夫들이 發掘한 箱子에서 遺骨과 함께 벨벳으로 만든 옷감이 나왔다고 記錄되어 있다. 벨벳으로 된 옷을 입었다면 最小限 매우 높은 身分이었으리라고 推定할 수 있다. [21] Four years after their discovery, [2] 遺骸 發見 當時 잉글랜드의 國王은 찰스 2歲 였고 그는 發見된 遺骸를 웨스트민스터 寺院 헨리 7歲 聖母 禮拜堂 에 安置하도록 命令했다. 크리스토퍼 렌 이 두 王子를 위한 記念物을 製作하였다고 한다. [22]

웨스트민스터 寺院의 記錄 擔當者 로렌스 태너에 依하면 解剖學者이자 齒科協會 議長이었던 윌리엄 라이트 敎授가 實驗을 위해 遺骨을 調査했다고 한다. 라이트는 遺骨이 두 어린이의 것으로 失踪 當時 두 王子의 나이와 같다고 結論지었다. [2] 發見 當時 遺骨은 닭과 같은 다른 動物들의 뼈와 섞여 있었고 많은 部位가 遺失되었으나 머리뼈와 齒牙가 穩全히 달린 아래턱뼈는 남아있었다. 뼈들의 相當數가 부러져 있었는데 이는 發見 當時 人夫가 거칠게 發掘하였기 때문이다. [23] [24] 그러나 이 實驗 結果는 두 어린이의 遺骨이라는 것을 確認할 수 있을 뿐이고 이들이 眞짜 두 王子인지 아니면 最小限 男女 區分이 되는 指導 밝혀내지는 못하였다. [2]

以後 웨스트민스터 寺院의 遺骨에 對한 科學的 調査는 더 以上 없었으며 웨스트민스터 寺院은 萬若 抽出 可能한 DNA가 남아있다면 檢査해 보자는 提案을 拒絶하였다. [25] 폴라드는 DNA 檢査와 炭素同位法으로 遺骨의 年代를 밝히더라도 사인이나 殺害者의 身元을 밝힐 수는 없다고 指摘했다. [2]

性 조지 禮拜堂 [ 編輯 ]

1789年 윈저 城 의 性 조지 禮拜堂에 있던 에드워드 4世와 엘리자베스 우드빌의 地下 石室 무덤이 무너져내렸다. 이 때 둘의 무덤 近處에서 작은 石室이 發見되는데 여기에 身元을 알 수 없는 두 어린이의 遺骨이 있었다. 그러나 이 遺骨에 對한 調査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작은 石室 무덤은 에드워드 4世와 엘리자베스 우드빌 사이의 다른 子息들 - 2살에 死亡한 베드퍼드공 조지와 14살에 죽은 딸 메리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둘은 모두 에드워드 4世가 살아있을 때 死亡하였다. [26] [27] [28] 性 조지 禮拜堂의 다른 곳에서 조지 플랜태저넷 [* 2] 과 메리 플랜태저넷의 이름이 새겨진 王室 무덤이 發見되면서 地下 石室 무덤의 主人에 對한 疑惑이 提起되었다. 或是 런던탑의 두 王子가 殺害 된 뒤 여기에 묻힌 것은 아닌가 하는 疑問이었다. 그러나, 에드워드 4世가 살아 있을 當時 死亡한 子女들을 그의 死後 이장하였을 可能性이 있다. [29]

1990年代에 들어 에드워드 4歲의 무덤 周邊의 禮拜堂 바닥에서 낡은 보일러를 交替하는 工事를 하다가 윈저 誠意 歷代 主敎와 司祭를 위한 殿堂에서 두 어린 遺骨의 地下 石室로 이어지는 틈을 發見하였다. 內視鏡 檢査와 같은 裝備를 利用하면 身元을 밝힐만한 것이 있는 지 調査가 可能하다는 意見이 提起되었으나 英國 王室은 王家의 무덤을 열魚滓끼기 보다는 풀리지 않는 "中世의 收受께기"로 그냥 남겨두기를 希望하였다. [30] 2012年 레스터 發掘이 이루어질 때에도 調査가 建議되었으나 엘리자베스 2歲 는 王家의 首長으로서 이를 拒絶하였다. [31]

假說 [ 編輯 ]

브라질의 畫家 페르度 아메리코 가 그린 《에드워드 4歲의 아이들》

두 王子의 失踪 以後 무슨 일이 있었는 지에 對한 確固한 證據가 없기 때문에 여러 가지 假說들이 提起되어 있다. 大部分 失踪 直後 殺害되었을 것이라 보는 것이 通說이다. 殺害되었다면 아마도 리처드 3歲의 命令이 있었을 것이다. [32]

리처드 3歲 [ 編輯 ]

많은 歷史家들이 리처드 3歲 를 指目한다. 實在 에드워드 5世가 正當한 王位 繼承者였음에도 리처드 3歲가 둘을 런던탑에 가둔뒤 卽位하였기 때문이다. 이로서 리처드 3世는 요크 王家 의 마지막 王이 되었다. [33] 萬一 에드워드 5歲가 살아있었다면 리처드 3世는 王位에 오를 수 없었고, 어린 조카는 三寸의 靜寂으로 看做되었다. [34] 1483年 두 王子의 失踪 以後 갖가지 所聞이 떠도는 동안 리처드 3世는 單 한 番도 둘이 살아있다는 言及을 하지 않았다. 이는 리처드 3歲가 둘의 죽음을 알고 있었다는 剛한 傍證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라파엘 홀린셔드 의 1577年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 아일랜드의 年代記》는 리처드가 "無故하게 조카를 殺害했다는 臆測에 시달렸지만 如前히 조카들을 사랑하였고… 큰 賞金을 걸고 둘의 行方을 찾고자 하였다"고 쓰고 있다. [35] 그러나 리처드 3世는 失踪과 關聯한 調査를 進行하지 않았으며 두 조카의 生死에 별다른 關心을 두지 않는듯 했다.

리처드 3歲 本人은 두 王子의 失踪이 일어났을 때 요크 王家의 本據地에 있었으므로 直接 둘을 죽인 것은 아니다. [36] 그러나 두 王子는 런던탑에서 리처드 3歲 手下들의 監視下에 있었으므로 責任을 면하기는 어렵다. [37] 리처드 3歲가 조카들을 죽이라 命令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殺害가 일어났을 때 이를 모르기란 오히려 쉽지 않은 일이었다. [37] 토머스 모어와 폴리도르 베르길은 둘 다 리처드 3歲의 手下였던 제임스 티렐을 犯人으로 指目하고 있다. 티렐은 薔薇 戰爭 期間 동안 요크 王家 便에서 많은 戰鬪를 치른 記事로 薔薇 戰爭이 決着을 볼 무렵인 1502年 헨리 7歲 에게 사로잡혀 反逆罪로 處刑되었는데 審問 過程에서 自身이 리처드 3歲의 名으로 두 王子를 죽였다고 自白하였다. [38] 이 때 審問官이 토머스 모어 였으며 티렐에 對한 記錄은 모어의 審問 記錄 外에 없다. 그러나 그의 自白은 拷問에 依한 것이었으며 두 王子의 屍身을 어디로 옮겼는 지 밝히지 못하였기 때문에 信憑性에 疑問이 있다. [39] 後날 셰익스피어의 戱曲은 이 記錄에 따라 티렐을 두 王子를 殺害한 犯人으로 描寫하고 있다.

當代의 大多數 記錄이 리처드 3歲가 直間接的으로 두 王子의 殺害에 責任이 있다고 敍述하고 있고, 現代의 史學者들 多數도 이를 認定하고 있지다. [32] [40] [41] [42] 薔薇 戰爭의 勝者인 헨리 7世는 리처드 3歲가 暴君이자 殺人者라며 "王室 後孫이 흘린 피"로 天人共怒할 蠻行을 저질렀다고 非難하였다. [43] [44] "王室 後孫이 흘린 피"는 두 王子의 죽음을 뜻하는 것으로 解釋될 수 있다. [36]

第2代 버킹검 工作 헨리 스태퍼드 [ 編輯 ]

리처드 3歲의 오른팔이였던 第2代 버킹검 工作 헨리 스태퍼드 는 가장 그럴듯한 容疑者로 指目된다. 그는 1483年 11月 처형당했지만, 그 때는 이미 王子들이 죽임을 當한 뒤였을 것이다. 버킹검 工作에게는 몇 가지 그럴만한 動機가 있었다. [45] 버킹검 工作 헨리 스태퍼드는 父系쪽으로 第1代 랭커스터 工作 곤트의 존 第1代 글로스터 工作 토머스 를 통해 에드워드 3歲 와 連結되며 母系쪽으로도 뷰포트의 존을 통해 第1代 랭커스터 工作 곤트의 존과 連結된다. 그 亦是 랭커스터 王家의 一員이었으므로 內心 王位를 노렸을 수 있다.

폴 머레이 켄달과 같은 史學者는 [45] 버킹검 工作을 가장 有力한 容疑者로 指目한다. 헨리 스태퍼드는 1483年 10月 리처드 3世에게 反旗를 들고 대척하면서 自身은 알지 못하는 사이에 리처드 3歲가 두 王子를 殺害하였고 그 때문에 큰 衝擊을 받았다고 主張하였다. [46] 그러나 當代에 포르투갈語로 作成된 文書는 헨리 스태퍼드度 두 王子의 죽음에 關聯되어 있었다고 敍述하고 있다. "… 그리고 에드워드 國王이 83歲를 一期로 死亡하자 그의 동생인 글로스터 公爵은 自身의 兄인 國王의 두 아들 웨일스 공 과 요크 功을 버킹검 公爵의 손에 맡겼고 拘禁된 두 王子는 굶주리다 죽음을 맞았다." [47] 한 동안 行方을 알 수 없었다가 1980年 문장원 에서 發見된 文書에서는 두 王子를 죽인 者를 "버킹검 公爵의 副官"이라고 指目하고 있다. [48] 이 때문에 마이클 베닛은 버킹검 孔雀이나 티렐과 같은 리처드 3歲의 手下가 君主의 命令을 기다리지 않고 獨自的인 判斷으로 王子를 殺害했을 수 있다고 推定한다. 그렇다면 아마도 리처드 3世는 事件이 일어난 뒤 한 달이 지나 런던에 到着했을 때야 報告를 받았을 것이다. [49]

그러나 버킹검 工作이 單獨으로 두 王子를 殺害하지 못할 두 가지 理由가 있다. 무엇보다도 萬一 버킹검 工作이 單獨으로 殺害하였다면 리처드 3世는 재빨리 그를 國事犯으로 逮捕하고 處刑함으로써 自身은 아무런 關聯이 없다는 名分을 쌓을 수 있게 된다. [50] 그 다음 理由로 리처드 3歲의 支援없이 헨리 스태퍼드가 런던탑에 들어가 王子를 만날 수 있는 方法이 없었기 때문이다. [37] 따라서 버킹검 工作이 獨斷으로 두 王子를 殺害하였다면 리처드 3世는 적어도 그 事實을 卽刻 알게 되어 있었다. [50] [51] 제레미 포터는 헨리 스탠퍼드가 殺害에 對해 有罪를 받게 되더라도 리처드 3世는 沈默으로 一貫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於此彼 누구도 리차드 3世가 그들과 關聯이 없다고는 생각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52] 포터는 한 발 더 나아가 버킹검 工作이 리처드 3歲의 共助 또는 幇助 속에 두 王子를 죽였을 수 있다고 主張한다. [53] 한便 버킹검 公爵의 立場에서 두 王子를 죽이는 것은 스스로 王座에 앉을 出發點이 될 수 있었다. [53] 이 假說은 샤론 펜먼의 歷史 小說 《莊嚴한 太陽》(The Sunne in Splendour)의 素材가 되었다. [54]

기타 [ 編輯 ]

薔薇 戰爭 리처드 3歲 가 戰鬪 中 死亡하여 幕을 내렸고 헨리 7歲 튜더 王朝 時代를 열었다. 이 때문에 헨리 7歲가 랭커스터 家門의 王位 後繼者를 미리 除去하여 王權을 노린 것이란 主張이 있다. [2] 헨리 7歲는 두 王子의 누나인 요크의 엘리자베스 와 婚姻하였는데, 婚姻 後로도 리처드 3歲 時節 두 王子의 王位 繼承 資格을 否定하기 위해 再訂된 《티툴루스 레機우스》 法案이 存續되었기 때문에 헨리 7歲 亦是 두 王子의 王位繼承權을 탐탁치 않게 여겼던 것은 事實이다. [12] 이 外에도 헨리 7世의 母后인 제인 쇼어 를 指目하는 假說도 있다.

影響 [ 編輯 ]

實在 어떤 일이 있었는 가와 相關 없이 리처드 3世는 當代에 이미 조카를 殺害한 冷酷한 三寸으로 指目되었다. [55] 리처드 3世가 直接 죽이진 않았을 지라도 當代 사람들의 눈에 그는 王位를 簒奪하기 위해 조카를 逼迫한 冷血漢이었다. [56] [57] 後날 헨리 7歲가 되는 헨리 튜더는 이러한 리처드 3歲의 惡評을 利用하였다. [58]

런던탑의 두 王子는 歷史를 다루는 小說, 戱曲, 映畫, 漫畫 等에 자주 登場하는 素材이다.

各州 [ 編輯 ]

參照週

  1. 婚姻 無效 宣言은 離婚이 禁止된 中世 時期 結婚에 따른 血緣 關係를 淸算하는 方便으로 자주 利用되었다.
  2. 요크 王家 플랜테저넷 王家 의 後孫으로 또 다른 後孫인 랭커스터 王家 와 잉글랜드 王귀 繼承權을 놓고 薔薇 戰爭 을 벌였다.

內容主

  1. Horrox, Rosemary (2004). “Edward IV of England” .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Oxford University Press. 2016年 3月 7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3年 8月 25日에 確認함 .  
  2. Pollard, A.J. (1991). 《Richard III and the princes in the tower》. Alan Sutton Publishing. ISBN   0862996600 .  
  3. The Crowland Chronicle Continuations, 1459?1486, Nicholas Pronay and John Cox (eds.), (Richard III and Yorkist History Trust, Gloucester: 1986), p.153.
  4. Chalmers' Biography, vol. 32, p. 351
  5. Rhodes, D.E. (April 1962). “The Princes in the Tower and Their Doctor”. 《The English Historical Review》 (Oxford University Press) 77 (303): 304?306. doi : 10.1093/ehr/lxxvii.ccciii.304 .  
  6. Peter Hammond and Anne Sutton, The Coronation of Richard III: the Extant Documents (Palgrave Macmillan, 1984)
  7. "The Usurpation of Richard the Third", Dominicus Mancinus ad Angelum Catonem de occupatione regni Anglie per Riccardum Tercium libellus ; Translated to English by C.A.J. Armstrong (London, 1936)
  8. R. F. Walker, "Princes in the Tower", in S. H. Steinberg et al, A New Dictionary of British History , St. Martin's Press, New York, 1963, p.286.
  9. M. H. Keen, England in the Later Middle Ages: A Political History , Routledge: New York, 2003, p.388.
  10. Alison Weir, The Princes of the Tower (p. 157)
  11. Wood, Charles T (April 1995). “Review: Richard III: A Medieval Kingship. by John Gillingham; The Princes in the Tower. by Alison Weir”. 《Speculum》 (Cambridge University Press: Medieval Academy of America) 70 (2): 371?372. doi : 10.2307/2864918 .  
  12. Markham, Sir Clement Robert (April 1891). “Richard III: A Doubtful Verdict Reviewed”. 《The English Historical Review》 (Oxford University Press) 6 (22): 250?283. doi : 10.1093/ehr/vi.xxii.250 .  
  13. Gairdner, James (July 1891). “Did Henry VII Murder the Princes?”. 《The English Historical Review》 (Oxford University Press) 6 (23): 444?464. doi : 10.1093/ehr/vi.xxiii.444 .  
  14. Travis, Alan (2013年 2月 5日). “Why the princes in the tower are staying six feet under” . 《 The Guardian 》.  
  15. Philippe de Commines, Memoirs: the Reign of Louis XI, 1461?83 , Translated by Michael Jones (1972), pp.354, 396?7.
  16. Fabyan, Robert (1902) [first published 1516]. Charles Lethbridge Kingsford, 編輯. 《Chronicles of London》 . Oxford: Clarendon Press.  
  17. The History of King Richard the Third , by Sir Thomas More.
  18. Polydore Vergil, Anglica Historia 保管됨 26 2月 2009 - 웨이백 머신 1846 edition, p. 188-9
  19. Baker-Smith, Dominic (2014). “Thomas More” .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 Sir Thomas More, The History of King Richard II , R.S. Sylvester (ed.), (Newhaven: 1976), p.88
  21. Weir, Alison. The Princes in the Tower . 1992, Random House, ISBN   9780345391780 , p. 252-3.
  22. John Steane, The Archaeology of the Medieval English Monarchy (Routledge, 1993), page 65
  23. Weir, p. 257
  24. 'Examination on the alleged murder of the Princes' Archived 2019年 2月 21日 - 웨이백 머신 , Wordpress: Richard III Society ? American Branch
  25. “Richard III and the Princes ? e-petitions” . 2013年 10月 14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8年 10月 17日에 確認함 .  
  26. Chapter Records XXIII to XXVI, The Chapter Library, St. George's Chapel, Windsor (Permission required)
  27. William St. John Hope: "Windsor Castle: An Architectural History", pages 418?419. (1913).
  28. Vetusta Monumenta, Volume III, page 4 (1789).
  29. Lysons & Lysons, Magna Britannia, 1812 supplement p. 471. Also in Britton's Architectural Antiquities of Great Britain, 1812 page 45. The move to Edward IV's crypt mentioned in Samuel Lewis, "A Topographical Dictionary of Great Britain" 1831.
  30. Art Ramirez, "A Medieval Mystery", Ricardian Bulletin , September 2001.
  31. Robert McCrum (2012年 9月 15日). “Richard III, the great villain of English history, is due a makeover” . 《The Observer》 (London: Guardian) . 2013年 2月 7日에 確認함 .  
  32. “The Society ? History” . Richardiii.net. 2006年 11月 30日. 2018年 10月 12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0年 5月 16日에 確認함 .  
  33. Hicks, Michael (2003). 《Richard III》 Revis版. Stroud: History Press. 209?210쪽.  
  34. Hicks, Michael (2003). 《Richard III》 Revis版. Stroud: History Press. 210쪽.  
  35. Raphael Holinshed, "Chronicles of England, Scotland and Ireland ", 1577, p.746, commencing on line 48.
  36. Richard III by Michael Hicks (2003) p 210
  37. Weir, Alison (2013). 《Elizabeth of York: The First Tudor Queen》. London: Jonathan Cape. 104쪽.  
  38. Rosemary Horrox, ‘Tyrell, Sir James (c.1455?1502)’,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online edn, Jan 2008, accessed 27 Aug 2013 (購讀 必要)
  39. Thomas More, The History of King Richard the Third Archived 2016年 3月 16日 - 웨이백 머신 . Accessed 20 September 2013
  40. Richard III by Michael Hicks (2003) ISBN   978-0-7524-2589-4
  41. Helen Castor, She-Wolves: the Women who Ruled England before Elizabeth (Faber, 2010), ISBN   978-0-571-23706-7 , p402
  42. Pollard p 135
  43. James Orchard Halliwell-Phillipps, Letters of the Kings of England, Vol. 1 (1846), p.161.
  44. Rotuli Parliamentorum , J. Strachey (ed.), VI, (1777), p.276
  45. Kendall, Paul Murray (1955). 《Richard III》. New York: Norton. 487?489쪽.  
  46. Weir, Alison (2008). 《The Princes in the Tower》. London: Vintage. 151?152쪽.  
  47. Alvaro Lopes de Chaves (ref: Alvaro Lopes de Chaves, Livro de Apontamentos (1438?1489), (Codice 443 da Coleccao Pombalina da B.N.L.), Imprensa Nacional ? Casa da Moeda, Lisboa, 1983), private secretary to the Portuguese King Alfonso V.
  48. College of Arms Collection, Queen Victoria Street, London, manuscript MS 2M6. The entire document containing the reference consists of 126 folios. It appears to have belonged to Christopher Barker whilst he was Suffolk Herald (1514?22), since his name, title, and a sketch of his maternal arms appear on folio. io6r. of the MS.
  49. Bennett, Michael (1993). 《The Battle of Bosworth》 2板. Stroud: Alan Sutton. 46쪽.  
  50. Cheetham, Antony (1972). 《The Life and Times of Richard III》. London: Weidenfeld & Nicolson. 148쪽.  
  51. Pollard 123?124
  52. Potter, Jeremy (1983). 《Good King Richard? An Account of Richard III and his Reputation》. London: Constable. 134쪽.  
  53. Potter, Jeremy (1983). 《Good King Richard? An Account of Richard III and his Reputation》. London: Constable. 135쪽.  
  54. Penman, Sharon (1983). 《The Sunne in Splendour》. London: Macmillan. 884?885쪽.  
  55. Pollard pp. 137?139
  56. Pollard p 138
  57. Hicks p. 211-212
  58. Cheetham, Anthony (1972). 《The Life and Times of Richard III》. London: Weidenfeld & Nicolson. 151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