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랑게르한스섬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랑게르한스섬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랑게르한스섬 (islets of Langerhans, pancreatic islets), 또는 利子섬 은 利子에 있는 內分泌 組織이다. 1869年 解剖病理學 者 파울 랑게르한스에 依해 發見되었다. [1] 利子 섬은 利子 부피의 1~2%를 차지하며 利子에 들어오는 10~15%의 血流가 通過한다. [2] [3] 利子 섬은 이자 全體에 걸쳐 稠密하게 分布되어 있으며, 葡萄糖의 代謝에 重要한 役割을 한다. [4]

表皮의 랑게르한스 細胞와는 다른 組織이다.

救助 [ 編輯 ]

健康한 어른의 境遇 約 3百萬 個의 利子 섬이 이자 全體에 걸쳐 稠密한 섬 形態로 分布하고 있으며, 各各 0.1 mm (109 μm)의 지름을 가진다. [5] :914 各各의 섬은 이자의 다른 部分에 걸쳐 엮여 있는 纖維狀 連結 組織과 連續的으로 連結된 纖維性 連結 組織 캡슐로 이자의 다른 部分과 區分된다. [5] :914

微細解剖學 [ 編輯 ]

利子 섬에서 호르몬을 生成되어 바로 血流로 分泌하는 細胞는 最小 5가지가 알려져 있다. 쥐의 利子 섬에서 細胞의 區分은 다음과 같이 區別된다: [6]

利子 섬의 細胞 構造는 種마다 다르다는 것이 알려져있다. [7] [8] [9] 例示로 齧齒類의 利子 섬은 인슐린을 生成하는 베타 細胞가 中心部에 主로 分布하며 알파, 델타, PP 細胞가 周邊部에 적게 分布하나, 人間의 利子 섬은 알파 細胞와 베타 細胞가 全體 利子 섬에 비슷한 比率로 存在한다. [7] [9]

利子 섬은 自家分泌와 側分泌 信號傳達을 통해 서로에게 影響을 줄 수 있으며, 베타 細胞는 여섯 個에서 일곱 個 程度의 다른 베타 細胞와 電氣的으로 連結되어 있다. [10]

機能 [ 編輯 ]

利子 섬의 側分泌 되먹임 契는 다음과 같은 構造를 가진다: [11]

  • 葡萄糖/인슐린: 베타 細胞의 活性化, 알파 細胞의 抑制.
  • 글리코겐/글루카곤: 알파 細胞의 活性化를 통해 베타 細胞와 델타 細胞를 活性化.
  • 소마토스타틴: 알파 細胞와 베타 細胞를 抑制.

많은 數의 G 蛋白質 連結 受容體 가 利子 섬에서의 인슐린, 글루카곤 그리고 소마토스타틴의 分泌를 調節한다. [12] 一部 G 蛋白質 連結 受容體 2型 糖尿 治療劑의 타겟으로 作用한다 (GLP-1 受容體 拮抗劑, DPPIV 抑制劑).

電氣的 活性 [ 編輯 ]

利子 섬의 電氣 活性은 패치 클램프 技術을 利用해 硏究 되어 왔다. 이를 통해 健康한 利子 섬에서의 細胞 擧動이 그렇지 못한 利子 섬에서의 細胞 擧動과 다르다는 것이 밝혀졌다. [13]

臨床的 意味 [ 編輯 ]

糖尿 [ 編輯 ]

利子 섬의 베타 細胞는 인슐린을 分泌하며, 糖尿에서 重要한 役割을 한다. 糖尿病 患者에서 베타 細胞는 自家 免疫 作用에 依해 破壞된다고 알려져 있다. 反對로 베타 細胞가 破壞되지 않고 但只 機能을 하지 않는다는 報告도 있다.

臟器移植 [ 編輯 ]

第 1型 糖尿病 患者의 이자 섬 베타 細胞는 自家 免疫 反應에 依해 選擇的으로 破壞된다. 이에 베타 細胞의 機能을 回復하기 위해 利子 移植이나 人工 利子 를 代身할 이자 섬 移植이 活潑히 硏究되고 있다. [14] [15] 이자 섬 移植은 1970年代 糖尿病 治療를 위한 治療法으로 떠올랐으며 지난 30年間 꾸준히 發展했다. [16] 最近의 臨床 試驗에 따르면 臟器寄贈者의 利子 섬을 第 1型 糖尿病 患者에게 移植 한 後 인슐린 獨立性과 改善된 大使 調節을 再現性있게 얻을 수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5]

第 1型 糖尿病에 對한 利子 섬 移植은 現代 授與者의 免疫 拒否를 豫防하기 위한 免疫 抑制가 必要하다. [17]

聖體 줄기 細胞 또는 電球 細胞로부터 由來된 인슐린 生成 細胞가 長期 寄贈의 不足을 克服하기 위한 代案冊으로 떠오르고 있다. 再生 醫學이 빠르게 發展함에 따라 가까운 未來에 該當 技術이 開發될 것으로 보인다. 한便, 第 1型 糖尿가 이자의 베타 細胞에 對한 自家 免疫에 依한 破壞 때문이므로, 適切하고 安全한 免疫 仲裁와 베타 細胞 再生 接近法을 結合한 順次的 接近法이 必要하다. [18] 알파 細胞가 베타 細胞로 分化 할 수 있다는 것도 立證되었다. 健康한 사람과 糖尿病 患者, 쥐의 알파 細胞 모두 自發的으로 베타 細胞로 轉換될 수 있어 未來의 베타 細胞 治療法으로 豫想된다. [19] 實際로, 섬 形態와 內分泌 分化가 直接的으로 關聯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20] 內分泌 宣祖 細胞는 凝集力에 依해 새싹 같은 섬 前驅體 또는 "半島"를 形成함으로써 分化되는데, 여기서 알파 細胞는 半島 外層을 構成하고 베타 細胞는 그 아래에 形成된다.

이미지 [ 編輯 ]

같이 보기 [ 編輯 ]

出處 [ 編輯 ]

  1. Langerhans P (1869). “Beitrage zur mikroscopischen anatomie der bauchspeichel druse”. 《Inaugural-dissertation. Berlin: Gustav Lange》.  
  2. Barrett KE, Boitano S, Barman SM, Brooks HL (2009年 7月 22日). 《Ganong's review of medical physiology》 23板. McGraw Hill Medical. 316쪽. ISBN   978-0-07-160568-7 .  
  3. “Functional Anatomy of the Endocrine Pancreas” . 2023年 3月 31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9年 12月 14日에 確認함 .  
  4. Pour, Parviz M.; Standop, Jens; Batra, Surinder K. (January 2002). “Are islet cells the gatekeepers of the pancreas?”. 《Pancreatology》 2 (5): 440?448. doi : 10.1159/000064718 . PMID   12378111 .  
  5. Sleisenger, edited by Mark Feldman, Lawrence S. Friedman, Lawrence J. Brandt; consulting editor, Marvin H. (2009). 《Sleisenger & Fordtran's gastrointestinal and liver disease pathophysiology, diagnosis, management》 9板. St. Louis, Missouri: MD Consult. ISBN   978-1-4160-6189-2 .  
  6. Elayat AA; el-Naggar MM; Tahir M; Bassam dahrouj (1995). “An immunocytochemical and morphometric study of the rat pancreatic islets” . 《Journal of Anatomy》. 186. (Pt 3) (Pt 3): 629?37. PMC   1167020 . PMID   7559135 .  
  7. Brissova M, Fowler MJ, Nicholson WE, Chu A, Hirshberg B, Harlan DM, Powers AC (2005). “Assessment of human pancreatic islet architecture and composition by laser scanning confocal microscopy”. 《Journal of Histochemistry and Cytochemistry》 53 (9): 1087?97. doi : 10.1369/jhc.5C6684.2005 . PMID   15923354 .  
  8. Ichii H, Inverardi L, Pileggi A, Molano RD, Cabrera O, Caicedo A, Messinger S, Kuroda Y, Berggren PO, Ricordi C (2005). “A novel method for the assessment of cellular composition and beta-cell viability in human islet preparations”. 《American Journal of Transplantation》 5 (7): 1635?45. CiteSeerX   10.1.1.578.5893 . doi : 10.1111/j.1600-6143.2005.00913.x . PMID   15943621 .  
  9. Cabrera O, Berman DM, Kenyon NS, Ricordi C, Berggren PO, Caicedo A (2006). “The unique cytoarchitecture of human pancreatic islets has implications for islet cell function” .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03 (7): 2334?9. Bibcode : 2006PNAS..103.2334C . doi : 10.1073/pnas.0510790103 . ISSN   1091-6490 . PMC   1413730 . PMID   16461897 .  
  10. Kelly, Catriona; McClenaghan, Neville H.; Flatt, Peter R. (2011). “Role of islet structure and cellular interactions in the control of insulin secretion”. 《Islets》 3 (2): 41?47. doi : 10.4161/isl.3.2.14805 . PMID   21372635 .  
  11. Wang, Michael B.; Bullock, John; Boyle, Joseph R. (2001). 《Physiology》. Hagerstown, MD: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391쪽. ISBN   978-0-683-30603-3 .  
  12. "An atlas and functional analysis of G-protein coupled receptors in human islets of Langerhans.Amisten S, Salehi A, Rorsman P, Jones PM, Persaud SJ., Pharmacol Ther . 2013 May 18. PMID   23694765
  13. Perez-Armendariz M, Roy C, Spray DC, Bennett MV (1991). “Biophysical properties of gap junctions between freshly dispersed pairs of mouse pancreatic beta cells” . 《 Biophysical Journal 59 (1): 76?92. Bibcode : 1991BpJ....59...76P . doi : 10.1016/S0006-3495(91)82200-7 . PMC   1281120 . PMID   2015391 .  
  14. Meloche RM (2007). “Transplantation for the treatment of type 1 diabetes” . 《World Journal of Gastroenterology》 13 (47): 6347?55. doi : 10.3748/wjg.13.6347 . PMC   4205453 . PMID   18081223 .  
  15. Hogan A, Pileggi A, Ricordi C (2008). “Transplantation: current developments and future directions; the future of clinical islet transplantation as a cure for diabetes”. 《Frontiers in Bioscience》 13 (13): 1192?205. doi : 10.2741/2755 . PMID   17981623 .  
  16. Piemonti L, Pileggi A (2013). “25 Years of the Ricordi Automated Method for Islet Isolation” . 《CellR4》 1 (1): 8?22.  
  17. Chatenoud L (2008). “Chemical immunosuppression in islet transplantation?friend or foe?”. 《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58 (11): 1192?3. doi : 10.1056/NEJMcibr0708067 . ISSN   0028-4793 . PMID   18337609 .  
  18. Pileggi A, Cobianchi L, Inverardi L, Ricordi C (2006). “Overcoming the challenges now limiting islet transplantation: a sequential, integrated approach”. 《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1079 (1): 383?98. Bibcode : 2006NYASA1079..383P . doi : 10.1196/annals.1375.059 . ISSN   0077-8923 . PMID   17130583 .  
  19. van der Meulen, T.; Mawla, A.M.; DiGruccio, M.R.; Adams, M.W.; Nies, V.; Dolleman, S.; Liu, S.; Ackermann, A.M.; Caceres, E.; Hunter, A.E.; Kaestner, K.H.; Donaldson, C.J.; Huising, M.O. (2017). “Virgin Beta Cells Persist throughout Life at a Neogenic Niche within Pancreatic Islets” . 《Cell Metabolism》 25 (4): 911?926. doi : 10.1016/j.cmet.2017.03.017 . PMID   28380380 .  
  20. Sharon, N.; Chawla, R.; Mueller, J.; Vanderhooft, J.; Whitehorn, L.J.; Rosenthal, B.; Gurtler, M.; Estanboulieh, R.R.; Shvartsman, D.; Gifford, D.K.; Trapnell, C.; Melton, D. (2019). “A Peninsular Structure Coordinates Asynchronous Differentiation with Morphogenesis to Generate Pancreatic Islets” . 《Cell》 176 (4): 790?804.e13. doi : 10.1016/j.cell.2018.12.003 . ISSN   0092-8674 . PMC   6705176 . PMID   30661759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