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디온 크리소스토모스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디온 크리소스토모스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요한 야코프 라이스케 가 編輯한, 디온 크리소스토모스의 演說文 [1784. Oration 1, ΠΕΡΙ ΒΑΣΙΛΕΙΑΣ ( On Kingship )]

디온 크리소스토모스 ( 그리스어 : Δ?ων Χρυσ?στομο? , 書記 40年頃 ? 115年頃) 또는 프루辭意 디온 , 디오 코케이아누스 (Dio Cocceianus)는 西紀 1世紀 로마 帝國 그리스人 演說家이자 著述家, 哲學者, 歷史家이다. 80卷으로 된 그의 演說文 (Λ?γοι)뿐만 아니라, 몇몇 書信과 익살맞은 隨筆 “머리카락에 對한 讚美”, 少數의 未完 有故들이 남아있다. 그의 別稱인 크리소스토모스는 그리스어 로 ‘黃金의 입’을 意味한다.

生涯 [ 編輯 ]

로마의 非티니아 屬州(오늘날 튀르키예 北西쪽 地域)에 있는 프루社 (Prusa, 오늘날 부르사 )에서 태어났다. 디온의 아버지, 波市크라테스 (Pasicrates)는 디오의 敎育과 이른 精神 修養에 대단한 功을 들인 것처럼 보인다. 그가 故鄕에 있었을 때, 그곳에서 그는 演說文과 다른 修辭學 詭辯學 에 關한 隨筆을 지필하면서 重要한 職位를 맡았다가, 以後에는 哲學 硏究에 모든 集中을 다하였다. 그렇지만 그는 어느 特定한 學派라고 自身을 定義내리지 않았을뿐더러, 어느 深奧한 見解도 내리지 않았는데, 그의 目的은 오히려 哲學的 敎理를 實生活의 目的, 좀 더 正確히는 公的 業務의 行政에 適用하는 것, 卽 더 나은 狀況을 일으키는 것이었다. 그럼에도 스토아 學派 플라톤 學派 哲學者들은 그에 對해서 대단한 好意를 지녔던 것으로 보인다.

그는 베스파시아누스 在位 期間 (西紀 69?79年)에 로마 로 건너 갔으며, 이 時期에 그는 結婚을 하고 아이를 가졌던 것으로 보인다. [1] 그는 도미티아누스 皇帝의 批判者가 되었는데, [2] 도미티아누스는 82年에 그를 皇帝에 對한 模擬 關聯者에게 助言을 해주었다는 理由로 그를 로마, 이탈리아 , 비티니아에서 追放시켰다. [3] 델포이 神託 의 助言을 받아, [4] 그는 乞人 의 차림새를 하고, [5] 주머니에 플라톤 의 《 파이돈 》과 데모스테네스 官職 에 對한 演說文의 寫本만을 지닌 채, 키니코스 學派 哲學者의 生活을 살았고, 로마 帝國 의 北方과 東邦의 나라들에 對한 旅程을 떠났다. 그래서 그는 트라키아 , 미시아 , 스키티아 , 게타이 地域을 訪問했고, [6] 그의 演說의 힘과 智慧 德에, 그는 모든 곳에서 歡待받았고, 많은 좋은 일들을 배풀었다. [7] 그는 네르바 의 親舊이기도 했는데, [8] 도미티아누스가 서기 96年에 살해당하자, 디온은 네르바를 支持하기 위하여, 國境 地帶에 駐屯하던 兵力 에 自身의 影響力을 發揮했다. 네르바 皇帝 時期에, 그의 追放令이 滿了되었고, 그는 프루社에 있는 집으로 돌아갈 수 있었다. 그는 以後 生涯에 皇帝인 마르쿠스 코케이우스 네르바가 自身에게 준 後援을 記念하기 위해 코케이아누스 (네르바의 性 코케이우스의 變形)라는 姓을 붙이고 다녔다. [9] 네르바의 後任者 트라야누스 는 디온에게 큰 尊敬心을 가졌고, [10] 最大限의 便宜를 보였다. 디온의 親切한 氣質은 티아나의 아폴로니오스 , 티레의 에우프라테스 같은 많은 著名한 親舊들을 얻게 해주었고, 그의 演說은 모든 이들의 尊敬을 얻어다 주었다. 以後 生涯에 디온은 프루社에서 相當한 地位를 지녔었고, 大略 111年에 都市 再建 訴訟에 그가 關聯되었다는 記錄들이 存在한다. [9] 그는 그後로 몇 年 뒤에 死亡했을 것이다.

咀嚼 [ 編輯 ]

디온 크리소스토모스는 2世紀 初가 全盛期였던 後記 소피스트 學派의 그리스 哲學者였다. 그는 필로스트라토스 , [11] 시네시오스 , [12] 포티오스 [13] 等 그에 對해서 記錄을 남긴 古代人들에게 가장 著名한 그리스 搜査學者 利子 소피스트 들 中 한 名으로 손꼽혔다. 이는 如前히 現存하는 그의 80個의 演說文으로 確認되며, 이 演說文들은 포티오스 時代에 알려진 唯一한 것들이다. 口述을 가르치기 위한 用途로 쓰인 것으로 보이며, 政治와 道德, 哲學的 主題에 對한 隨筆 種類들이었다. 여기에는 君主의 美德에 對해 트라야누스 에게 紹介된 王位 에 關한 演說文 4個, 시노페의 디오豫니스 의 人格에 對한 演說文 4個, 사람들이 스스로 自然 스러운 性質을 저버릴 때 얻는 問題點에 對한 演說文, 君主가 마주해야만 하는 어려움들에 對한 演說文, 奴隸制 自由 에 關한 隨筆, 演說家 로서 名聲을 얻게 하는 演說文, 그가 때로는 稱讚하고 때로는 非難했지만 恒常 溫和함과 分別力을 갖고 發言된 여러 都市들에 關한 政治 敵 談論들, 그가 大衆的이고 魅力的인 方式으로 다뤘던 倫理 와 實用 哲學에 關한 主題의 演說文, 마지막으로 神話 및 所感文에 關한 主題의 演說文 等이 있었다. 그는 賣春 을 許容하는 걸 强力히 反對하는 主張을 하였다. [14] 그는 또한 호메로스 의 敍事詩들이 印度 에서 飜譯되고 불린다고 主張하기도 했으나 [15] 이는 事實이 아닐로 보이며, 마하바라타 라마야나 와 混同이 있었을 수 있는데, 이 두 作品에서는 主題 面에서 어느 程度 共通點들이 存在한다. [16] 디온의 演說文 두 個 (37篇과 64篇)는 現在 파보리누스 의 것으로 分類된다. 80個의 演說文 外에도 다른 50個의 남아있는 部分들이 存在하며, 디온의 이름으로 된 書信 5個 亦是도 現存한다.

디온은 트로이人들이 트로이 戰爭 에서 勝利했다고 생각했다. [17] 몇몇 現代 學者들 亦是도 똑같이 主張하기도 한다. 이에 對한 例에는, A. Belyakov, O. Matveychev 等이 自身들의 著書에서 多數의 現代的 資料들을 言及하는 이 觀點을 固守한다. [18]

그는 그 外에 많은 哲學書 및 歷史書를 지畢했으나, 남아있는 것은 없다. 그가 지필한 것 中 하나는, 게타이 에 對한 게티카 로, [11] 수다 는 이 書籍을 디오 카시우스 가 쓴 것이라 잘못 나타냈다. [19]

各州 [ 編輯 ]

  1. Dio Chrysostom, Orat. xlvi. 13
  2. Dio Chrysostom, Orat. iii. 13
  3. Dio Chrysostom, Orat. xiii. 1
  4. Dio Chrysostom, Orat. xiii. 9
  5. Dio Chrysostom, Orat. xiii. 11
  6. Dio Chrysostom, Orat. xii. 16
  7. Dio Chrysostom, Orat. xxxvi. ; comp. Orat. xiii. 11 ff.
  8. Dio Chrysostom, Orat. xlv. 2
  9. Pliny, Epistles, x. 81
  10. Dio Chrysostom, Orat. iii. 2
  11. Philostratus, Vitae sophistorum i.7
  12. Synesius, Dion
  13. Photius, Bibl. Cod. 209
  14. Dio Chrysostom, Orat. vii.133?152
  15. Dio Chrysostom, Orat. liii. 6-8
  16. McEvilley, T., (2002), The Shape of Ancient Thought: Comparative Studies in Greek and Indian Philosophies , page 387. Allworth Communications.
  17. “Dio Chrysostom - Luwian Studies” .  
  18. “Trojan Horse of Western History” .  
  19. Suda, Dion

參考 書籍 [ 編輯 ]

追加 書籍 [ 編輯 ]

  • Eugenio Amato, Xenophontis imitator fidelissimus. Studi su tradizione e fortuna erudite di Dione Crisostomo tra XVI e XIX secolo (Alessandria: Edizioni dell'Orso, 2011) (Hellenica, 40).
  • Eugenio Amato, Traiani Praeceptor. Studi su biografia, cronologia e fortuna di Dione Crisostomo (Besanscon: PUFC, 2014).
  • T. Bekker-Nielsen, Urban Life and Local Politics in Roman Bithynia: The Small World of Dion Chrysostomos (Aarhus, 2008).
  • P. Desideri, Dione di Prusa (Messina-Firenze, 1978).
  • A. Gangloff, Dion Chrysostome et les mythes. Hellenisme, communication et philosophie politique (Grenoble, 2006).
  • B.F. Harris, "Dio of Prusa", in Aufstieg und Niedergang der Romischen Welt 2.33.5 (Berlin, 1991), 3853-3881.
  • C.P. Jones, The Roman World of Dio Chrysostom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978).
  • Simon Swain, Hellenism and Empire. Language, Classicism, and Power in the Greek World, AD 50-250 (Oxford, 1996), 187?241.
  • Simon Swain. Dio Chrysostom (Oxford, 2000).
  • Aldo Brancacci, Rhetorike philosophousa. Dione Crisostomo nella cultura antica e bizantina (Napoli: Bibliopolis, 1986) (Elenchos, 11).

外部 링크 [ 編輯 ]

디온의 著書 [ 編輯 ]

2次 資料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