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두루미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두루미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두루미

生物 分類 ??
界: 動物界
文: 척삭動物門
江: 鳥綱
목: 두루미目
과: 두루미科
속: 두루미속
種: 두루미
學名
Grus japonensis
Muller , 1776
두루미의 分布

保全狀態

危機(EN): 絶滅可能性 매우 높음
評價機關: IUCN 赤色 目錄 3.1 [1]

滅種危機Ⅰ級: 現在 深刻한 滅種危機에 處해 있음
評價機關: 大韓民國 環境部 [2]


CITES Ⅰ: 去來 根絶 必要
評價機關: CITES [3]

두루미 ( 英語 : red-crowned crane , 學名 Grus japonensis 그루스 야포넨시스 [ * ] ) 또는 (鶴)은 두루미目 두루미科 한 種으로, 韓國에서도 觀察할 수 있는 겨울철새 이다. 몸길이 140cm의 大型 鳥類이며 목과 다리가 길다 壽命은 最大 30~50年 程度이다. 두루미 保存을 위해 南北韓과 러시아의 共同 協力이 必要하다고 專門家들은 提案한다.

主要 生態 [ 編輯 ]

러시아와 中國의 接境地域인 北滿洲, 삼강平野(아무르江 合搜部), 한카호, 日本의 홋카이도 東部 쿠시로濕地 等에서 繁殖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一夫一妻制의 繁殖體制를 維持한다. 散亂數는 2個이며, 암수가 어린새를 이듬해 4~5月까지 보살핀다(물론 3月에 독립시키는 境遇도 있음). 餘他 겨울철에 到來하는 潮流와는 달리 繁殖期에 形成되는 家族軍을 維持하는 獨特한 潮流이다(유 等, 2008). 家族軍이 아닌 境遇(2~4, 5年生 未成熟새)10餘 個體의 무리를 짓거나 먹이를 供給하는 地域의 境遇 100餘 個體 以上의 集團을 이루어 生活한다(첨부된 8番째 寫眞參照). 두루미는 宏壯히 社會的인 動物로, 나이든 個體가 어린 個體에게 移動 最短距離를 알려주어 目的地에 더 빨리 到着하게 하는 것이 確認되었다.

먹이 및 習性 [ 編輯 ]

韓國에서의 겨울철 먹이는 主로 秋收하다가 남은 쌀, 율무, 콩 等의 落穀, 개川의 著書無脊椎動物(貝類, 甲殼類 等), 미꾸라지, 魚類, 兩棲類, 옥수수 等을 먹는 雜食性이다. 强化 및 새만금地域 等의 갯벌에서 越冬하는 두루미는 망둥어, 칠게 等이 主要 먹이院이다. 재두루미에 비해서는 肉食性 먹이를 選好한다. 繁殖地에서는 濕地에서 利用可能한 魚類, 貝類, 無脊椎動物(主로 우렁), 兩棲爬蟲類, 小型哺乳類 等의 다양한 動物을 먹이로 한다. 健康한 成體는 人間 外의 天敵이 거의 없다. 그러나 弱하거나 어린 個體는 삵이나 여우等의 먹이가 된다. 알이나 孵化한지 얼마 되지 않은 새끼새는 까마귀의 威脅을 받는다. 繁殖地에서 두루미는 捕食者를 猛烈히 攻擊하며, 越冬池에서 或是 모를 哺乳類 捕食者들의 威脅에 對備하기 위해 밤에는 얕은 물에서 잠을 잔다. 물은 熱損失이 적고, 다가오는 潛在的 捕食者(人間, 삵 等)를 물소리로 알아챌 수 있다는 長點이 있다. 겉으로는 쉽게 암수區分을 할 수 없지만, 妨害要因에 對한 防禦行動 或은 다른 두루미나 재두루미에 對한 排他的 行動이 수컷에 나타나며, 繁殖期의 수컷은 華麗한 춤으로 求愛를 한다. 合唱이라 解釋되는 Unison call을 할 때 "뚜뚜루룩"하는 소리를 내는데, 먼저 소리를 내는 쪽이 수컷이며 半拍子 後 따라서 若干 낮은 音色으로 소리를 내는 것이 암컷이다.

韓國에서의 두루미 [ 編輯 ]

鐵原郡 到來 두루미

每年 10月 末에서 3月 中旬까지 韓國에 到來하며 江原特別自治道( 鐵原郡 이 가장 큰 越冬池이며, 京畿道 ( 坡州市 , 漣川郡 ), 仁川廣域市 ( 江華郡 )에 一部 到來하며, 江原特別自治道( 高聲 ), 全羅北道 ( 金堤市 )의 萬頃江下丘(새만금 갯벌) 等이 小規模 渡來地이다. 1982年부터 大韓民國에서 發行되고 있는 500원 銅錢 앞面에는 날고 있는 두루미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

過去 記錄으로는 第2次 世界 大戰 移轉에 百千, 甕津, 沿岸과 瑞山, 唐津, 豫算, 淸州, 鎭川, 陰性, 珍島, 康津, 海南, 莞島, 長興, 高興 等 內陸과 海岸地域에 두루 分布하였다. 하지만 韓國 戰爭 以後에 仁川, 金浦, 臨津閣, 대성동, 漣川, 鐵圓, 襄陽 等의 地域에서 觀察 되었으며, 最近에는 江華島와 대성동, 漣川, 鐵圓 地域에 局限되어 棲息한다. 現在 鐵原盆地 地域이 가장 많은 두루미가 越冬을 하며, 2008年 基準으로 約 700餘 個體의 두루미가 鐵圓 地域에서 월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음으로 京畿道 漣川 約 120個體(2008年), 坡州 대성동의 個體群은 規模가 不確實하며, 江華島 의 越冬池에는 10個體 程度의 少數만이 到來한다. 그外 江原道 固城은 最近 觀察 記錄이 없으며, 釜山市 洛東江 河口 等에서 各 1回의 觀察記錄이 있지만 持續的인 越冬記錄은 아니었다. 全北 金堤의 境遇 2005年 3月 金堤 鳥類保護協會 會員에 依하여 2年生 암컷 未成熟새가 救助되어 2007年 基準으로 鐵原郡 한국조류보호협회 野生鳥獸類 救助센터에서 保護받고 있다(2020년 現在 放射狀態). 環境部에서 實施하고 있는 全國겨울철새 同時센서스에 依하면 群山과 金堤의 海岸地域(새萬金)에서 해마다 한雙 程度가 월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保全現況 [ 編輯 ]

大韓民國 에서는 文化財廳 에 依하여 天然記念物로 指定되어 있으며, 環境部 指定 滅種危機 野生生物 1級에 屬한다. 國際的으로 保護를 要하는 藻類이며, 公式的으로는 全 世界에 1,700-2,200個體가 生存하여 IUCN 赤色目錄 上 滅種危機(Endangered)種으로 分類되어 있다. 2022年 基準으로는 CR 等級에서 VU 等級으로 調整되었지만 높은 人照度와 함께 濕地潮流로서의 象徵性을 가져 다양한 民間團體로 부터 保護對象이 되고 있다. 2005年 越冬池를 基準으로 한 個體數에서 中國 ( 長杠 하구) 1,200個體, 日本( 홋카이도 ) 1,000個體 以上, 大韓民國 (鐵圓, 漣川, 强化) 650個體(2023年 基準 2100個體로 增加함) 等 큰 棲息地에서만 2,900個體로 推算되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의 境遇 平安南道 海岸 地域에 400餘 個體, 鐵圓地域에 一部 到來(南側 地域과 重複), 元山 의 安邊이 100餘 個體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最近 書式與件의 惡化로 移動時機에만 一部 到來하는 것으로 알려져 報告되었다. Jung(2006)에 따르면 元山地域은 1980年代 100餘個體가 持續的으로 越冬하였으나, 꾸준히 減少하여 2000年度까지 4個體가 間或 觀察 될 程度로 書式與件이 매우 惡化된 것으로 報告하였다. 두루미는 非武裝地帶와 隣接한 民間人統制地域에서 依存的으로 棲息하는 狀況이다(유승화 等 2012). 하지만 民間人統制地域은 持續的으로 解除壓力이 있는 地域이며 現在까지 解除되어 왔다. 그에 따라 두루미의 棲息分布는 民間人統制地域 안쪽으로 萎縮되는 樣相을 보였으며, 이러한 樣相은 두루미가 人間의 活動에 敏感하기 때문으로 여겨진다(유승화 等 2014).

大韓民國의 天然記念物
두루미(두루미)
天然記念物 第202號
指定日 1968年 5月 31日
所在地 全國 一圓
天然記念物 두루미(두루미) | 國家文化遺産포털

個體群 變化樣相 [ 編輯 ]

韓國戰爭 以後 1970年代에 仁川 連喜洞, 坡州 自由마을과 대성동, 鐵圓地域에 125~150個體가 報告되었다(Won 1980). 倍(2000)에 따르면 1990年代 初 200餘 個體에서 90年代 末 400個體 以上으로 增加한 것으로 報告하였다. 以後 鐵原郡(2002)와 유승화 等(2022)의 硏究結果에 따르면 鐵圓地域의 두루미個體數가 旣存에 알려진 450餘個體 보다 100個體 程度가 많은 550個體(2002年), 1300餘 個體(2023年 未發表)가 觀察 되었다. 또한 最近 調査結果에 따르면 두루미의 個體數가 鐵圓地域 뿐만 아니라 漣川, 坡州 等에서도 增加하고 있으며 2000個體를 超過하는 狀態로 把握되고 있다(유승화 等 2020).

같이 보기

寫眞 [ 編輯 ]

參考資料 [ 編輯 ]

  • BirdLife International. 2001. 《 Threatened birds of Asia: the BirdLife International Red Data Book 》. Cambridge, UK: BirdLife International.
  • Chan, S. 1999. 《 Atlas of the key sites for cranes in the North East Asian Flayway. 》 Tokyo; Wetland International in Japan.
  • Masatomi, H. 2005. 《 More than 1,000 Grus japonensis counted in Hokkaido in 2005. 》 Bulletin of the Japan Cranes and Storks Network. 2: 1, p8-12.
  • Chong, J. 2006. 《 Conservation of the Threatened Birds of Asia, in particular Cranes and Black-faced Spoonbills. 》 Conservation of the Threatened Bird Conservation in Asia for the cerebration of 50th Anniversary of Korea University. Tokyo, Japan. 11p.
  • Won, P. O. 1980. Present Status of the Cranes Wintering in Korea and Their Conservation. Theses Collection, Kyunghee Univ. 10: 413-421.
  • Won, P. O. 1981. 《 Status and conservation of cranes wintering in Korea. 》 in the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Crane Symposium at Saporo, Japan. Crane Research Around the World. Intl. Crane Foundation. Baraboo. Wisconsin.
  • Klenova, A. V., I. A. Volondin and E. V. Volodina. 2008. Duet structure provides information about pair identity in the red-crowned crane (Grus japonensis) Japanese Journal of Ethology 26:317-325.
  • 배성환. 2000. 非武裝地帶에 越冬하는 두루미類의 棲息地利用에 關한 硏究: 越冬收容能力과 GIS를 利用한 空間分布分析을 中心으로. 慶熙大學校 博士學位論文. 77pp.
  • 유승화. 2004. 두루미와 재두루미의 分布에 미치는 要因과 家族君의 行動樣相. 慶熙大學校 碩士學位論文. 113pp.
  • 유승화, 이기섭, 유정칠. 2008. 두루미類의 越冬地域으로서의 鐵原 民間人統制地域에 對한 選好度: 2002~2003年 越冬期. 한국조류학회地 15(1): 39-49.
  • 유승화, 이기섭, 金仁圭, 강태한, 이한수. 2008. 두루미類의 取食無理 크기 및 構成과 道路에 依한 影響: 道路의 影響 vs 通行에 依한 影響? 韓國環境生態學會誌 23(1): 41-49.
  • 유승화, 이기섭, 김진한, 허위행, 박종화. 2012. 鐵圓地域 越冬 두루미類의 棲息地 利用 變化 趨勢: 2002-2012年 越冬期. 한국조류학회地 19(2): 115-125.
  • 유승화, 이기섭, 김화정, 허위행, 김진한, 박종화. 2014. 鐵圓地域에서 越冬하는 두루미와 재두루미의 棲息密度모델. 生態와 環境 47(4): 282-291.
  • 유승화, 이기섭, 김수호, 박용현, 최진원, 김진한, 김화정, 허위행. 2022. 20年間 鐵圓地域 두루미와 재두루미의 越冬個體群 變化像. 한국조류학회地 29(2): 104-110.
  • 鐵原郡. 2002. 철새 保全計劃 持續可能한 開發戰略 樹立硏究. 462p.

各州 [ 編輯 ]

  1. Grus japonensis . 《 滅種 危機 種의 IUCN 赤色 目錄 . 2013.2板》 (英語). 國際自然保全聯盟(IUCN) . 2013 . 2013年 11月 26日에 確認함 .  
  2. 國立生物資源館 . “두루미” . 《韓半島의 生物多樣性》. 大韓民國 環境部 .  
  3. 國家生物多樣性센터. Grus japonensis (Muller, 1776) 두루미” . 《國家 生物多樣性 情報共有體系》.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