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두도막 形式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두도막 形式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두도막 形式 또는 二部 形式 (二部形式)은 2個(A-B)의 主要 部分으로 된 形式으로서, 大部分의 境遇 두도막 形式의 各 部分은 反復되어 ‘||:A:||:B:||’ 라는 꼴이 된다.

두도막 形式의 2個의 部分은 本來 一切였으나 둘로 나뉜 것으로 보아야 한다. 그리고 때때로 제2부의 첫머리에서 第1部에 對한 對照가 試圖되는데, 이는 統一과 變化라는 兩面에서 보면 當然한 것이지만, 두도막 形式의 第2部의 本質은 第1部에 對한 對照에 있는 것이 아니라 어디까지나 제1부의 모자람을 보태고, 1部와 2部를 합쳐서 完全한 刑으로 一體化한다는 點에 있다. 따라서 그 2個의 部分은 素材, 構成 等 많은 點에서 類似한 것이 普通이며, 이 境遇에는 正確히 말해서 ‘A-A’ 라는 構成이 된다.

두도막 形式, 세도막 形式 은 모두 그 規模는 不過 수마디 乃至 十數마디의 樂曲에서 交響曲 의 한 樂章에까지 이를 만큼 다양하다. 古典모음曲(古典組曲)인 춤曲 은 거의 擴大된 두 도막形式을 取하고 있으며, 바흐 의 《 英國 모음曲 (組曲)》이나 《 프랑스 모음曲 》은 그 좋은 例이다.

參考 文獻 [ 編輯 ]

같이 보기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