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獨逸語 樣態不變化詞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獨逸語 樣態不變化詞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獨逸語에서 樣態不變化詞(modal particle, 毒 Modalpartikel, Abtonungspartikel) 或은 樣態素砂 는 獨逸語 口語 言語使用驛에서 卽興的으로 發生하는 口語에서 主로 使用되는 非屈折單語(uninflected word)이다. 話者나 敍述者의 氣分이나 態度를 反映하거나, 焦點 (focus, 새롭게 나타나거나 旣存 情報로 豫測할 수 없거나 旣存 情報와 對照的인 內容의 情報)을 强調하는 役割 두 가지가 있다.

種種 樣態不變化詞 (modal particle)는 模糊하거나 全體 脈絡에 依存하는 效果를 가진다. 話者는 ' doch mal' , ' ja nun' , ' ja doch nun mal' 같은 不變化詞를 섞어 쓰기도 한다. 口語의 典型的인 特徵이다.

獨逸語와 같은 系列 言語인 英語와 比較했을 때, 獨逸語 單語 大部分은 英語로 無難히 飜譯되지만, 樣態불變化社는 英語에 對應하는 單語가 없어 飜譯하기 어렵다.

用例 [ 編輯 ]

1. halt, eben, einmal(mal) [ 編輯 ]

halt , eben einmal [1] (이 글에서는 全體)과 nun einmal (縮約 : nun mal )은 文章 내 表現된 不快할 수도 있는 事實도 바뀔 수 없고 受容되어야 한다는 뜻이다. Halt nun mal eben 보다 口語的이다. 英語로는 'as a matter of fact'나 'happen to' 程度로 飜譯된다.

(독) Gute Kleider sind eben teuer.
(令) Good clothes are expensive, and it can't be helped. / Good clothes happen to be expensive.
(韓) 좋은 옷은 오로지 正確히 딱 비싸다. 그러니 어쩔 수 없다. / 좋은 옷은 그냥 偶然히 비싼 것이다.
(독) Er hat mich provoziert, da habe ich ihn halt geschlagen.
(令) He provoked me so I hit him ? what did you expect? (그가 나를 賭博하였고 그래서 나는 그를 때렸다. 너는 무엇을 期待했는가? )
(한) 그는 나를 挑發하였고, 나는 그를 참으로 말그대로 그렇게 할 수 밖에 없어 그냥 때렸다.
(독) Es ist nun einmal so.
(令) That's just how it is.
(韓) 그것은 그냥 單純히 그렇다.

einmal 或은 줄여서 mal (英語 直譯 'once'(한番), 大江 意譯 'for once'(이番 한番만))은 또한 行動의 迅速性 을 가리키며, 指示 를 內包하기도 한다. 反面 文章에 무심함(casualness) 을 附與하기도 하며 덜 直說的 人 느낌을 준다.

(독) Hor mal zu!
(令) Listen! 或은 Listen to me"
(韓) 잘 들어!
(독) Beeile dich mal !
(令) Do hurry up!
(韓) 서둘러!
(독) Sing mal etwas Schones!
(令) Why don't you sing something pretty?
(韓) 아름다운 것을 부르는 것은 어때?
(독) Schauen wir mal .
(令) (直譯) Let's take one look. (意譯) Let's just relax and then we'll see what we'll be doing.
(韓) (直譯) 우리 한番 보자. (意譯) 우리 暫時 쉬자, 그러면 우리가 할 일을 알 것이다.

2. ja [ 編輯 ]

ja (英語 直譯 "you know"/"everyone knows"/"I already told you")는 청자가 이미 事實을 알고 있고 自身의 言及이 상기시켜주는 것이나 結論이 되도록 意圖한다는 뜻이다.

(독) Ich habe ihm ein Buch geschenkt, er liest ja sehr gerne.
(令) I gave him a book as, you know, he likes to read.
(韓) 나는 그에게 冊을 한 卷 주었는데, 아시겠지만 그는 冊 읽는 걸 무척 좋아한다.
(독) Heidi ist ja ein Kind.
(令) Heidi is a child as you can see.
(韓) 하이디는 보시는 바와 같이 어린아이입니다.

3. doch, schon [ 編輯 ]

doch 는 몇 가지 意味가 있다. (See also 틀:Format link .) 確言 의 意味로 使用되거나 强調 , 緊急 , 造給 의 感情을 傳達한다. 또한 靑瓷나 다른 사람의 立場에서, 事實에 根據하거나 假定하거나 先制的으로 對答한 反對, 躊躇, 잘못된 推定에 對한 應答 이기도 하다. 다른 狀況에서는 다른 效果를 갖기도 한다.

逆으로 doch 疑心 을 表現할 수 있으며, 文魚에서는 確言의 意味와 疑心의 意味가 模糊하여 脈絡에 따라 다르다. 口語에서 doch는 强調 類型에 따라 區別될 수 있다.

(독) A: Gehst Du nicht nach Hause? / Doch , ich gehe gleich.
(令) A: Are you not going home? / B: Oh, yes, I am going in a moment. (不正 疑問文에 對한 確言, 或은 義務)
(韓) A: 집에 안 가니? / B: , 곧 가. (집에 안 가냐는 否定疑問文에 對해 反對의 意味인 肯定型 對答을 函)
(독) Komm doch her!
(令) Do come here! (强調)
(韓) 이리 와! (相對가 무엇을 하든 相關없이, 나의 判斷이 옳다고 强調하고 이리로 올 것을 慫慂함)
(독) Komm doch endlich her!
(令) Do come on! Get a move on! (보다 强調하면서도 早急함이 있음)
(韓) 어쨌든 이리 와! ('結局', '畢竟', '左右之間', '어쨌든'이라는 意味의 endlich를 使用하여, 相對의 狀況이나 意見에 反對하거나 그와 相關 없이, 結局에는 이쪽으로 올 수 밖에 없다는 것을 드러내어 話者의 早急한 마음을 보임)
(독) Ich habe dir doch gesagt, dass es nicht so ist.
(令) I did tell you that it isn't like that. 或은 I told you it isn't like that, didn't I?
(韓) 나는 너한테 얘기했 잖아 , 그게 아니라는 걸. 아니야? (相對가 모르거나 잘못 推定하고 있는 事實에 對하여 反對하고, 自身이 한 말을 强調)
(독) Ich kenne mich in Berlin aus. Ich war doch letztes Jahr dort.
(令) I know my way around Berlin. I was here last year, after all/as a matter of fact.
(韓) 나는 베를린을 훤히 알고 있다. (너는 몰랐겠지만) 어쨌든/事實 나는 昨年에 여기 있었(기 때문이)다. (相對方의 잘못된 或은 모르는 事實로서 '自身이 베를린에 있었다'는 것을 提示하여 바로잡는다는 語感)

이런 式으로, doch 는 强勢 있는 schon (=영 indeed)과 비슷하지만, 有强勢 schon 은 陳述의 實際的 端緖를 意味한다. 이는 aber (=영 but)가 들어간 절에 依해 露骨的으로 드러나기도 한다.

(독) Ich war schon auf der Party, aber Spaß hatte ich nicht.
(令) I was indeed at the party, but I did not enjoy myself.
(韓) 나는 事實 그 파티에 있었지만, 재밌지는 않았다. (相對方이 모르는 事實을 指摘하는 것이 아니라, 相對方이 全혀 몰랐으며 몰랐어도 아무런 指摘 對象이 되지 않는다는 前提 下에 客觀的이고 淡淡하게 自身이 파티에 있었다는 事實을 提示)

'이미(=영 already)'라는 뜻의 무强勢 schon 과는 헷갈려서는 안된다. 그러나 文魚에서 무强勢 schon은 다른 府使를 追加하는 等 脈絡에 依해 失手 없이 解釋되거나 같은 '이미'라는 뜻의 bereits 로 代替되기도 한다.

(독) Ich war schon (/bereits) auf der Party, aber Spaß hatte ich ( noch ) nicht.
(令) I was already at the party, but I had not (yet) been enjoying myself.
(韓) 나는 이미 파티에 있었지만, (全혀) 즐겁지는 않았다.

다른 脈絡에서, doch는 文章 내 敍述된 行動이 發生할 可能性이 적다는 것을 보여준다.

(독) Du bist also doch gekommen!
(令) You came after all.
(韓) 너 어쨌든 왔잖아! (事實은 안 왔을 可能性이 높은데도 그랬다고 우기는 것)
(독) Ich sehe nicht viel fern, aber wenn etwas Gutes kommt, schalte ich doch ein.
(令) I don't watch much TV, but I do tune in if something good comes on.
(韓) 나는 TV를 많이 안 보지만, 좋은 것이 나올 때에는 反對로 集中하여 본다. (平素에는 TV를 잘 안 보지만, 平素의 習慣과 달리 흥미로운 것이 나오면 많이 본다는 뜻)

4. gar, total [ 編輯 ]

gar 는 陳述, 完全性, 專務(全無)를 强調한다.

(독) Ich besitze gar kein Auto.
(令) I'm afraid I have no car [at all].
(韓) 나는 自動車를 全혀 갖지 못할까 걱정된다.

文章 初盤에, 特히 文學 作品에서, gar 는 다른 意味를 갖기도 하며, sogar ganz 와 互換된다.

(독) Gar die Lehrerin hat uber dich gelacht!
    = 
Sogar
 die Lehrerin hat uber dich gelacht!
(令) Even the teacher laughed at you! (여기서 gar는 樣態不變化詞가 아니다.)
(韓) 先生님조차도 널 비웃으신다!
(독) Gar 20 Jahre lebe ich jetzt schon hier.
    = 
Ganze
 20 Jahre lebe ich jetzt schon hier.
(令) I already have been living here for two entire decades.
(韓) 나는 이미 穩全히 20年을 여기에서 살아 왔다.

무언가가 全無하다는 意味를 表現하는데 있어서 rein(純全히) gar 앞에 나오기도 한다.

(독) Ich habe rein gar nichts gemacht!
(令) I did absolutely nothing!
(韓) 나는 完全히 아무것도 안 했다!

total(完全히) 은 形容詞나 副詞 用法 外에도 樣態不變化詞로 使用하여 反語(irony) 를 表現한다. 英語로 'well', 'really', 'let me think...'로 飜譯된다.

(독) A: Hast du Lust meinen Geschirrspuler auszuraumen? / B: Total ...
(令) A: Do you wanna empty my dishwasher? / B: Let me think... no!
(韓) A: 食器洗滌器를 非우길 願하니? / B: 完全히 (아니야)!
(독) Ich musste heute drei Stunden beim Arzt warten... hat total Spaß gemacht...
(令) Today I had to wait for three hours at the doctor's office... it really was a lot of fun!
(韓) 나는 3時間 동안 醫師의 事務室에서 기다려야 했다... 完全 재밌었네!

5. aber [ 編輯 ]

aber 는 接續詞가 아닐 때에는 doch 와 비슷하며, 미리 말하거나 內包된 主張에 對한 反對 意味이다. 對案的으로, aber 를 넣어 놀람을 표할 수 있다.

(독) Du sprichst aber schon gut Deutsch!
(令) But you do already speak good German!
(韓) 하지만 너는 獨逸語를 잘 하잖아!
(독) Du sprichst aber gut Deutsch!
(令) Wow, do you speak good German!
(韓) , 獨逸語를 잘 하네!

6. sowieso, ohnehin, eh [ 編輯 ]

sowieso, ohnehin 或은 eh 는 英語로 'anyway(s)'를 의미하며, 主張을 强調하는데 使用한다. 特히 南獨逸語에서 eh 는 口語的으로 가장 흔하다. 이 모든 것이 先行하는 doch 에 依해 强調될 수 있다.

(독) Ich hab ihm eh gesagt, dass er sich warmer anziehen soll.
(令) I told him to put on warmer clothes in the first place.
(韓) 나는 어쩄든 따뜻한 옷을 입으라고 그에게 말하였다.
(독) Das ist eh nicht wahr.
(令) That's not true anyway.
(韓) 그것은 어쨌든 事實이 아니다.

7. vielleicht [ 編輯 ]

vielleicht 는 樣態不變化詞로서 强調 에 使用되며, '아마도'를 意味하는 府使 'vielleicht'와는 헷갈려서는 안 된다.

(독) Das ist vielleicht ein großer Hund!
(令) That's quite a large dog! ('Das'에 强調點을 두면서)
(韓) 그것은 確實히 큰 개가 아니다.

그러나

(독) Vielleicht ist das ein großer Hund. Es ist schwer zu erkennen.
(令) Maybe that's a large dog. It's difficult to tell.
(韓) 아마도 그것은 큰 개가 아닐 것이다. 識別하기 어렵다.

8. fei [ 編輯 ]

fei 는 더 以上 府使 'fein'(英 finely)으로 認識되지 않으며, 高地帶 獨逸語(Upper German) 方言 特有의 樣態不變化詞이다. 무언가 重要한 것이 聽者에게 놀라움이 될 것이라는 것을 말한다. 標準獨逸語로 適切히 飜譯하자면 어려우며, 最善의 交替물은 强한 確定的 意味를 갖는 것의 節制된 表現으로 使用한다. 英語에서는 '그리 생각된다(I should think)' 或은 '그저 말하자면(just to mention)' 程度가 文脈에 따라 使用될 수 있다.

(스와非我 方言) Des kosch fei net macha!
(標準獨逸語) Das kannst du (eigentlich wirklich) nicht machen
(英語) You can't do that! / If you do look at it, you really can't do that. / You can't, I should think, do that.
(바바리아 方言) I bin fei ned aus Preissen!
(標準獨逸語) Ich bin, das wollte ich nur einmal anmerken, nicht aus Preußen. / Ich bin wohlgemerkt (gar) nicht aus Preußen.
(英語) Just to mention, I'm not from Prussia.

9. wohl [ 編輯 ]

wohl vermutlich(아마도) wahrscheinlich(그럴듯한) 와 같은 認識 關聯 府使 代身, 或은 强한 反對 表現에 使用되기도 한다. 글字 그대로 probably나 seemingly 等으로 飜譯되기도 한다.

(독) Es wird wohl Regen geben.
(令) It looks like rain. / It's probably going to rain.
(韓) 오늘 아마 비가 올 것 같다. /
(독) Du bist wohl verruckt!
(令) You must be out of your mind.
(韓) 너는 正말 미쳤구나!

같이 보기 [ 編輯 ]

參考文獻 [ 編輯 ]

  • Bross, Fabian (2012). “German modal particles and the common ground” (PDF) . 《Helikon. A Multidisciplinary Online Journal》: 182?209.  
  • Durrell, Martin; Arnold, Edward (1991). 《Hammer's German Grammar and Usage》. Hodder and Sloughton. ISBN   0-340-50128-6 .  
  • Collier, Gordon; Shields, Brian (1977). 《Guided German-English translation: ein Handbuch fur Studenten》. ISBN   3-494-00896-5 .  
  • Servulo Monteiro Resende, Die Wiedergabe der Abtonungspartikeln doch, ja, eben und halt im Englischen auf der Grundlage literarischer Ubersetzungen , Dissertation (1995)

外部 링크 [ 編輯 ]

各州 [ 編輯 ]

  1. 一般 樣態不變化詞와 달리, einmal의 口語的 縮約型으로 mal을 使用하는 것은 標準語가 아닌 것으로 看做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