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도쿠가와 이에미쓰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도쿠가와 이에미쓰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도쿠가와 이에미쓰
?川 家光
도쿠가와 이에미쓰
도쿠가와 이에미쓰
세 잎의 접시 꽃 가몬
세 잎의 접시 꽃 가몬
第3代 에도 幕府 程頥大將軍
在任 1623年 ~ 1651年
前任 도쿠가와 히데타다
後任 도쿠가와 이에쓰나
無事 情報
時代 에도 時代
出生 게이初 9年 7月 17日 ( 1604年 8月 12日 )
死亡 게이안 4年 4月 20日 ( 1651年 6月 8日 )
幕府 에도 幕府
父母 도쿠가와 히데타다 , 스겐인
配偶者 다카쓰카社 다카코
子女 지요히메, 이에쓰나 , 쓰나시게 , 쓰나요시 , 쓰루마쓰
墓所 닛코 다理由人

도쿠가와 이에미쓰 ( 日本語 : ?川 家光 , 1604年 8月 12日 ~ 1651年 6月 8日 , 在位 1623年 - 1651年 )는 日本 에도 幕府 의 第3代 쇼군 이다.

1623年 아버지 도쿠가와 히데타다 (?川秀忠)로부터 쇼군 자리를 물려받았으나 1632年 에 가서야 비로소 實權을 掌握하였다. 幕府의 支配 體制를 强化하였으며 1638年 基督敎 를 믿는 農民들의 叛亂인 시마바라의 난 (島原の?)을 契機로 基督敎 團束과 鎖國 體制를 더욱 强化하였다. 以後 日本과 交易이 許可된 나라는 오직 朝鮮 , 淸나라 그리고 傳道를 하지 않는 네덜란드 의 3國 뿐이었다.

墓所는 닛코 (日光) 린露地 (輪王寺)에 있다.

生涯 [ 編輯 ]

幼年期 [ 編輯 ]

게이初 9年( 1604年 ) 7月 17日 에도城 니시老마루(西の丸)에서 出生하였다. 아버지는 에도 바쿠후의 2代 쇼군 토쿠가와 히데타다 이며, 어머니는 히데打多義 情實 에요 (江?)이다. 이미 히데타다에게는 長男 나가마루(長丸)가 있었으나 이에미쓰가 태어날 즈음에는 이미 夭折하여, 事實上 이에미츠가 後繼者로 여겨졌으므로 祖父 도쿠가와 이에야스 (?川家康)의 兒名인 다케치요 (竹千代)를 兒名으로 물려받아 使用하였다. 乳母는 아케치 미쓰히데 의 家神이었던 사이토 都市미쓰 의 딸이자 이나바 馬사나리 의 正室인 가스家奴 쓰步네 이다.

게이初 10年( 1605年 ) 아버지 히데타다가 正式으로 2代 쇼군의 자리에 就任하였다.

게이初 11年( 1606年 ) 冬服 동생인 拘泥마쓰(?松, 後日의 도쿠가와 多다나가 )가 出生하였다. 後世의 記錄인 『戊夜觸淡(武野燭談)』에 따르면 두 兄弟의 兩親은 病弱하고 말을 더듬었던 長男 이에미쓰에 比해 次男 多다나가를 더 寵愛하여 後繼者로 삼고자 하였으나, 이에 危機感을 느낀 가스家奴 쓰步네가 오고쇼 (大御所)로 물러나 있던 이에야스에게 長幼有序를 名分으로 直訴하여 이에미쓰를 後繼者로 確立하는 데 一助하였다고 한다. 實際 이 記錄의 眞僞 與否는 不分明하나 記錄上 이에미쓰가 後繼者로 確實視된 時點은 겐나 元年( 1615年 ) 무렵으로 推定되고 있다.

겐나 2年( 1616年 ) 5月 사카이 다다토시 , 나이토 기요쓰구 , 아오야마 다다토시 等을 맞아들인 것을 始作으로 9月에는 約 60名의 少年들을 始動으로 들여 一連의 가신단을 構成하였다. 겐나 3年 正式으로 쇼군 後繼者의 居處인 니시노 마루에 들었고, 겐나 4年 朝廷의 勅使를 맞이하는 等 公式 行事를 遂行하였다.

겐나 6年 冠禮를 치르고 다케치遼에서 이에미쓰 (家光)로 改名한 뒤 種 3位 곤다이羅곤(?大納言)에 任命되었다. 本來는 「이에타다(家忠)」로 改名할 것이 決定되었으나, 스덴 (崇?)의 推薦으로 「이에미쓰」가 落點되었다.

겐나 9年( 1623年 ) 3月 5日 쇼군 後繼者로서 禹코노에곤다이쇼(右近衛大?)에 任命되었다. 같은 해 아버지 히데打다와 함께 교토 로 上京하여 7月 27日 후시미性 (伏見城)에서 正式으로 쇼군 선지를 받고 3代 쇼군으로 就任함과 同時에 나다이眞(?大臣)에 任命되었다. 같은 해 12月 셋케 의 一員인 다카쓰카社(鷹司) 家門의 다카코 (孝子)와 婚姻하여 正室로 맞아들였다.

治世와 死亡 [ 編輯 ]

治世 初期에는 오고쇼 로 물러난 父親 히데타다가 如前히 軍事 指揮權 等의 政治的 實權을 掌握하여 事實上 히데타다 - 이에미쓰 2원 構圖로 政治 體制가 運用되었다. 實際로 間에이 3年( 1626年 ) 7月 高미즈노誤 天皇 의 니兆 行次 當時 히데打다와 함께 교토 에 上京하였을 때에도 쇼軍人 이에미쓰 本人보다 誤高쇼인 히데타다가 다테 마사무네 , 社타케 요시노부 等의 有力 다이묘 하타모토 等을 多數 거느리고 上京하였으며 天皇 謁見 以後에도 이에미쓰가 社다이진(左大臣) 兼 社코노에곤다이쇼(左近衛大?)로 昇格한 데 그친 것에 비해 히데타다는 태정대신 (太政大臣)으로 昇格하였다.

山킨코타이

間에이 9年( 1632年 ) 히데타다가 死亡하면서 비로소 이에미쓰 1원 構圖로 事實上의 親庭을 始作하였다. 하타모토 를 中心으로 直轄 領地의 再編에 着手하여 幕府의 財政 및 權力 構築을 確固하게 하였으며 로주 (老中), 와카都市料理 (若年寄), 副校 (奉行), 오메쓰케 (大目付) 制度를 導入하여 現職 쇼군을 中心으로 한 强力한 獨裁 體制를 確立하였다. 間에이 12年( 1635年 )에는 부케(武家) 法度를 改正하여 다이묘 들 사이에 이미 慣例로 자리잡아 있던 山킨코타이 (?勤交代)를 法的으로 制度化하였다.

對外的으로는 나가사키 貿易의 利益을 幕府가 獨占하기 위하여 貿易을 統制하고 基督敎 彈壓을 한層 强化하였다. 間에이 14年( 1637年 ) 시마바라의 난 을 거쳐 間에이 18年( 1641年 )에는 鎖國 體制가 完成되었다. 이 같은 幕府의 權力 强化를 目的으로 한 이에미쓰 時代까지의 政治는 後世의 「 文治 政治 (文治政治)」와 對備하여 「 無斷 政治 (武?政治)」로도 불린다. 같은 해에는 이에미쓰의 나이 37歲만에 비로소 長男 다케치요(竹千代, 後日의 4代 쇼군 도쿠가와 이에쓰나 )가 태어났다.

間에이 19年( 1642年 ) 間에이 大飢饉이 일어났으나 幕府 體制는 흔들리지 않고 維持되었다. 以後 農民 統制의 一環으로 田畓 賣買를 禁止하였다. [1]

게이안 3年, 病이 들어 各種 儀禮를 長男 이에쓰나에게 委任하였다.

이듬해 4月 享年 48歲로 에도城 에서 死亡하였다. 이때 홋타 마사모리 , 아베 시게쓰구 等이 이에미쓰를 따라 殉死하였다.

夫人과 子女 [ 編輯 ]

이에미쓰의 三南 쓰나시게, 사남 쓰나요시는 各各 고후 도쿠가와가 (甲府?川家), 다테바야視 도쿠가와가 (館林?川家)라는 家門을 創設하여 稿料덴 (御?典)이라 불렸다. 이 家門들은 비록 領地가 도쿠가와 孤山케 보다는 적었지만 價格은 높았다. 이 두 家門이 滅門한 以後에야 孤山케에서 쇼군이 나올 수 있었다.

人物像 [ 編輯 ]

가스家奴 쓰步네
  • 15名의 에도 幕府 쇼군 中 側室이 아닌 情實 小生은 이에야스, 이에미쓰 및 요시노부 3名 뿐이며, 그 中에서도 美다이도코로 (御台所) 膝下 胎生으로는 이에미쓰가 唯一하다. 그러나 이에미쓰의 幼年期 쇼군 後繼者가 되기 前에는 이에야스의 숨겨진 아들로, 어머니가 그의 乳母인 가스家奴 쓰步네 라는 浪說이 떠돌아, 事實 無根이라는 發表 아래 2代 쇼군 히데打多義 後繼로서 3代 쇼군의 자리에 올랐다. 하지만 現在까지도 이에 對한 眞實과 關聯된 硏究는 繼續 이어지고 있다.
  • 微服을 하고 城에서 나와 潛行하는 것을 즐겼다고 한다. 가쓰 가이슈 의 『히카와 세이와(氷川?話)』에는 이 같은 이에미쓰의 버릇을 고쳐 주기 위해 한 老僧이 힘 센 男子 한 名을 雇用하여 이에미쓰에게 싸움을 걸게 하였다는 俗畫가 記錄되어 있다. 쇼군이 된 뒤에도 말을 타고 隨行員들을 따돌리며 멀리 나가거나 性 밖 다이묘의 邸宅으로 行次하는 것을 좋아하였으며, 武藝를 즐겨 間에이 御殿 劍道大會, 게이안 御殿 劍道大會 等을 開催하였고 特히 劍術을 좋아하여 野규 무네노리 를 事犯으로 맞아들여 師事받은 뒤 野규 新카憩流 (柳生新陰流)의 免許를 獲得하기도 하였다.
  • 이에야스, 히데打다와 같이 (能)를 좋아하였으나 風流로 즐기거나 俳優의 公演을 보는 것보다는 다이묘나 家臣들이 演技하는 것을 더 좋아하였다고 한다.
  • 度쇼 多이곤겐(東照大?現)으로 追崇된 祖父 이에야스로부터 사랑받았던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에미쓰의 乳母 가스家奴 쓰步네가 남긴 「度쇼 多이곤겐 祝辭(東照大?現祝詞)」에 따르면, 病弱하게 태어나 3歲 무렵 重病을 앓던 이에미쓰가 이에야스가 直接 調劑한 藥을 먹고 快遊하였고, 以後 이에미쓰가 病을 앓을 때마다 이에야스가 이에미쓰의 꿈에 나타나 病이 낫는 일이 많았으며, 이에미쓰를 疏忽하게 取扱하는 히데打다와 스겐인에게 激怒한 이에야스가 이에미쓰를 直接 自身의 居處인 슨푸로 불러 養子로 삼은 뒤 3代 쇼군의 자리를 물려주겠다며 아들 夫婦를 크게 叱責하였다고 한다. 이에미쓰 또한 間에이 13年( 1636年 ) 도쇼구 (東照宮)가 完工되자 全 生涯에 걸쳐 10回 訪問하였으며, [2] 晩年에 種種 이에야스를 꿈에 보고 가노 壇壝 (狩野探幽)에게 몇 番씩 이에야스의 肖像을 그리도록 하기도 하였다. 또한 몸에 지니고 다녔던 符籍 주머니에 「2歲 곤겐, 2歲 쇼군」,「사는 것이나 죽는 것이나 뭐든지 다이곤겐님 뜻대로」等의 글句가 쓰인 종이를 넣고 다니기도 하였다.
  • 젊은 時節에는 男色을 즐겨 [3] 女人을 가까이하지 않아 後繼者 問題를 걱정한 가스家奴 쓰步네가 몇 次例 이에미쓰 趣向의 女人들을 各處에서 募集하여 이에미쓰의 關心을 끌어보려 하였다고 한다. 晩年에는 側室 午後理가 長女 치要히메를 낳은 것을 始作으로 여러 子女들이 태어났으며, 몇 名의 側室을 寵愛하기도 하였다. 反面 情實 다카쓰카社 다카코 와는 婚姻 初부터 末年까지 繼續 사이가 險惡하여, 結局 다카코를 嗷嗷쿠 로부터 나카노 마루로 强制 이주시켰다. 또한 臨終 當時 遺品을 分配할 때에도 다카코에게는 金 50兩과 몇 가지 小小한 茶道 道具를 준 것에 不過하였고, 側室들과의 사이에서 태어난 子女들을 다카코가 養子로 삼도록 許諾해주지도 않는 等 平生에 걸쳐 다카코를 푸待接하였다.
  • 어린 時節부터 病弱하여 자주 病을 앓았다. 病이 들 때마다 이불을 5,6겹씩 두껍게 덮는 習慣이 있었고, 醫師들이 自身과 다른 意見을 내보이면 激烈하게 火를 내는 境遇가 種種 있어 病이 오히려 惡化되는 境遇도 많았다고 한다.
  • 센고쿠 時代에 살아남은 武將들인 다테 마사무네 , 도도 다카토라 , 모리 히데모토 , 다치바나 無네시게 等을 寵愛하여 그들로부터 戰鬪 이야기를 듣는 것을 좋아하였다. 特히 다테 마사무네를 깊이 尊敬하여 에도 時代 도쿠가와 바쿠후를 섬긴 영주에 對한 待接으로는 지나칠 程度의 鄭重한 待遇를 하였다고 한다. 마사무네가 死亡한 뒤에는 그의 重臣인 다테 시게자네 를 寵愛하여 시게자네가 登城할 때마다 그로부터 戰爭 이야기를 請하여 히吐토리바시 戰鬪 等에 對한 이야기를 자주 즐겨 들었다. 이에미쓰가 쇼군 就任 以後 「나는 태어날 때부터 쇼군으로 태어났다」라는 好戰的인 發言을 한 데에는 마사무네의 助言이 큰 影響을 미쳤다는 說도 있다.

登場 作品 [ 編輯 ]

드라마 [ 編輯 ]

各州 [ 編輯 ]

  1. 이에미쓰 時代 農民들을 統制하기 위한 바쿠후令으로 여겨져 왔으나, 最近에는 겐로쿠 時代 고후 番 內에 있었던 番 次元에서의 農民 統制令이 流布되는 過程에서 이에미쓰의 治績이라는 傳承이 만들어진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2. 이에미쓰의 事後 닛코에 參拜한 쇼군은 4名에 不過하였으며, 2番 參拜한 도쿠가와 쓰나요시 를 除外한 쇼군들은 各 1回 參拜에 그쳤다. 2番 參拜한 쓰나요시 또한 첫 1番은 쇼군 資格으로 參拜한 것이 아니라 父親 이에미쓰를 따라 參拜한 것이었다.
  3. 이 때 이에미쓰의 사랑을 받은 人物로 홋타 마사모리, 아베 시게쓰구, 사카이 時게즈美(酒井重澄) 等이 꼽힌다. 二重 홋타와 아베는 이에미쓰 事後 그를 따라 殉死하였다.

外部 링크 [ 編輯 ]

前任
도쿠가와 히데타다
第3代 도쿠가와 宗家 堂主
1623年 ~ 1651年
後任
도쿠가와 이에미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