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쿠가와 요시무네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도쿠가와 요시무네
德川 吉宗
도쿠가와 요시무네
도쿠가와 요시무네
세 잎의 접시 꽃 가몬
세 잎의 접시 꽃 가몬
第8代 에도 幕府 程頥大將軍
在任 1716年 ~ 1745年
前任 도쿠가와 이에쓰구
後任 도쿠가와 이에시게
無事 情報
時代 에도 時代 中企
出生 1684年 11月 27日
基異國 와카야마性
死亡 1751年 7月 12日
無事時局 에도
改名 마쓰다이라 料理히社(松平?久)
→ 料理마사(?方)
→ 도쿠가와 요시무네(?川吉宗)
別名 쌀 쇼군(米公方)
幕府 에도 幕府
氏族 도쿠가와氏
父母 아버지: 도쿠가와 미쓰社다 , 어머니: 兆엔人
兄弟姊妹 兄: 쓰나노리 , 지로키値, 料理모토
配偶者 情實: 마사코 女王
側室: 신토쿠인 , 新新人 , 혼토쿠인 , 가쿠主人
子女 이에시게 , 多야스 무네타케 , 히토쓰바시 무네타다
도쿠가와 요시무네
日本語式 漢字 ?川 吉宗
가나 表記 とくがわ よしむね
國立國語院 標準 表記 도쿠가와 요시무네
通用 表記 토쿠가와 요시무네
로마字 Tokugawa Yoshimune

도쿠가와 요시무네 ( 日本語 : ?川 吉宗 , 1684年 11月 27日 ~ 1751年 7月 12日 )는 에도 幕府 의 第8代 쇼군(在位 1716年 ~ 1745年 )이다.

도쿠가와 이에야스 의 10男인 料理老父 의 子孫들로 構成된 孤山케 中 하나인 기슈 도쿠가와 가 의 堂主로, 基異國 기슈番 新版 다이묘 였다. 1716年 에 夭折한 도쿠가와 이에쓰구 의 뒤를 요시무네가 쇼軍職을 잇게 되었다. 요시무네는 幕府 政治에 새로운 바람을 불어넣고자 交互의 改革 을 斷行하였다. 그 治世에 코끼리 가 日本 國內에 紹介되었다. 山川 , 空氣 , 自然 景觀이 좋은 와카야마 出身으로서의 淸白한 氣質이 政策에도 影響을 주었다. 그를 始作으로 도쿠가와 쇼군職은 요시무네의 傍系 後孫 卽, 高렌視 家門에서 이어받았다. 그의 墓所(墓所)는 도쿄 다이토구 間에이지 (?永寺)에 있다.

生涯 [ 編輯 ]

幼年期 [ 編輯 ]

兆쿄 元年( 1684年 ) 陰曆 10月 21日 기슈番 2代 번주인 도쿠가와 미쓰社다 (?川光貞)의 4男으로 태어났다. 母親은 기슈 도쿠가와 가의 下人인 고세 로쿠子에몬(巨勢六左衛門)의 딸 兆엔人 (?円院, 오유리노 伽陀於由利の方)이다. 기슈 街의 浴室 擔當 下女라는 母親의 낮은 身分 때문에 한동안 家神에게 맡겨져 키워지다 後日 認定받고 入城하였다. 兒名은 겐로쿠 (源六), 신노스케 (新之助)이다.

겐로쿠 10年( 1697年 ) 14歲 때 로주 (老中) 오쿠보 다다土毛 의 配慮로 當代 쇼軍人 도쿠가와 쓰나요시 를 謁見한 뒤 에치젠國 뉴우 軍(丹生郡) 3萬 席을 下賜받았다. 그러나 實際 이 領地를 다스린 것은 家神이었고 요시무네 本人은 如前히 奇異의 기슈 도쿠가와 가의 巨星에서 居處하였다.

기슈 번주 時節 [ 編輯 ]

好에이 2年( 1705年 ) 맏兄이자 3代 기슈 번주인 쓰나노리 가 後嗣 없이 夭折하면서 둘째 兄인 料理모토 가 4代 기슈 번주로 就任하였다. 그러나 같은 해 父親인 미쓰社다, 半年 後 料理모토가 연달아 死亡하면서 22歲의 나이에 기슈 番 5代 번주로 就任하였다. [1] 이 때 쇼군 쓰나요시로부터 便휘를 下賜받아 비로소 요시무네 (吉宗)로 改名하였다. 好에이 3年( 1706年 )에는 皇族인 후시미노미야 社多유키 親王(伏見宮貞致親王)의 딸 사나노미야 마사코 女王(?宮理子女王)을 正室로 맞아들였다. 그러나 마사코는 好에이 7年( 1710年 ) 死亡하였다.

같은 해 4月 기슈에 入城한 요시무네는 惡化된 番의 財政을 改善하는 것을 中心으로 한 大大的인 番情(藩政) 改革에 着手하였다. 스스로 무명옷을 입고 簡素한 食事를 하는 等 節約에 앞장섰으며 統治 機構를 簡素化하는 等 여러 政策으로 두 兄과 父親의 葬禮 費用, 바쿠후로부터 借用한 10萬 兩 金의 負債, 災害 復舊費, 番 紙幣의 停止 等으로 惡化되던 番의 財政이 相當 部門 改善되었다. 以外에도 거成人 와카야마 城 앞에 '所願 箱子'를 設置해 百姓들로부터 直接 請願과 呼訴를 들으며 文武를 奬勵하고 孝行을 表彰하는 等 善政을 펼쳤다. 두 아들들인 長男 나가토美마루(長福丸, 도쿠가와 이에시게 ), 次男 고지로(小次?, 多야스 무네타케 는 요시무네가 기슈 번주로 있던 時節 태어났다.

쇼군 就任 [ 編輯 ]

交互 元年( 1716年 ) 7代 쇼군 도쿠가와 이에쓰구 가 8歲의 나이로 夭折하여 2代 쇼군 도쿠가와 히데타다 以來로 내려 온 男子 後繼者의 血統이 끊기자, 히데타다 血統 以後로 쇼군 繼承權이 있던 孤山케 의 堂主들 中 한 名인 요시무네가 傍系 家門으로는 처음으로 쇼軍職을 繼承하였다.

그러나 實際로 요시무네가 쇼군에 就任할 當時 히데打多義 曾孫이자 다테바야視 번주인 마쓰다이라 기요打케 가 살아 있어 아직 히데打多義 血統은 끊기지 않은 狀態였다. 하지만 기요타케의 英知人 다테바야視 地方 內에서 무거운 租稅 負擔으로 잇키 (一揆)가 頻繁하게 일어나면서 번주로서의 기요타케의 評判은 좋지 않았고, 이미 高齡에 男子 後繼者도 없어 기요타케는 쇼군 候補에서 除外되었다. [2] 또한 요시무네의 기슈 도쿠가와 家門 은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10男 도쿠가와 料理老父 를 始祖로 하는 家門으로, 이에야스의 9男 도쿠가와 요시나오 를 始祖로 하는 誤와리 도쿠가와 家門 보다 繼承 序列이 낮았으나 요시무네가 도쿠가와 이에야스 와 世代上으로 더 가깝다는 名目 下에 요시무네의 쇼군 就任은 正當化되었다. 一角에서는 이러한 點들 때문에 요시무네의 쇼군 就任에 6代 쇼군 도쿠가와 이에老父 의 情實 덴에이인 (天英院)과 이에쓰구 의 生母 겟코인 (月光院) 사이를 둘러싼 某種의 陰謀가 있었을 可能性도 提示하고 있다.

交互 改革 [ 編輯 ]

8代 쇼군으로 就任한 直後 6代 쇼군 도쿠가와 이에老父 時代부터의 소바要닌 (側用人)인 마나베 아키後嗣 , 아라이 하쿠세키 等을 罷免하여 그때까지 내려오던 소바要닌 中心의 政治에서 쇼군 親庭(親政) 政治를 確立하였다. 以後 미즈노 다다유키 로주 (老中)로 임명한 뒤 기슈 번주 時節의 財政 改善을 中心으로 한 改革 政治를 본따 에도 3大 改革 中 하나인 交互 改革 (享保改革)을 펼쳤다.

當時까지의 文治(文治) 政治의 重要性을 縮小시키고 無斷(武斷) 政治 中心의 도쿠가와 이에야스 時代 方式으로 돌아갈 것을 促求하였으며 儉素와 儉約을 重視하며 武士들의 風俗 改善을 强調하였다. 租稅 制度를 改革, 正面法(定免法), 上靡寧(上米令) 等을 施行하여 바쿠후의 財政을 안정시켰으며 土地 開發을 奬勵하였고 아시다카 制度(足高の制)를 통해 支出을 縮小하고 官僚制度를 改善하였다. 이 外에도 訴訟 期間을 縮小하여 最大限 判決이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한 司法 制度의 改革과 火災 對策 마련, 嗷嗷쿠 (大?)의 再整備, 직소 箱子(메야스바코, 目安箱) 設置를 통한 百姓들의 意見과 不滿 反映, 고이시카와(小石川) 療養所 設置를 통한 醫療 政策 改善, 外國 書籍 收入 基準 緩和 等을 施行하여 社會 여러 部門에서 改革과 變化가 이루어졌다.

이 같은 交互 改革은 에도 3大 改革 中에서도 가장 成功的인 改革으로 評價받고 있으며 이러한 一連의 政策이 없었다면 財政 惡化로 인한 에도 바쿠후의 崩壞가 더욱 빨리 到來했을 것이라는 意見 또한 많다. 그러나 한便으로는 蜈蚣 五民(五公五民, 收穫量의 折半을 稅金으로 바침)으로 대표되는 稅額 增大로 인해 農民들의 負擔이 한層 커지면서 요시무네의 任期 末年에는 日本 全域에서 頻繁하게 잇키 가 發生하기도 하였다.

오고쇼 時節 [ 編輯 ]

엔쿄 (延享) 2年( 1745年 ) 9月 25日 쇼군位를 長男 이에시게 (家重)에게 물려주고 오고쇼 (大御所)로 물러났다. 實際로 이에시게는 言語 障礙가 甚한데다 病弱하기까지 해서 이에시게보다 聰明한 次男 무네타케 나 4男 무네타다 를 쇼군으로 세우자는 主張도 있었으나 兄弟들 사이의 後繼者 다툼을 念慮한 요시무네는 또한 이에시게의 英明한 아들 이에하루 에게 希望을 걸고 있어 長子 이에시게를 後繼者로 選擇하였다. 그러나 그러한 身體的 缺點으로 因해 이에시게가 政務를 제대로 遂行하지 못하면서 事實上 바쿠후의 實權은 요시무네가 死亡할 때까지 繼續 掌握하였다.

또한 요시무네는 나머지 두 아들들을 慣例대로 다른 도쿠가와 分家에 養子로 보내거나 領地를 주어 分家시키지 않고 에도城에서 俸給을 받으며 各各 別加(別家)를 이루도록 措置하였다. 이로써 次男 무네타케가 多야스 도쿠가와 家門 을, 사남 무네타다가 히토쓰바시 도쿠가와 家門 을 열었다. 여기에 요시무네 事後 開設된 시미즈 도쿠가와 家門 (初代 堂主는 이에시게의 次男 시게要視 )이 合勢하면서 이 세 家門은 孤山쿄 (御三卿)로 불리게 되었다.

쇼군 隱退 後 6年 뒤인 間엔 (?延) 4年( 1751年 ) 陰曆 6月 20日 68歲로 死亡하였다.

血液型은 도쿠가와 이에쓰나 처럼 O兄이었다고 報告되어 있다.

子女 [ 編輯 ]

媒體 [ 編輯 ]

各州 [ 編輯 ]

  1. 쓰나노리_ 料理모토, 미쓰사다의 이러한 잇따른 죽음은 부자연스러운 點이 많아 一角에서는 요시무네가 이들을 모두 暗殺한 것이라는 說도 있다.
  2. 이 外에도 히데打다와 側室 시즈(?)와의 사이에서 태어난 호시나 마사유키 의 後孫이 아이즈 마쓰다이라 家門을 이어 기요타케의 死後에도 存續하고 있었다. 하지만 아이즈 7代 번주 마쓰다이라 伽陀히로 死後에 이르러 히데타다로 이어지는 男系는 斷絶되었다.

外部 링크 [ 編輯 ]

같이 보기 [ 編輯 ]

前任
( 도쿠가와 미쓰社다 )
第1代 高렌視 가즈라노 마쓰다이라 家門 堂主
1697年 ~ 1705年
後任
斷絶, 기슈 도쿠가와 家門 相續
前任
도쿠가와 料理모토
第5代 기슈 도쿠가와 가 堂主
1705年 ~ 1716年
後任
도쿠가와 무네나오
가즈라蘆藩 번주 (가즈라노 마쓰다이라 家門)
1697年 ~ 1705年
後任
肺番
前任
도쿠가와 料理모토
第5代 기슈番 번주 (기슈 도쿠가와 家門)
1705年 ~ 1716年
後任
도쿠가와 무네나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