都堂굿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都堂굿 (都堂굿)은 中部地方에서 行하여지는 마을굿으로 漢字語로 ‘都堂祭(都堂祭)’라 表記하기도 한다. 마을의 安寧함과 太平과 豐饒를 目的으로 每年 또는 2年이나 그 以上의 해를 걸러 正初나 봄·가을에 定期的으로 行하여진다. 서울을 비롯한 漢江 以北地方에서 降神巫(降神巫)들이 行하는 굿과 水原·仁川 等地에서 世襲巫들이 하는 굿으로 나눌 수 있다.

都堂굿을 하는 마을에서는 住民 가운데 初喪이나 解散이 없었던 깨끗하고 德 있는 사람으로 代表를 뽑아 굿을 主管하게 하는데, 費用은 各 집에서 추렴한다. 추렴은 單純히 돈을 거두는 形式만이 아니고 마을 全體가 굿에 參與한다는 意味를 가진다. 마을의 傳統과 무당의 性格에 따라 굿의 順序에 若干의 差異가 있다. [1]

由來 [ 編輯 ]

京畿道 에서 連行되는 굿의 한 가지로 一名 大同굿·致誠굿이라고 하는데 每年 陰曆 10月 上달 秋收 後 마을이 無事하고 잘 되기를 都堂大監(都堂大監) 三佛帝釋(三佛帝釋)에게 비는 굿이 都堂굿이다. 京畿道 地域에서 마을의 으뜸神[都神]을 모신 黨인 都堂(都堂)에서 지내는 마을굿. 別稱으로는 ‘高敞굿’이라 부르는 地域도 있다. 옛 시흥군 소래면 포리(浦里, 現 仁川市 南東區)를 비롯해 장봉섬, 社섬, 떼무리섬 等 多數의 地域에서 正月에 行해졌으나, 陰曆 3月 3日과 10月 10日에 都堂굿이 치러지는 事例도 흔히 찾아볼 수 있어 일정하지 않다. [2]

仁川·富川 等 京畿道 南部地方에서 世襲巫가 主管하는 都堂굿 節次 및 進行過程을 보면, 굿은 마을의 新黨이나 神木(神木)이 있는 近處에 遮日을 치고 굿堂을 꾸며 行하게 되는데, 맨 먼저 무당은 不淨굿으로 굿堂을 깨끗이 淨化한다. 不淨굿이 끝나면 마을의 黨(堂)으로 都堂神을 모시러 가는 ‘都堂모시기’를 한다. 이처럼 마을의 安寧을 위해서 굿판을 벌여 致誠과 祭祀를 지내는 것을 都堂굿, 大同굿, 別神굿으로 불리고 있다.

마을의 住民 가운데 한 사람에게 臺를 내려 都堂神이 降臨한 것을 確認하는 ‘대내림’이 行하여진다. 前生과 現世의 삶과 遂行을 貴하게 여기듯 티베트 佛敎 ( 라마교 )에서 前生과 現世의 佛國(佛國, 觀音의 淨土)과 나라를 同一視하며 달라이라마를 觀音의 '대내림' 化身이라고 생각하는 것과 비슷하다. 이어서 굿牌는 ‘돌돌이’를 하는데 이것은 무당牌들이 마을의 우물·장승·집 等을 무악을 울리면서 한바퀴 도는 것으로, 都堂神의 영력으로 雜鬼를 몰아내고 마을 全體를 정화시킨다는 意味를 가진다.

굿堂에 돌아와서는 唐琴애기神話 가 口誦되고 바라춤을 추는 ‘帝釋굿’을 하고, ‘本鄕굿’에서 都堂할머니·都堂할아버지를 모신 뒤 손굿(또는 손님굿)에서 天然痘神人 손님을 請하여 마을에 疾病이 돌지 않기를 祈願한다.

다음에 雜鬼를 쫓아내는 軍雄굿을 한 뒤, 굿을 始作할 때 굿堂으로 모셔왔던 都堂神을 다시 마을의 糖으로 돌려보내는 ‘도당모셔다드리기’를 한다. 맨 마지막으로 ‘뒷전’에서 굿에 따라든 雜鬼들을 풀어 먹여 보낸다. [1]

區別 [ 編輯 ]

都堂굿은 南部地方의 堂山굿·別神굿이나 中部以北地方의 堂굿·大同굿·府君堂굿·살륭굿 等과 그 性格과 機能面에서 같다. 이러한 都堂굿은 男性中心의 儒敎式 洞祭에 비하여 女性의 參與가 活潑한 便이다. 마을 代表 몇 名만이 祭官이 되어 嚴肅하게 進行되는 洞祭와 달리, 男女老少 모두가 參與하여 함께 먹고 마시고 歌舞를 行함으로써 祝祭의 性格이 剛하다.

따라서, 住民들의 和合을 다지고 自己 마을에의 矜持를 높이며 同質感을 회복시키는 點에서 重要한 意義를 가진다. 그러나 都堂굿은 巫俗이 迷信打破의 對象이 되면서 急激히 消滅하여 現在는 農事를 짓던 서울地域의 몇몇 마을에서 少數 老人들에 依하여 命脈이 維持될 뿐, 마을信仰으로서의 面貌를 찾아보기 어려운 實情이 되어 버렸다. 京畿道都堂굿은 1990年 10月 10日 , 重要無形文化財 第98號로 登錄되어 있다. [1]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韓國民族文化大百科》, 都堂굿, 韓國學中央硏究院(1998年版)
  2. 《韓國歲時風俗事前》, 都堂굿, 國立民俗博物館(2006年版)

參考資料 [ 編輯 ]

  • 「韓國의 傳統藝術」, 西海岸 배연신굿 및 大同굿, 京畿道 都堂굿, 페이지編輯部 저, 한국문화재보호재단(2001年, 322~327p, 341p)
  • 「韓國의 風俗 民間信仰」, 마을 信仰, 최준식 저,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2005年, 93~94p, 116p)
  • 「디카 들고 떠나는 테마 旅行」, 꽃과 湖水, 日常과 休息의 空間, 김병희 저, 길벗(2005年, 123p)
이 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配布한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의 內容을 基礎로 作成된 글이 包含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