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더베드의 王 푸日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더베드의 王 푸日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프러데리의 失踪.

더베드의 王 푸日 〉( 웨일스語 : Pwyll Pendefig Dyfed 푸日 펜데비그 더베드[pui? pen'devig 'd?ved] )은 中世 웨일스語 文學 作品으로, 痲痹怒氣의 네 가지 中 第1가지다. 오늘날의 웨일스의 小王國 더베드 의 王 푸日 別世界 안눈 의 王 아라韻 의 因緣, 푸日課 리아論 의 結婚 및 그 膝下의 프러데리 의 誕生과 失踪 等을 다루고 있다.

윌리엄 존 그러피드 는 이 이야기가 麻浦노스 데아 마트로나 이야기를 中世的으로 變容한 것이라고 解釋했다. [1]

줄거리 [ 編輯 ]

쿠흐 溪谷 에서 사냥을 하던 더베드의 王 푸일은 一行과 落伍되어 혼자 걷다가 사슴 屍體를 뜯어먹는 한 무리의 개 떼 에 발이 걸려 넘어진다. 푸일은 그 개들을 쫓아내고 自己 개들에게 사슴을 먹이고 있는데, 개主人 아라韻 이 나타난다. 아라運은 別世界 안눈 의 王이지만 王位를 빼앗겨 있는 狀態였는데, 自己 사냥감을 뺏아 먹었으니 그 代價로 1年 하고 하루 동안 서로의 모습을 바꾸자고 한다. 푸일은 그 要求에 따르고, 아라韻으로 遁甲한 채 안눈의 宮廷 으로 돌아간다. 1年째 되던 날 푸일은 아라韻을 몰아내고 王이 된 하프間 에게 싸움을 걸어 한 放에 致命傷을 입힌다. 아라運의 모습으로 안눈의 王位를 얻은 푸일은 아라운과 다시 만나 서로 元來의 모습으로 돌아간다. 以後 아라運은 안눈의 宮廷으로, 푸일은 더베드의 宮廷으로 돌아갔다. 푸일이 아라韻으로 遁甲한 1年間 아라運의 아내를 건드리지 않았기 때문에 둘이는 그 뒤로 親舊가 되었다. 이 때 안눈의 王으로 行勢했던 것에서 푸일은 "안눈의 머리"라는 뜻의 "푸日 펜 안눈"이라는 耳鳴을 얻었다.

얼마 뒤, 푸一과 그 밑의 朝臣들이 아르베르스(오늘날 펨브룩셔 나버스 封墳 위에 올라갔다가 黃金 洋緞 옷을 입고 빛나는 白馬를 탄 리아論 을 보게 된다. 푸일은 自己 및의 旗手들 中 가장 빠른 者에게 리아論을 쫓아가게 했다. 하지만 리아論의 白馬는 느릿느릿 걷고 있는데도 恒常 푸일의 部下의 말보다 앞섰다. 3日을 그렇게 쫓아간 끝에 푸일의 部下가 멈추라고 소리를 쳤다. 그랬더니 리아論은 그 자리에서 바로 멈추면서, 振作 불렀으면 섰을 것이라 말한다. 리아論은 自身은 그와蔚 押 클루드 와 約婚한 사이인데, 그 結婚을 願하지 않는다고 하며 푸일이 結婚을 파토내준다면 1年 뒤 푸一과 結婚하겠다고 한다. 푸일은 結婚式 宴會場에 쳐들어가서 賀客으로 앉는다. 한 男子가 宴會場에 들어와서 푸일에게 自己 請을 좀 들어주겠냐고 말한다. 푸일이 淸의 內容도 묻지 않고 그러겠노라 하자 男子는 自身이 그와울임을 밝히고, 리아論과 結婚 宴會를 自己 것으로 請한다고 하자 푸일은 속아넘어갔음을 알면서도 어쩔 수 없이 그것을 承諾했다. 꼴이 돌아가는 것이 생각한 대로 풀리지 않자 리아論은 이 宴會의 主催者는 自身이며 그것은 이미 여러 賀客들에게 約束된 바이기 때문에 푸일에게 그 權利를 주지 않을 것이라 말한다. 그리고 1年 뒤 自身과 그와울이 함께 準備한 宴會가 다시 있을 것이라 이야기하고, 푸일은 自己 나라로 돌아간다. 1年 뒤 이番에는 푸일이 自己 正體를 숨기고 宴會場에 찾아왔다. 푸일은 리아論에게 몰래 받은 魔術 가방을 메고 있었다. 푸일이 그와울에게 1年 前과 같은 付託을 하자, 푸日보다 꾀가 많은 그와울은 自身이 듣기에 事理가 맞는 請이라면 들어줄 것이라고 對答한다. 푸일은 自己 가방을 飮食으로 채워달라고 하고, 그와울은 그러겠노라 한다. 하지만 가방에 魔法이 걸려 있었기 때문에 아무리 飮食을 채워도 다 차지 않았고, 더 以上 채울 것이 없자 그와울은 結局 自己 몸까지 가방 속에 넣을 수밖에 없게 되었다. 그와울이 가방에 들어가자 푸일은 가방 入口를 묶어매고 매달아 部下들을 불러 두들겨 팼다.

臣下들의 諫言에 따라 푸日課 리아論은 나라를 물려줄 後繼者를 生産하기로 하고, 곧 아들이 태어난다. 그런데 아기가 태어난 當日 밤에 리아論의 여섯 侍女가 지켜보는 앞에서 失踪된다. 王의 憤怒를 받을 것을 두려워한 侍女들은 개의 피를 내어 잠든 리아論에게 바르고 리아論이 嬰兒殺害 를 하고 自己 아들을 잡아먹었다 고 主張한다. 리아論은 陋名을 쓰고 罪를 받는 身世가 된다.

한便 아기는 푸일의 봉신이었다가 떨어져 나간 舊엔트 의 王 테어르論 투러프 릴란트 의 馬廏間에서 發見된다. 테어르論 夫婦는 아기를 自己 아들로 入養하고, 아기의 머리카락이 모두 黃金 처럼 노란 빛이었기에 九里 曰트 에右런( 웨일스語 : Gwri Wallt Euryn →金빛 머리칼의 九里 )라는 이름을 붙여 준다. 구리는 사람 같지 않은 速度로 빠르게 자라고, 아이가 자랄수록 푸日課 닮은 것을 깨달은 테어르논은 구리의 正體를 알게 된다. 테어르논은 구리를 푸日 夫婦에게 돌려보내는 代身 구엔트에 對한 支配를 保障받는다. 親父母를 찾은 구리는 "念慮"라는 뜻의 프러데리 ( 웨일스語 : Pryderi )라는 이름을 얻는다.

이야기는 푸일이 죽고 프러데리가 王位를 繼承하는 것으로 끝난다.

解釋 [ 編輯 ]

켈트 神話 에 共通的으로 登場하는 要素는 바로 이스視 라고 불리는 妖精 이다. 이스詩는 다양한 모습과 크기를 가질 수 있지만, 大槪 사람과 비슷한 모습으로 나타난다. 아라運은 自身과 푸일의 모습을 서로 바꾸는 能力을 보여주며, 아라運의 나라 안눈은 妖精나라 또는 別世界였다. 리아論 亦是 妖精 또는 그에 準하는 存在인 것으로 보인다. 푸일의 騎兵이 아무리 쫓아가도 느릿느릿 걷는 리아論의 말이 恒常 앞서 있다는 것은 普通 事理에 맞지 않는 일이기 때문이다. 妖精들은 때때로 人間과 性的 關係를 맺기도 한다. 이런 關係는 一時的일 수도 있지만 오래 持續될 수도 있으며, 리아論과 푸일의 夫婦關係 亦是 오래 持續되는 쪽에 屬한다. 리아論이 妖精이라면, 그女의 아들은 反妖精일 것이며, 그것이 바로 프러데리가 普通 사람보다 훨씬 빠른 速度로 成長한 理由가 된다. 또 妖精이 人間의 아이를 誘拐해 간다는 것도 民譚에서 흔한 畫素인데, 이 境遇 리아論과 푸일의 아들이 사라진 것이 그에 該當한다. [2]

魔法 또한 켈트 神話에서 重要한 役割을 차지한다. 더베드의 王인 푸일은 다양한 魔法을 부릴 줄 아는데, 遁甲 은 그 中 하나일 뿐이다. 大槪 遁甲能力者는 한 이야기에 한 名밖에 登場하지 않으며, 登場人物 中 가장 權力이 있는 사람이 그에 該當한다. 여기에 該當하는 "遁甲能力이 있는 權力者"는 痲痹怒氣 第1가지에서는 푸日(더베드의 王)과 아라韻(안눈의 王), 痲痹怒氣 第4가지 에서는 마스 (귀네드의 王)와 그위디온 (마스의 조카)을 例示로 들 수 있다. 한便 푸일의 아내 리아論 亦是 魔法의 能力者다. 리아論은 다른 모든 말들보다, 甚至於 男便 푸일의 말보다 빠른 말을 탄다. 또한 魔法을 푸는 말을 외치지 않으면 絶對 채울 수 없는 가방도 가지고 있다가 푸日과의 結婚 過程에 써먹는다.

켈트 神話에는 反復的으로 登場하는 象徵物, 畫素가 있는데, 絶對 비워지지 않는 가마솥( 화수분 )이 그 中 하나다. 리아論의 絶對 채워지지 않는 가방은 그 反對 事例라고 할 수 있다. 또한 正體不明의 땅으로 간 英雄이 不可能한 偉業을 세우는 것 亦是 그런 畫素에 該當한다. 여기서는 푸일이 안눈에 가서 하프肝을 물리치고, 그와울로부터 리아論을 빼앗은 것이 그 事例에 該當한다. [3] 또 푸일이 하프肝을 쳐죽이거나 그와울에게 再挑戰하기까지 1年을 기다려야 하는, 鐵따른 競合 亦是 그런 켈트적 畫素 中 하나다. [4]

各州 [ 編輯 ]

  1. Tolstoy, Nikolai. The Oldest British Prose Literature: The Compilation of the Four Branches of the Mabinogi
  2. Ashliman, D.L. “Fairy Lore: Introduction” . World Folklore and Folklife . Greenwood Press . 2013年 10月 9日에 確認함 .   [ 깨진 링크 ( 過去 內容 찾기 )]
  3. "Celtic Mythology" (2009). Greenwood Encyclopedia of Folktales and Fairytales . Detroit: Greenwood Press. 215?220쪽.  
  4. Daithi, O hOgain (2008). The Greenwood Encyclopedia of Folktales and Fairy Tales: "Celtic Tales" . Westport, CT: Greenwood Press. 171?176쪽.  
N/A
N/A
痲痹怒氣 第1가지
더베드의 王 푸日
第2가지
리르의 딸 브란웬